KR200306845Y1 -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 Google Patents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845Y1
KR200306845Y1 KR20-2002-0019058U KR20020019058U KR200306845Y1 KR 200306845 Y1 KR200306845 Y1 KR 200306845Y1 KR 20020019058 U KR20020019058 U KR 20020019058U KR 200306845 Y1 KR200306845 Y1 KR 200306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ixed
fitted
us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기영
Original Assignee
차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기영 filed Critical 차기영
Priority to KR20-2002-0019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8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8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1/00Springs used in cycle frames or parts thereof
    • B62K2201/04Helica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6/00Quick release mechanisms adapted for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승용물의 핸들각을 사용자의 신체조건, 탑승시의 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승용물의 핸들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전륜과 연결되는 핸들포스트의 선단에 핸들이 연결되는 승용물에 있어서, 핸들포스트의 선단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핸들수용부재와, 핸들수용부재에 가로방향으로 끼워지며, 양측이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절곡되고 다시 사용자측으로 절곡되어 그 양단부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이루는 핸들과, 핸들수용부재에 끼워진 핸들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된 것으로, 고정수단을 풀면 핸들이 자유상태가 되어 원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고, 핸들을 조정한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조이게 되면 핸들이 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조건, 탑승시의 상태에 따라 핸들을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승용물의 핸들구조체{Handle assembly of boarding objects}
본 고안은 승용물의 핸들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용물의 핸들각을 사용자의 신체조건, 탑승시의 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승용물이라 함은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등 많은 종류가 있으며, 이 중 자전거, 오토바이, 전동식 스쿠터, 스쿠터 등의 인라인식 승용물은 기본적으로 전륜과 후륜이 있고, 전륜에는 핸들포스트가 연결되며, 핸들포스트의 상단부에 핸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일반적인 승용물의 경우 핸들이 일반적인 사람의 키에 맞추어 핸들포스트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키가 일반에서 벗어나는 크거나 작은 사람의 경우에는 핸들의 높이가 자신의 신체와 맞지 않아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승용물을 서서 타거나 앉아서 타는 자세에 따라 핸들의 손잡이 위치를 조정할 수 없으므로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조건, 탑승상태에 따라 핸들을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켜 그 손잡이의 위치를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는 승용물의 핸들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구성도로서,
(a)는 분해사시도.
(b)는 결합단면도.
(c)는 핸들 상세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구성도로서,
(a)는 분해사시도.
(b)는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사용상태도로서,
(a)는 핸들각 조정시 상태.
(b)는 핸들고정시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핸들포스트 102 : 브라켓 103 : 클램프
104,104' : 플랜지 105,105' : 체결공 106 : 핸들
106a : 손잡이 106b : 외경확장부위 106c : 가로방향 홈
106d : 각도조정홈 107 : 조임부재 108 : 조임축
109 : 편심레버 110 : 조정너트 111 : 가이드편
201,302,408 : 볼트 202 : 너트 301,501 : 핸들고정관
401 : 연결부재 402 : 핸들 삽입공 403,502 : 체결공
404 : 부싱 405 : 관통공 406 : 라운드진 부위
407 : 나사홈 503 : 고정핀 504 : 보스
505,507 : 나사 506 : 케이스 508 : 고정핀 유동홈
509 : 조정손잡이 510 : 압축스프링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각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핸들구조체의 제 1실시예로서, 핸들포스트(101)에 끼워져 용접·고정되는 브라켓(102)과,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으로 되어 그 절개부위에 각각 체결공(105)(105')을 가진 상태로 브라켓(103)의 상부 중앙부위에 그 중심이 수평방향으로 놓이도록 접합·고정된 클램프(103)와, 클램프(103)에 가로방향으로 끼워지는 핸들(106)과, 클램프(103)에 핸들(106)이 끼워진 상태에서 클램프(103)의 각 체결공(105)(105')의 사이를 조여주어 핸들(106)의 위치를 고정하여 주는 조임부재(107)로 구성된 것이며, 이때 클램프(103)는 그 절개부위의 마주보는 위치로부터 각각 플랜지(104)(104')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여기에 체결공(105)(105')이 각각 형성되고, 조임부재(107)는 각 플랜지(104)(104') 사이에서 각 체결공(105)(105')에 끼워지는 조임축(108)과, 조임축(108)의 헤드부위에 편심되게 힌지 결합된 편심레버(109)와, 조임축(108)의 선단부측에 형성된 나사(108a)와 결합되어 일측 플랜지(104)를 지지하면서 클램프(103)의 내경을 조정하는 조정너트(110)와, 편심레버(109)와 클램프(103)의 타측 플랜지(104') 사이에서 조임축(108)에 끼워져 편심레버(109)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편(111)으로 구성되어 한번의 레버 동작으로 핸들(6)의 위치를 해제하거나 조여줄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아울러, 핸들(106)은 양측이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절곡되고 다시 사용자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져 그 양단부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106a)를 이루게 되고, 핸들(106)의 클램프 접촉부위는 클램프(103)를 통해 조여질 때 회전이 방지되도록 외경을 타부위에 비해 확장하여 구성하고, 외경확장부위(106b)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가로방향의 홈(106c)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핸들구조체의 제 2실시예로서, 제 1실시예의 조임부재(107) 대신 볼트(201)와 너트(202)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핸들구조체의 제 3실시예로서, 제 1실시예의 클램프(103) 대신 원통형의 핸들고정관(301)을 브라켓(102)에 용접·고정하고, 핸들고정관(103)의 외측 사용자측에서 핸들고정관(103)의 내측으로 볼트(302)를 조여 핸들(106)을 회전시킨 후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핸들구조체의 제 4실시예로서, 본 출원인의 선등록 실용신안인 등록실용신안 제 244353 호에 따른 부싱을 이용한 핸들고정장치를 응용한 것으로, 핸들포스트(101)의 선단에 연결부재(401)를 삽입·고정하고, 연결부재(401)의 선단에는 가로방향으로 관통되게 핸들 삽입공(402)을 형성하며, 핸들 삽입공(402)의 접선방향으로 통하는 체결공(403)을 연결부재(401)에 형성하고, 전면 일부위가 핸들(106)의 곡률과 유사한 곡률로 라운드지고 중앙부에는 관통공(405)이 형성된 부싱(404)을 그 라운드진 부위(406)가 핸들(106)의 면과 접하도록 체결공(403)에 삽입하며, 체결공(403)과 연속적으로 체결공(403)의 중앙부에는 나사홈(407)을 형성하여 볼트(408)를 부싱(404)의 관통공(405)을 거쳐 나사홈(407)에 체결함으로써 볼트(408)를 돌리는 것에 따라 부싱(404)의 라운드진 부위(407)가 핸들(106)의 면을 감싸면서 가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핸들구조체의 제 5실시예로서, 핸들포스트(101)의 선단에 브라켓(102)을 끼워 고정하고, 브라켓(101)의 상부 중앙에 원통형의 핸들고정관(501)을 용접·고정하되, 핸들(106) 중앙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각도조정홈(106d)을 형성하고, 핸들고정관(501)에는 각도조정홈(106d)과 통하는 체결공(502)을 형성하며, 체결공(502)을 통과한 상태에서 각도조정홈(106d)에 체결되어 그 위치를 고정하여 주는 고정핀(503)을 구비하고, 핸들고정관(501)의 체결공(502) 주위에는 내측에 나사(505)가 형성된 보스(504)를 형성하며, 보스(504)에 체결될 수 있도록 선단부 외측에 나사(507)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고정핀 유동홈(508)이 형성된 케이스(506)를 마련하여 여기에 고정핀(503)이 삽입 유동되게 하고, 고정핀(503)을 외부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단면상 "T"자형을 가진 헤드-핀 타입의 조정손잡이(509)를 케이스(506)의 외측 중앙부를 통과시켜 고정핀(503)에 고정하고, 고정핀(503)과 케이스(506)의 사이에 압축스프링(510)을 개재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핸들구조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휴대용 미니스쿠터는 평균의 신체조건을 가진 사람을 기준하여 제조되고 그 핸들이 핸들포스트에 고정되어 있는데 대해 사람들마다 신체조건이 달라 일반에서 벗어나는 크거나 작은 사람들의 경우 휴대용 미니스쿠터의 크기, 특히 손잡이의 높이가 자신의 신체와 맞지 않아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휴대용 미니스쿠터를 앉아서 탈 때와 서서 탈 때의 적정한 손잡이 높이가 확연히 다른 데도 불구하고 핸들이 고정되어 있어 이 역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것은 전술한 바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핸들 양단부의 손잡이 위치가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탑승상태에 따라 가변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핸들포스트(101)에 고정된 브라켓(102)에 일측으로 개방된, 엄밀하게는 사용자측으로 개방된 클램프(103)를 접합·고정하여 핸들(106)이 이 클램프(103)에 끼워져 회전되게 구성한 것으로, 도 6과 같이 핸들(106)이 회전되면 자연히 핸들(106) 양단부의 손잡이(106a)가 하강하거나 상승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이나 탑승상태에 따라 핸들(106)을 회전시켜 손잡이(106a)의 높이를 맞출 수 있다.
손잡이(106a)의 높이를 적정하게 맞춘 후에는 핸들(106)을 회전되지 않게 고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클램프(103)의 절개부위 양측에서 각각 플랜지(104)(104')를 연장형성하고, 각 플랜지(104)(104')의 마주보는 위치에 체결공(105)(105')을 형성하여 이 체결공(105)(105')을 관통하여 조임부재(107)를 위치시킨 것으로, 조임부재(107)의 편심레버(109)를 하방향으로 젖혀주면 각 플랜지(104)(104')를 조이고 있던 조임축(108)이 이완되면서 각 플랜지(104)(104') 사이가 벌어지게 되며, 따라서 핸들(106)이 자유상태가 되어 핸들(106)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핸들(106)을 조정한 후 편심레버(109)를 상방향으로 다시 젖혀주면 편심레버(109)가 가이드편(111)에 의해 당겨진 상태로 고정되면서 조임축(108)이 당겨져 각 플랜지(104)(104') 사이를 조여주게 됨으로써 핸들(106)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클램프(103)가 조여졌을 때 핸들(106)과의 사이가 헐겁거나 빡빡할 경우에는 일측 플랜지(104)를 지지하고 있는 조정너트(110)를 조정하여 클램프(103)의 내경을 최적의 상태로 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오랜 기간동안 휴대용 미니스쿠터를 사용하여 핸들(106)이 조금 마모되어도 조정너트(110)를 조정하여 항상 핸들(106)을 신뢰성있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와 같이 조임부재(107) 대신 볼트(201)와 너트(202)를 구비할 경우에는 볼트(201)를 풀어 클램프(103)의 플랜지(104)(104') 사이가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핸들(106)을 원하는 각으로 회전시키고, 핸들(106)을 적정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너트(202)를 조여 클램프(103)가 핸들(106)을 강하게 홀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너트(202)를 손으로 잡고 돌리기 편리하도록 나비너트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면 더욱 좋을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와 같이 클램프(103) 대신 원통형의 핸들고정관(301)을 브라켓(102)에 용접·고정하고, 핸들고정관(301)의 외측에서 볼트(302)를 조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볼트(302)를 풀어 핸들(106)을 자유상태가 되게 한 후 핸들(106)을 원하는 각으로 회전시키고, 핸들(106)을 적정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볼트(302)를 조여 핸들(106)을 강하게 홀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볼트(302)를 손으로 잡고 돌리기 편리하도록 볼트(302)의 헤드부에 손잡이를 구성하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의 경우에는 볼트(408)를 풀어 부싱(404)으로부터 핸들(106)이 자유상태가 되게 한 후 핸들(106)을 원하는 각으로 회전시키고, 핸들(106)을 적정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볼트(408)를 조이게 되면 볼트(408)가 나사홈(407)에 체결되면서 부싱(404)을 밀어주게 되며, 부싱(404)의 라운드진 부위(406)가 핸들 삽입공(402) 사이에서 핸들(106)을 강하게 홀딩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의 경우에는 조정손잡이(509)를 외측으로 당겨 고정핀(503)이 핸들(106)의 각도조정홈(106d)으로부터 이탈되게 하여 핸들(106)이 자유상태가 되게 한 후 핸들(106)을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고, 핸들(106)을 적정한 각도로 조정한 상태에서 조정손잡이(509)를 놓아주면 압축스프링(510)에 의해 고정핀(503)이 전진하여 핸들(106)의 다른 각도조정홈(106d)에 끼움되어 핸들(106)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승용물의 핸들구조체는 핸들포스트가 하나이상이면어디에든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물로서 휴대용 미니스쿠터를 예로 하였으나, 이러한 기술들이 종류가 다른 다양한 승용물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상술한 기술이외에도 핸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기술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들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된 상태 그대로 고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탑승상태에 따라 손잡이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승용물을 오랜 기간동안 사용하여 핸들이 조금 마모되어도 조임부재의 조정너트를 조정하면 항상 핸들을 신뢰성있게 고정할 수 있어 사용상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륜과 연결되는 핸들포스트의 선단에 핸들이 연결되는 승용물에 있어서,
    상기 핸들포스트의 선단에 고정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핸들수용부재;
    상기 핸들수용부재에 가로방향으로 끼워지며, 양측이 상방향으로 비스듬히 절곡되고 다시 사용자측으로 절곡되어 그 양단부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이루는 핸들; 및
    상기 핸들수용부재에 끼워진 핸들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수용부재는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으로 되고, 그 절개부위의 마주보는 위치로부터 각각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 플랜지에는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놓이도록 접합·고정된 것이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각 플랜지 사이에서 상기 각 체결공에 끼워지는 조임축과, 상기 조임축의 헤드부위에 편심되게 힌지 결합된 편심레버와, 상기 조임축의 선단부측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되어 상기 일측 플랜지를 지지하면서 상기 핸들수용부재의 내경을 조정하는 조정너트와, 상기 편심레버와 상기 핸들수용부재의 타측 플랜지 사이에서 상기 조임축에 끼워져 상기 편심레버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KR20-2002-0019058U 2002-06-24 2002-06-24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KR200306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058U KR200306845Y1 (ko) 2002-06-24 2002-06-24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058U KR200306845Y1 (ko) 2002-06-24 2002-06-24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845Y1 true KR200306845Y1 (ko) 2003-03-10

Family

ID=4940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058U KR200306845Y1 (ko) 2002-06-24 2002-06-24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8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363B1 (ko) 2010-07-09 2013-02-15 정재근 비주행 자세전환시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자전거
CN110100608A (zh) * 2019-06-13 2019-08-09 浙江大学城市学院 家庭用立体蔬菜种植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363B1 (ko) 2010-07-09 2013-02-15 정재근 비주행 자세전환시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자전거
CN110100608A (zh) * 2019-06-13 2019-08-09 浙江大学城市学院 家庭用立体蔬菜种植装置
CN110100608B (zh) * 2019-06-13 2024-02-27 浙江大学城市学院 家庭用立体蔬菜种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3568A (en) U-lock connector for bicycle handlebar
US7086657B2 (en) Adjustable seat for children's vehicle
US3529490A (en) Bicycle handlebar
KR200306845Y1 (ko)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FR2467003A1 (fr) Instrument de locomotion convertible
US7641212B1 (en) Bicycle frame whose axle peg has a non-rotatable function
US20060049597A1 (en) Vehicle which steering is controllable by its seat
JPH1134956A (ja) 自転車、手押し車等の傘取付け装置
TW200408578A (en) A fixing device of traction means of bicycle
KR200408665Y1 (ko) 자전거
US20220274666A1 (en) Folding Bicycle
JP3547128B2 (ja) 可変型自転車ハンドル
US5743546A (en) Bicycle crank arm shortener
KR101809035B1 (ko) 자전거용 체인 텐션 조절장치
US7914014B1 (en) Scooter footbelt
KR102165002B1 (ko) 휠체어와 전동보조장치의 연결구조
EP1213215A3 (en) Steering device for bicycle and method of folding the steering device
CN209956144U (zh) 一种两用学步滑板车
US20040031348A1 (en) Adjustable handle for a cycle
TW201332829A (zh) 腳踏車幹
JP2004189206A (ja) 折り畳み自転車用補助輪及び該補助輪付折り畳み自転車
JP4723349B2 (ja) 補助操作杆付幼児用乗物の連結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補助操作杆付幼児用乗物
JP3002845U (ja) シャックル錠用ブラケット
JPH027555Y2 (ko)
KR200244355Y1 (ko) 자전거 겸용 킥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