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665Y1 - 자전거 - Google Patents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665Y1
KR200408665Y1 KR2020050033790U KR20050033790U KR200408665Y1 KR 200408665 Y1 KR200408665 Y1 KR 200408665Y1 KR 2020050033790 U KR2020050033790 U KR 2020050033790U KR 20050033790 U KR20050033790 U KR 20050033790U KR 200408665 Y1 KR200408665 Y1 KR 200408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icycle
saddle
couple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
Original Assignee
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철 filed Critical 신철
Priority to KR2020050033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6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62K19/24Screw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62J2001/085Seat pillars having mechanisms to vary seat height, independently of the cy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앉게 되는 안장을 상·하 방향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과 폐달 사이의 간격 조절 뿐만 아니라 손과 핸들 사이의 간격 조절도 가능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전륜, 후륜, 핸들, 프레임, 안장, 조절나사, 흰지

Description

자전거{A bicycle}
도 1은 종래 자전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자전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와 3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전륜
11 : 핸들 12 : 핸들 포스트
13 : 전방 프레임 14 : 지지 프레임
15 : 중심 프레임 16 : 안장
17 : 크랭크 18 : 폐달
19 : 조절나사
20 : 후륜
21 : 후방 프레임 22 : 스프라켓
23 : 체인
30 : 흰지
본 고안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앉는 안장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과 핸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답압력을 이용하여 전륜이나 후륜을 구동시킴으로써 화물을 운반하거나 이동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자전거는 인력을 이용한 대표적인 교통수단의 하나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최근에는 운동기구로서의 건강증진효과와 함께 레크레이션 수단으로서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한편, 환경친화적인 특성에 의해 수요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자전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전거는 전륜(101)과 후륜(102)으로 구분되는 한쌍의 바퀴가 있고, 상기 전륜(101)에는 핸들(103)에 의해 좌·우 방향조절되는 핸들 포스트(104)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 포스트(104)에는 전방프레임(105)과 지지프레임(106)이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105)은 안장(108)이 상단에 설치된 중심프레임(107)과 후륜(102)에 구비된 후방프레임(109)과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06)은 중심프레임(107)의 또 다른 말단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6)과 중심프레임(107)이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크랭크(110)와 좌·우 폐달부(111)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110)는 후륜(102)의 스프라켓(112)과 체인(113)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자전거는 각 프레임들이 다아몬드형을 이루도록 하여 전륜과 후륜을 통해 용이하게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주행과정에서 안정적인 특성을 보장한다.
한편, 이러한 자전거는 안장이 설치된 중심프레임이 이중 접철구조를 갖도록 하여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발이 폐달에 적절하게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맞춰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전거의 경우 안장을 상·하 방향으로는 그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발과 폐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었으나, 안장을 전·후 방향으로의 조절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의 손과 핸들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어 사용상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앉는 안장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과 핸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륜과 후륜으로 구분되는 한쌍의 바퀴가 있고, 상기 전륜에는 핸들에 의해 좌·우 방향조절되는 핸들 포스트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 포스트에는 전방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은 안장이 상단에 설치된 중심프레임과 후륜에 구비된 후방프레임과 결합되며, 지지프레임은 중심프레임의 또 다른 말단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중심프레임이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크랭크와 좌·우 폐달부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는 후륜의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과 중심 프레임, 후방 프레임은 이중접철구조를 갖고 조절나사에 의해 그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세 프레임은 그 결합부위가 흰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전방 프레임은 핸들 포스트와 중심 프레임은 크랭크 축과 후방 프레임은 후륜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자전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자전거는 전륜(10)과 후륜(20)으로 구분되는 한쌍의 바퀴가 있고, 상기 전륜(10)에는 핸들(11)에 의해 좌·우 방향조절되는 핸들 포스트(12)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 포스트(12)에는 전방프레임(13)과 지지프레임(14)이 연결되고, 상 기 전방프레임(13)은 안장(16)이 상단에 설치된 중심프레임(15)과 후륜(20)에 구비된 후방프레임(21)과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4)은 중심프레임(15)의 또 다른 말단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4)과 중심프레임(15)이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크랭크(17)와 좌·우 폐달부(18)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17)는 후륜(20)의 스프라켓(22)과 체인(23)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프레임(13)과 중심 프레임(15), 후방 프레임(21)은 이중접철구조를 갖고 조절나사(19)에 의해 그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세 프레임(13,15.21)이 서로 접촉되는 결합부위가 흰지(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전방 프레임(13)은 핸들 포스트(12)와 중심 프레임(15)은 크랭크(17)와 후방 프레임(21)은 후륜(20)의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3a와 3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3a와 같이 안장(16)을 핸들(11)이 위치한 전방쪽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각 프레임에(13,15,21)에 구비된 조절나사(19)를 풀어 그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한 다음, 전방 프레임(13)과 중심 프레임(15)은 그 길이를 줄이면 후방 프레임(21)은 자연스럽게 그 길이가 늘어나게 되며, 사용자가 안장의 위치를 확인한 후 각 프레임에(13,15,21)에 구비된 조절나사(19)를 잠궈 고정시킴으로서 완성된다.
또한, 도 3b와 같이 안장(16)을 핸들(11)의 반대쪽인 후방쪽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역시 각 프레임에(13,15,21)에 구비된 조절나사(19)를 풀은 다음, 후방 프레임(21)의 길이를 줄이면 전방 프레임(13)과 중심 프레임(15)은 자연스럽게 그 길이가 늘어나게 되며, 사용자가 안장의 위치를 확인한 후 역시 각 프레임에(13,15,21)에 구비된 조절나사(19)를 잠궈 고정시킴으로서 완성된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종래와 같이 안장(16)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이 가능하며, 이 역시 각 프레임에(13,15,21)에 구비된 조절나사(19)를 풀은 다음 중심 프레임(15)를 안장(16)이 적절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늘이거나 줄이게 되면 전방 프레임(13)과 후방 프레임(21)은 자연스럽게 함께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며, 사용자가 적절한 안장의 위치를 확인하고 조절나사를 잠궈 고정시킴으로서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자전거는 사용자가 앉게 되는 안장을 상·하 방향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과 폐달 사이의 간격 조절 뿐만 아니라 손과 핸들 사이의 간격 조절도 가능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전거는 사용자가 앉게 되는 안장을 상·하 방향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과 폐달 사이의 간격 조절 뿐만 아니라 손과 핸들 사이의 간격 조절도 가능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전륜과 후륜으로 구분되는 한쌍의 바퀴가 있고, 상기 전륜에는 핸들에 의해 좌·우 방향조절되는 핸들 포스트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 포스트에는 전방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은 안장이 상단에 설치된 중심프레임과 후륜에 구비된 후방프레임과 결합되며, 지지프레임은 중심프레임의 또 다른 말단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중심프레임이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크랭크와 좌·우 폐달부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는 후륜의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과 중심 프레임, 후방 프레임은 이중접철구조를 갖고 조절나사에 의해 그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세 프레임은 그 결합부위가 흰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전방 프레임은 핸들 포스트와 중심 프레임은 크랭크 축과 후방 프레임은 후륜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KR2020050033790U 2005-11-30 2005-11-30 자전거 KR200408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790U KR200408665Y1 (ko) 2005-11-30 2005-11-30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790U KR200408665Y1 (ko) 2005-11-30 2005-11-30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665Y1 true KR200408665Y1 (ko) 2006-02-13

Family

ID=4175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790U KR200408665Y1 (ko) 2005-11-30 2005-11-30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66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370B1 (ko) * 2013-08-16 2015-03-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전거용 프레임 유닛 및 그 제작방법
WO2015199324A1 (ko) * 2014-06-24 2015-12-30 김종철 분리식 세발자전거의 체결방법
KR20160074273A (ko) 2014-12-18 2016-06-28 최준영 싱글기어 자전거의 고정기어 및 프리휠 기어 자유전환 크랭크 세트
KR101759783B1 (ko) 2015-07-13 2017-07-31 김영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370B1 (ko) * 2013-08-16 2015-03-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전거용 프레임 유닛 및 그 제작방법
WO2015199324A1 (ko) * 2014-06-24 2015-12-30 김종철 분리식 세발자전거의 체결방법
JP2017524599A (ja) * 2014-06-24 2017-08-31 キム チョンチョルKIM, Chong Chul 分離式三輪自転車の締結方法
KR20160074273A (ko) 2014-12-18 2016-06-28 최준영 싱글기어 자전거의 고정기어 및 프리휠 기어 자유전환 크랭크 세트
KR101759783B1 (ko) 2015-07-13 2017-07-31 김영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8853B2 (en) Tricycle
US9481419B2 (en) Bicycle
DE602007002047D1 (de) Zusammenklappbarer Roller mit dreifachem Trittbrett
KR200408665Y1 (ko) 자전거
US7044491B2 (en) Tricycle
KR20140115601A (ko) 유모차 겸용 자전거
US6659488B1 (en) Tricycle
US6010433A (en) Exerciser bike having two driving mechanisms
US6116683A (en) Bicycle touring seat
TW200505729A (en) Bicycle with adjustable orientation of the seat and the pedals with respect to the handlebars
US20060049597A1 (en) Vehicle which steering is controllable by its seat
US8128114B2 (en) Vehicle stabilization apparatus and vehicle formed therewith
CN102501930B (zh) 坐式踩踏滑板
JP2007099063A (ja) 自転車
KR100926742B1 (ko) 발판 전개식 트라이크
JP2010052709A (ja) 3輪自転車
KR101527293B1 (ko) 장애인의 신체특성을 고려한 네발자전거
KR101705295B1 (ko) 2인승 자전거
JPWO2005082700A1 (ja) 自転車
TW200610692A (en) Scooter type motorcycle
CN218751191U (zh) 一种躺骑式折叠电动自行车
CN209956144U (zh) 一种两用学步滑板车
KR200308948Y1 (ko) 퀵보드 겸용 자전거
JPH10138977A (ja) スクータ型車両
JP3099967U (ja) スクーター兼用の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