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933Y1 - 액정디스플레이모듈용제브라컨넥터 - Google Patents

액정디스플레이모듈용제브라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933Y1
KR200171933Y1 KR2019940030944U KR19940030944U KR200171933Y1 KR 200171933 Y1 KR200171933 Y1 KR 200171933Y1 KR 2019940030944 U KR2019940030944 U KR 2019940030944U KR 19940030944 U KR19940030944 U KR 19940030944U KR 200171933 Y1 KR200171933 Y1 KR 200171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zebra connector
display module
conducti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0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474U (ko
Inventor
유정일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40030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933Y1/ko
Publication of KR9600184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4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9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도전부(5)와 도전부(5)를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3)를 포함하고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브라 컨넥터에 있어서, 제브라 컨넥터의 휨성을 감소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작업 능률성이 향상되고,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과 회로기판을 밀착시키도록 하여, 전기신호를 액정 디스플레이에 정확하게 전달하여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고, 충격·진동시에도 굴곡 및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아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강부재(1)를 도전부(5)와 절연체(3) 사이에 삽입한 제브라 컨넥터.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용 제브라 컨넥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용 제브라 컨넥터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제3도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회로 기판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용 제브라 컨넥터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강부재 3 : 절연체
5 : 도전부 7 : 액정 디스플레이
9 : 전극 11 : 회로기판
13 : 제브라 컨넥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용 제브라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회로기판의 연결시 제브라 컨넥터에 보강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제브라 컨넥터의 휨성을 감소시키고, 제브라 컨넥터의 도전성을 용이하게 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용 제브라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중의 하나인 액정 디스플레이는, 통상 2매의 편광판을 부착한 유리기판을 평행하게 배치하여 그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이공간에 유전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주입하여 밀봉하고,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에 의하여 액정의 분자의 전기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문자나 숫자 혹은 임의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동 시키기 위하여 대규모 직접 회로를 장착한 회로기판이 필요하고 회로기판과 액정 디스플레이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주는 제브라 컨넥터와 면광원 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도록 클램핑 부재를 사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는 대규모 직접 회로를 장착한 회로 기판에서 전기적 신호를 주게 되면 제브라 컨넥터의 도전부를 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의 상,하부 유리기판 사이에 전극을 통하여 전기신호가 인가되어 전계가 형성되면, 액정 디스플레이 내부에 있는 유전이방성의 성질을 갖는 액정 분자의 특성에 의해 액정 분자는 배열이 재배치된다. 이때 면광원 장치에서 보내진 광의 투과율의 정도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3도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간략도로서, 액정 디스플레이(7)와, 전극(9)과, 회로기판(11)과, 제브라 컨넥터(13)를 포함하고 있다.
회로기판(11)에서 보내지는 전기 신호를 제브라 컨넥터(13)의 도전부(5)를 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7)의 전극(9)과 연결되어 액정 디스플레이(7)에 전달된다. 상기 전기신호를 받은 액정 디스플레이(7)는 내부의 액정 트위스트 각을 변화시킴으로서 빛의 투과율에 따라 임의의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 부품중 제브라 컨넥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브라 컨넥터의 간략도로서, 절연체(3)와, 도전부(5)를 포함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브라 컨넥터(13)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회로기판을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회로기판으로 부터 받아 제브라 컨넥터의 도전부(5)를 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에 전달하고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동하여 임의의 화상을 얻는 작용을 한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제브라 컨넥터의 문제점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브라 컨넥터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잘 휘어짐으로 제브라 컨넥터의 도전부와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과 회로기판의 접착이 일직선으로 되지 않기 때문에 조립된 상태에서도 굴곡이 많아 접촉이 불안한 상태로 되어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불량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브라 컨넥터의 조립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보강부재를 사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의 모듈 불량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액정 디스플레이와 회로기판과 제브라 컨넥터와 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도전부와 도전부를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를 포함하고 있는 제브라 컨넥터에 있어서,
절연체와 도전부 사이에 보강부재를 삽입하여 직선성을 향상시킨 제브라 컨넥터를 제공한다.
[작용]
본 고안의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용 제브라 컨넥터는, 보강부재 삽입으로 인한 제브라 컨넥터의 휨성이 감소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과 회로기판에 제브라 컨넥터의 도전부가 밀착되어 전기신호의 도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작업시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제브라 컨넥터 사시도로서, 보강부재(1)와, 절연체(3)와, 도전부(5)로 구성되어 있다. 도전부(5)는 회로기판에서 보내진 전기신호를 액정 디스플레이에 전달하여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동한다. 상기한 보강부재(1)는 절연체(3)와 도전부(5) 사이에 삽입하여 제브라 컨넥터를 지지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강성을 갖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제브라 컨넥터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길어져도 액정 디스플레이와 회로기판 사이를 정확하게 밀착하여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브라 컨넥터의 도전부(5)가 회로기판에서 보내지는 전기신호를 제브라 컨넥터의 도전부(5)를 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전극에 연결되어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동시켜 화상을 표시한다.
보강부재(1)가 제브라 컨넥터의 지지역할을 하여 제브라 컨넥터의 비틀림이 감소하며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작업능률성 향상되고, 충격·진동시에도 굴곡 및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아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제브라 컨넥터 사시도로서, 제1 실시예와 같이 보강부재(1)를 사용하는 것이나, 제1 실시예와 다른점은 절연체의 외측면에 보강부재(1)가 매립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제브라 컨넥터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제작상의 용이점을 갖는다.
[고안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용 제브라 컨넥터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회로기판 사이에서 제브라 컨넥터의 도전부를 통하여 회로기판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에 전달하여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동하여 화상을 전달함에 있어, 제브라 컨넥터의 도전부와 절연체 사이의 보강부재를 넣음으로서 지지역할을 하여 휘어짐이 방지되어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작업 능률성이 향상되고, 충격·진동시에도 굴곡 및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아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강부재를 삽입한 제브라 컨넥터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과 회로기판에 굴곡이 없이 밀착하여 회로기판에서 보내진 전기신호를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극에 전달함에 있어 도전성을 향상시켜 불량률을 줄이고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작할 수 있다.

Claims (1)

  1.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도전부와 도전부를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를 포함하고 있는 액정 모듈용 제브라 컨넥터에 있어서,
    절연체(3)와 도전부(5) 사이에 보강부재(1)를 삽입하여 강성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브라 컨넥터.
KR2019940030944U 1994-11-22 1994-11-22 액정디스플레이모듈용제브라컨넥터 KR200171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944U KR200171933Y1 (ko) 1994-11-22 1994-11-22 액정디스플레이모듈용제브라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944U KR200171933Y1 (ko) 1994-11-22 1994-11-22 액정디스플레이모듈용제브라컨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474U KR960018474U (ko) 1996-06-19
KR200171933Y1 true KR200171933Y1 (ko) 2000-03-02

Family

ID=1939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0944U KR200171933Y1 (ko) 1994-11-22 1994-11-22 액정디스플레이모듈용제브라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9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474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8784B1 (ko) 용장(冗長)회로를 갖춘 액정표시장치
US2007003042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EP0501413B1 (en) Plane-type display apparatus
US7742140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common voltage transmission wire
JPH0772494A (ja) 集積電子回路を具備した液晶ディスプレー
KR200171933Y1 (ko) 액정디스플레이모듈용제브라컨넥터
JP4597384B2 (ja) 表示装置
KR200163006Y1 (ko)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용 새시 쿠션재
KR100751237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블록
KR100327921B1 (ko) 플렉시블회로기판및이를통합한액정표시장치
JPH11174483A (ja) 液晶表示装置
JP2000171820A (ja) 液晶表示パネル
KR100322104B1 (ko) 액정표시소자 모듈
KR930005558B1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0151879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제조방법
JPH1139953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KR100683649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선 실장방법
KR100246842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실장 배선 및 그 제조방법
KR930002409Y1 (ko) 액정 표시 모듈
JP2511526Y2 (ja) 液晶表示装置
TW446838B (en) Drive IC,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H11167104A (ja) Lcdパネル及びそれを使用したlcdモジュール
JPS5930930Y2 (ja) 表示装置
KR19990041441U (ko) 액정표시소자
KR20040046484A (ko)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