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686Y1 - 축광피혁 - Google Patents

축광피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686Y1
KR200171686Y1 KR2019990014473U KR19990014473U KR200171686Y1 KR 200171686 Y1 KR200171686 Y1 KR 200171686Y1 KR 2019990014473 U KR2019990014473 U KR 2019990014473U KR 19990014473 U KR19990014473 U KR 19990014473U KR 200171686 Y1 KR200171686 Y1 KR 2001716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light emitting
pattern layer
emitting patter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태
Original Assignee
한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태 filed Critical 한상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6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6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3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leather sk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00Manufacture of leather; Machines or devices therefor
    • C14B1/44Mechanical treatment of leather surfaces
    • C14B1/56Ornamenting, producing designs, embo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13/00Manufacture of special kinds or leather, e.g. vell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0004General aspects of dyeing
    • D06P1/0012Effecting dyeing to obtain luminescent or phosphorescent dye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26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D06P1/5285Polyurethanes; Polyurea; Polyguan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73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혁의 상부에 발광무늬층과 이 발광무늬층을 보호하는 피복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피혁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축광피혁은 피혁의 상부에 발광무늬층이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해 밝은 곳에서는 보통의 인쇄무늬역할을 하면서, 그 무늬가 어두운 곳에서 자연발광함에 따라 선명하게 그 무늬를 식별할 수 있어 새로운 미적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축광피혁{Luminous leather}
본 고안은 축광피혁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자연발광함으로써 새로운 미적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 축광피혁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혁은 그 독특한 질감이나 보온효과 및 내구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의복이나 장신용품의 원단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천연피혁과 함께 천연피혁과 유사한 질감을 갖는 인조피혁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천연피혁은 동물의 가죽을 취하여 보존처리와 함께 표면가공처리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인조피혁은 부직포 등의 기재에 폴리우레탄 등의 고분자물질을 함침시킨 후 표면가공처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피혁에 미적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무늬를 인쇄하거나 입체무늬를 부여하는 등의 단순한 방법만 사용되고 있어 현대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피혁에 전혀 새로운 미적효과를 부여하여 다양한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 축광피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피혁의 상부에 발광무늬층과 이 발광무늬층을 보호하는 피복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피혁을 제공한다.
상기 발광무늬층은 (SrO)n-Al2O3, (MO)n-Al2O3, 아연황화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이 발광 유효성분으로 한다.
상기 구조의 축광피혁은 피혁의 상부에 발광무늬층이 구비되어 있음으로 인해 밝은 곳에서는 보통의 인쇄무늬역할을 하면서, 그 무늬가 어두운 곳에서 자연발광함에 따라 선명하게 그 무늬를 식별할 수 있어 새로운 미적효과를 갖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광피혁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혁원단 12 : 발광무늬층
14 : 피복층
이하, 본 고안의 축광피혁 및 이를 제조하는 공정을 도면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축광피혁의 단면도로서, 피혁원단(10)의 상부층에 발광무늬층(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무늬층(12)의 상부에 이를 보호하는 피복층(14)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피혁원단(10)은 보존처리된 천연피혁 원단이거나 인조피혁 원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피혁원단(10)의 상부층에 본 고안의 발광무늬층(12)과 피복층(14)을 형성하기 전에 원하는 색상으로 바탕색을 염색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이와 같은 피혁원단(10)에 발광물질 25~35중량부, 우레탄계 내지 아크릴계 바인더 25~35중량부, 왁스 10~20중량부를 적량의 물에 넣은 혼합물로써 발광무늬층(12)을 형성한 다음, 투명 내지 반투명의 피복층(14)을 형성하는데, 상기 혼합물에 혼합되는 발광물질은 무기물질로서 분말상의 것이 대부분으로 이를 다른 물질과 함께 물에 혼합시키면 에멀젼용액이 되고, 이 혼합물은 시간경과에 따라 그 균일성이 떨어지므로 단시간에 발광무늬층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광무늬층(12)의 발광물질은 (SrO)n-Al2O3, (MO)n-Al2O3, 아연황화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사용하고, 이 발광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써 인쇄롤을 이용하여 인쇄한다.
이후 피복층(14)은 발광무늬층(12)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 내부의 무늬를 외부에서 식별하기 용이하면서 그 내구성도 뛰어나야 하므로 경화제가 적량혼합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에나멜페인트를 이용하여 피복층(14)을 형성하거나, 유브이코팅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발광무늬층의 원료 혼합물 제조
다음의 배합비로 350g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rO)n-Al2O3계의 분말 100g
우레탄바인더 50g
아크릴바인더 50g
왁스 50g
러스터 50g
물 50g
실시예 2. 발광무늬층의 원료 혼합물 제조
다음의 배합비로 350g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MO)n-Al2O3계의 분말 100g
우레탄바인더 50g
아크릴바인더 50g
왁스 50g
러스터 50g
물 50g
실시예 3-4. 축광피혁의 제조
적색으로 염색처리된 천연피혁의 표면에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혼합물을 각각 이용하여 발광무늬층을 형성시켜 건조시킨 다음, 그 위에 유브이코팅처리하여 피복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5-6. 축광피혁의 제조
상기 실시예 3-4에서 피복층을 투명에나멜 100g과 경화제 50g을 신나 50g에 용해시켜 이를 이용하여 피복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4와 동일하게 축광피혁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8. 축광피혁의 제조
폴리우레탄계 인조피혁의 표면을 적색으로 염색한 다음 그 표면에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혼합물을 각각 이용하여 발광무늬층을 형성시켜 건조시킨 다음, 그 위에 유브이코팅처리하여 피복층을 형성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3-8에서 제조된 축광피혁의 질감은 통상적인 천연피혁이나 합성피혁과 질감면에서 뒤떨어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밝은 곳에서도 그 무늬를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음은 물론 어두운 곳에서 그 무늬를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발광물질 특유의 은은한 빛이 전혀 새로운 미감을 부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축광피혁은 통상적인 피혁의 용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밝은 곳에서는 보통의 인쇄무늬 역할을 하면서도 어두운 곳에서는 발광무늬층에서 발하는 빛으로 인해 전혀 새로운 미감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피혁원단의 상부에 발광무늬층과 이 발광무늬층을 보호하는 피복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피혁.
  2. (삭제)
KR2019990014473U 1999-07-21 1999-07-21 축광피혁 KR20017168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559A KR100334628B1 (ko) 1999-07-21 1999-07-21 축광피혁과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559A Division KR100334628B1 (ko) 1999-07-21 1999-07-21 축광피혁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686Y1 true KR200171686Y1 (ko) 2000-03-15

Family

ID=196033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559A KR100334628B1 (ko) 1999-07-21 1999-07-21 축광피혁과 그 제조방법
KR2019990014473U KR200171686Y1 (ko) 1999-07-21 1999-07-21 축광피혁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559A KR100334628B1 (ko) 1999-07-21 1999-07-21 축광피혁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34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360B1 (ko) * 2001-09-13 2004-07-02 주식회사 웅천텍스텍 고내구성, 고드레이프성 축광 문양 섬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4628B1 (ko) 2002-05-09
KR20000053678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8005A (zh) 一种植入蚕茧或蚕茧片的织物
KR200171686Y1 (ko) 축광피혁
CN203623051U (zh) 一种自带反光图案的彩光面料
CN201067271Y (zh) 一种夜光杯
KR100965617B1 (ko) 낚시 인조 미끼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U6406886A (en) Decorative inlaid types of sheet materials
CN102070303A (zh) 一种单侧自发光丝印玻璃的制造工艺
KR101049522B1 (ko) 야광자개판의 제조방법
JP2007068613A (ja) お守り袋
JPS62104988A (ja) 螢光性及び燐光性を有するレ−ス生地
US20080096461A1 (en) Glow in the dark toys and articles
JPS6324090Y2 (ko)
CN217895895U (zh) 一种发光炫彩丝带
JP2001000218A (ja) 発光人造真珠及びその製造方法
CN213487314U (zh) 一种大漆银镯
KR100282016B1 (ko) 축광 특성을 갖는 합성피혁 및 이의 제조 방법
US2243764A (en) Ornament
JPS6451344A (en) Enameled article
WO2002066729A1 (en) A transcribed leatherette for ball
JPH0734305A (ja) 蛍光色に輝く人工観葉植物
JPS6327729Y2 (ko)
CN205553740U (zh) 一种可发光刀彩
CN2592651Y (zh) 夜光真皮移膜革
Kuehni Color and colorants in ancient Egypt
CN105385218A (zh) 避免被仿制的服装标签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