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386Y1 - 탄성 조임력이 단계별로 다르게 형성된 거들 - Google Patents

탄성 조임력이 단계별로 다르게 형성된 거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386Y1
KR200171386Y1 KR2019990016752U KR19990016752U KR200171386Y1 KR 200171386 Y1 KR200171386 Y1 KR 200171386Y1 KR 2019990016752 U KR2019990016752 U KR 2019990016752U KR 19990016752 U KR19990016752 U KR 19990016752U KR 200171386 Y1 KR200171386 Y1 KR 200171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le
weave
belly
pattern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용택
Original Assignee
심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용택 filed Critical 심용택
Priority to KR2019990016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3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3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 A41C1/04Elastic corsets made of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 조임력이 단계별로 다르게 형성된 거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거들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탄력성 조직으로 직조하여 조여줄 수 있도록 한 것들이 대부분으로서 거들을 착용하는 목적은 배 부분과 엉덩이 부를 조여주도록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나 인체의 배 부위는 윗배와 중간배, 아랫배 등이 실제에 있어서는 일정하지 않으며 서로 다른 체형 곡선을 갖게 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조이게 됨으로서 착용시 행동이 부자연 스럽고 불편할 뿐 아니라 인체의 버디라인을 제대로 살려주지 못하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거들의 허리 부분에서 배부분에 이르는 부위 즉, 윗배와 중간배 및 아랫배를 서로다른 탄성조직으로 직조하여 부위별로 조여 줌으로서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는 동시에 착용 하였을 때 인체의 버디 라인을 살려 거들 본래의 기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 조임력이 단계별로 다르게 형성된 거들 {Girdle for differ elasticity tighten 3 flights of stairs made}
본 고안은 탄성 조임력이 단계별로 다르게 형성된 거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허리와 배 부분을 3등분하여 윗배, 중간배, 아랫배 별로 부위마다 탄력을 다르게 하여 조여 줌으로써 착용감이 좋으면서 전체적인 버디 라인을 조화롭게 살려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거들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탄력성 조직으로 직조하여 조여줄 수 있도록 한 것들이 대부분으로서 거들을 착용하는 목적은 배 부분과 엉덩이 부를 조여주도록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나 인체의 배 부위는 윗배와 중간배, 아랫배 등이 실제에 있어서는 일정하지 않으며 서로 다른 체형 곡선을 갖게 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조이게 됨으로서 착용시 행동이 부자연 스럽고 불편할 뿐 아니라 인체의 버디라인을 제대로 살려주지 못하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결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거들의 허리 해당부위로부터 아랫배 해당 부위까지를 3등분하여 각 부분의 탄력을 다르게 직조 제작함으로써 착용하였을 때 각 부위별로 다르게 조여지도록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인체의 버디라인을 최대한 살려 맵시있게 보이도록 하는 탄성 조임력이 단계별로 다르게 형성된 거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형성된 거들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가)부 직조 상태도
도 3은 도 1의 (나)부 직조 상태도
도 4는 도 1의 (다)부 직조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거들은 허리 해당부위로부터 아랫배 해당부위까지가 (가)(나)(다)의 3부분으로 분할되어 탄성 조임력이 각 부분에서 다르게 나타나도록 각각 직조되어 있으며, 그 이외의 부분은 일반적인 타올직으로 직조되어 착용시 위생적이면서 편안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가)(나)(다)의 3부분은 인체 구조학상 가장 편안하면서도 맵시를 살릴 수 있도록 늘어나는 성질 및 조이는 성질이 (가)부에서 제일 크고 (나)(다)의 순으로 점차 작아지게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나)(다)의 3부분에서 탄성 조임력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직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거들은 허리로부터 아랫배까지를 조여주어 사용자의 몸매를 맵시있게 만들어 줌으로써 그 위에 의복을 착용하였을 때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것이므로 거들에 일정한 탄성 조임력이 부여되어야 함은 자명하며, 이를 위해 면소재로 된 일반 섬유직(이하 일반직)과 탄성력을 갖는 고무직을 복합적으로 직조하여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직과 고무직의 혼합 비율에 따라 탄성 조임력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본 고안에 따른 거들의 제작에 적용한 것이다.
먼저, (가)부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직(c)과 고무직(r)이 1:1, 1:3의 패턴으로 반복되도록 직조하여 고무직(r)의 분포를 많게 함으로써 탄성력을 크게 한 것으로, 일반직(c)에 일정량의 나일론직(n)을 첨가하여 조여지는 힘을 더 부가하여 후술할 (나)와 (다)부에 비해 늘어나거나 조여지는 힘을 더 크게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패턴으로 한 줄을 직조하고, 다음에는 일반직(c)에 일정량의 나일론직(n)이 포함된 섬유 조직으로 다시 한 줄을 직조하며 이를 반복하여 (가)부를 구성하게 된다.따라서, 일반직(나일론직 포함)(c,n)과 고무직(r)이 1:1, 1:3의 패턴으로 반복되어 있는 줄과, 패턴없이 일반직(나일론 포함)(c,n)으로만 되어 있는 줄이 (가)부의 폭범위에 교번으로 배열되는 것이다.이때, (가)부 전체에서 늘어나는 성질과 조이는 성질을 동일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한 패턴이 반복되어 있는 줄의 패턴 위치를 1줄 단위 혹은 2줄 단위로 어긋나게 혼직할 수 있으며, 도면상에는 2줄 단위로 일반직(나일론직 포함)(c,n) 및 고무직(r)의 위치가 어긋나게 혼직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상기 (나)부는 면적으로만 된 일반직(c)과 고무직(r)이 1:1, 1:3의 패턴을 가지지만 전체적으로 1:3의 분포가 줄고 1:1의 분포가 많아져 고무직(r)이 (가)부에 비해 적게 분포된다. 또한, 패턴을 가진 줄들의 사이에 패턴없이 직조되는 일반직(c)에는 나일론직(n)을 미량 첨가하게 되는데, 이때의 나일론직(n) 첨가량은 (가)부에 비해 약 1/2 수준으로 축소되어 탄성력이 (가)부에 비해 작아짐은 물론 조여지는 힘도 (가)부에 비해 줄어들게 된다.도 3은 상기 (나)부를 나타낸 것으로, 일반직(c)과 고무직(r)의 비율이 1:1, 1:1, 1:1, 1:1, 1:3의 패턴을 갖고 반복하여 직조된 것을 알 수 있다.또한, 상기와 같은 패턴으로 한 줄을 직조하고, 다음에는 일반직(c)에 미량의 나일론직(n)이 포함된 섬유 조직으로 다시 한 줄을 직조하며 이를 반복하여 (나)부를 구성하게 된다.따라서, 일반직(c)과 고무직(r)이 상기와 같은 패턴으로 반복되어 있는 줄과, 패턴없이 일반직(나일론직 포함)(c,n)으로만 되어 있는 줄이 (나)부의 폭범위에 교번으로 배열되는 것이다.이때에도 (가)부와 마찬가지로 (나)부 전체에서 늘어나는 성질과 조이는 성질을 동일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한 패턴이 반복되어 있는 줄의 패턴 위치를 1줄 단위 혹은 2줄 단위로 어긋나게 혼직할 수 있으며, 도면상에는 2줄 단위로 일반직(c) 및 고무직(r)의 위치가 어긋나게 혼직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상기 (다)부는 도 4와 같이 전체적으로 일반직(c)과 고무직(r)의 비율이 1:1의 패턴으로 되어 있고, 나일론도 별도 첨부되지 않고 면으로만 편직되어 일반직으로 직조된 것이다.또한, 상기와 같은 패턴으로 한 줄을 직조하고, 다음에는 면직으로만 된 일반직(c)으로 다시 한 줄을 직조하며 이를 반복하여 (다)부를 구성하게 된다.따라서, 고무직(r)의 간격이 좁아서 늘어났다 좁아지는 힘이 약하고, 전체가 1:1의 패턴으로 되어 있어 폭이 넓게 나오고 또 나일론도 들어가지 않아 인체에 느끼는 힘이 약하게 된다.이때에도 (가) 또는 (나)부와 마찬가지로 (다)부 전체에서 늘어나는 성질과 조이는 성질을 동일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한 패턴이 반복되어 있는 줄의 패턴 위치를 1줄 단위 혹은 2줄 단위로 어긋나게 혼직할 수 있으며, 도면상에는 1줄 단위로 일반직(c) 및 고무직(r)의 위치가 어긋나게 혼직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이상과 같이 거들의 허리 해당부위로부터 아랫배 해당부위까지 3부분으로 각기 다르게 직조되는 본 고안은 착용하였을 때 상단 허리부는 강하게 조이고 점차 아래로 올수록 조이는 힘을 약하게 함으로써 인체의 버디 라인을 살려주는 동시에 착용감을 좋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조여 착용이 불편하면서도 버디 라인을 제대로 살려주지 못하는 문제를 허리부에서 배부분에 이르는 상부측을 3단으로 각각 조임력을 달리할 수 있도록 직조하게 됨으로써 착용시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되어 착용감이 우수하며, 인체의 버디라인을 살려 아름다운 몸매로 만들어 주는 거들 본래의 목적을 최대한 실현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반적인 면직으로 직조됨과 동시에 조임력을 갖는 고무직으로 직조되는 거들에 있어서,
    상기 거들의 허리 해당부위로부터 아랫배 해당부위까지가 3부분으로 분할되어 그 중 최상부는 면직에 나일론직이 소정량 첨가된 섬유와 고무직의 비율이 1:1, 1:3의 패턴으로 반복 직조되어 있는 줄과, 면직에 나일론직이 소정량 첨가된 섬유로 직조되어 있는 줄이 반복되어 있으며,
    중간부는 면직과 고무직의 비율이 1:1, 1:1, 1:1, 1:1, 1:3의 패턴으로 반복 직조되어 있는 줄과, 면직에 나일론직이 상기 최상부보다 적게 첨가된 섬유로 직조되어 있는 줄이 반복되어 있고,
    최하부는 면직과 고무직의 비율이 1:1의 패턴으로 반복 직조되어 있는 줄과, 면직으로 된 줄이 반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조임력이 단계별로 다르게 형성된 거들.
KR2019990016752U 1999-08-14 1999-08-14 탄성 조임력이 단계별로 다르게 형성된 거들 KR200171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752U KR200171386Y1 (ko) 1999-08-14 1999-08-14 탄성 조임력이 단계별로 다르게 형성된 거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752U KR200171386Y1 (ko) 1999-08-14 1999-08-14 탄성 조임력이 단계별로 다르게 형성된 거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386Y1 true KR200171386Y1 (ko) 2000-03-15

Family

ID=1958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752U KR200171386Y1 (ko) 1999-08-14 1999-08-14 탄성 조임력이 단계별로 다르게 형성된 거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3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013B2 (en) Elastic material having variable modulus of elasticity
CA2248693A1 (en) Girdle for tights, substantially the region that constitutes the panty, formed by a tuck-stitch mesh, so as to give the mesh a high relief effect with alternating undulations
JPWO2011136066A1 (ja) ストレッチ織物および伸縮性を有するズボン
CN101331982A (zh) 由伸缩性针织物制成的衣服
KR940013400A (ko) 의류
KR200171386Y1 (ko) 탄성 조임력이 단계별로 다르게 형성된 거들
JP2003138456A (ja) 衣料用の伸縮性経編地
WO2021006150A1 (ja) 水着
JPH11140752A (ja) 伸縮性たて編地とその編成方法
JP6812136B2 (ja) 伸縮性経編地
JP6902331B2 (ja) 弾性経編地およびスポーツ用衣料
CN218185325U (zh) 一种裤腰及裤子
CN215603264U (zh) 一种具有塑形功能的服装
JP2547489Y2 (ja) ガードル
JP2001254201A (ja) ストレッチ性ある下着
CN219373869U (zh) 便于穿戴式泳衣
KR200430472Y1 (ko) 청바지
JP5473380B2 (ja) 凹凸模様を有する伸縮性経編地
JP2018188769A (ja) 伸縮性経編地
JP6358721B1 (ja) 補整機能性下着
KR200219825Y1 (ko) 대마사를 이용한 팬티
KR200287374Y1 (ko) 거들
JPS606402Y2 (ja) ズボン
KR200271233Y1 (ko) 밴드직물
KR200411421Y1 (ko) 거들 겸용 타이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