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784Y1 - 이동영상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784Y1
KR200170784Y1 KR2019990018701U KR19990018701U KR200170784Y1 KR 200170784 Y1 KR200170784 Y1 KR 200170784Y1 KR 2019990018701 U KR2019990018701 U KR 2019990018701U KR 19990018701 U KR19990018701 U KR 19990018701U KR 200170784 Y1 KR200170784 Y1 KR 200170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ojector
support
scree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용
Original Assignee
최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용 filed Critical 최해용
Priority to KR2019990018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7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7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영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상단에는 투사거리를 유지하고 프로젝터를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의 지지대를, 케이스 중단에는 밝기 2∼30게인의 반사성 스크린을 구성하고 케이스 하단에는 상단의 지지대와 프로젝터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하부지지대를 구성하여 하나의 케이스 구조에 반사성 스크린과 프로젝터의 투사구조를 모두 결합구성 하므로서 이동, 설치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 프로젝터를 복수개 구성시는 입체 영상장치로도 사용이 가능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영상장치{PROJECTiON SYSTEM.}
본 고안은 반사성스크린과 영상프로젝터의 구조를 하나의 구조로 일체화하되 휘도가 높고 설치 이동이 간편하고 입체 영상장치로도 가능한 목적으로 고안된 이동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가' 도와 같이 종래 영상장치는 투사프로젝터(3)를 천정에 스크린(2)을 벽면에 고정하였다.
이러한 장치는 프로젝터를 천정에 설치 하고자 할시 건물구조에 따라 공사가 번거롭고 높이 조정 및 투사각도 조정이 매우 불편할 뿐만아니라 안정성에도 위험이 있으며 특히 벽과 천정에 고정된 형태라 이동사용이 불가능 하였다.
또한 도 1의 '나' 와 같이 투과형 스크린(2A) 후단에 반사경(2B)과 프로젝터(3)를 설치한 투과형 영상장치가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투과형 스크린(2A) 자체가 프로젝터(3)의 광원을 산란한 후 투과하는 구조이므로 영상 광원의 밝기 효율이 반사성 스크린(2)에 비해 반이하로 급감하고 외광에 의해 영상이 흐려지는 것은 공지되어 있으며 화면이 클수록 반사경(2B)도 비례하여 대형을 사용해야 하고 이에 따라 무게도 무거워지므로 주로 70'이하 소형에 한정 사용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상기 투과형 스크린(2A) 구조에서는 빛투과율이 저조하므로 이를 입체 영상구조로 사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밝기 효율인 높은 2게인(Gain) 이상인 반사성 스크린과 액정프로젝터의 구조를 하나의 케이스 구조내에 결합하되 반사경 사용없이 스크린으로 직투사형으로 구성하여 80'이상의 대형화면 영상장치의 이동및, 사용을 간편 하게 하고 스크린의 밝기 효율을 높일수 있을 뿐 아니라 프로젝터를 복수구조로 사용시는 그대로 입체 영상 투사 구조로도 사용 가능하게끔 고안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영상장치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이 실시된 실시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중 투사각 조정대의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지지틀대의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용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입체영상투사장치 응용 사용시의 설명도
도면의 명칭에 대한 간략한 설명
1. 케이스 2. 반사성스크린 3. 프로젝터 4. 결합판
5. 투사각조정대 6. 지지대 7. 하부지지대 8. 지지대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동영상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케이스(1) 내부에 표면에 영상을 결상하는 반사성 스크린(2)을 설치하고 케이스(1) 상단에 프로젝터(3)의 투사거리가 감안된 길이의 지지대(6)가 케이스(1) 상단에 결합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되 지지대(6) 전단에 프로젝터(3)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판(4) 구조와 투사각조정대(5) 구조를 구성한다.
케이스(1) 하단으로는 하부지지대(7)가 케이스(1) 하단부와 결합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고 하부지지대(7) 전단에는 고정대(8)을 구성한다.
반사성스크린(2)의 밝기 지수로 사용되는 단위는 게인(Gain)이다
카본화이트 블럭에 조사한 광량의 반사량을 1게인으로하고 통상 일반 화이트매트 스크린의 반사량은 1게인이며 거울은 100게인으로 지칭되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반사성 스크린(2)의 구성은 2게인 이상 30게인 미만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이유는 2게인 미만일시는 반사성이 약해 외광에 의해 밝기가 급격히 저하되고 또 입체영상 투사시 좌,우 영상의 산란 편광도 자체가 무너져 입체 영상 시현이 불가능해지며 30게인 이상일시는 반사가 지나쳐 시야각이 좁아지고 밝기는 증가하나 영상 자체의 컨트라스트가 무너져 버리기 때문이다.
투사각조정대(5)의 구조는 도 3과 같이 지지대(6)와 결합한 회전축(51) 상부에 반원으로 이동홈(52)을 구성하고 동 이동홈(52)으로 고정나사(53)를 구성하여 결합판(4)에 결합한 프로젝터(3)의 투사각도를 조정하게 끔 구성한다
지지대(6)의 구조는 견고성을 지지하기 위한 틀대(9) 상단으로 사용시는 결합하고 필요시는 분리하게 구성하며 하부지지대(7)의 구조 역시 틀대(9) 하단에 필요에 따라 결합 분리하게 구성한다.
도4와 같이 케이스(1) 내부구조에 틀대 구조를 완성 하고 지지대(6)가 삽입 할수 있는 결합대(9A) 구조와 하부지지대(7)가 삽입 할수 있는 하부결합대(7A)로 구성 할시 케이스(1)외의 마감재를 가벼운 소재로 구성 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와 같이 지지대(6)와 하부지지대(7) 구조를 케이스(1) 상,하단을 기축으로 상하 회전하여 절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지지대(6) 전단에 프로젝터(3)를 상하 이단으로 복수개 구성하고 동 프로젝터(3,3A) 전단에 각기 편광판(3B,3C)를 부착 구성하며 입체영상 투사구조를 완성한다.
반사성스크린(2)에서 편광한 상태로 각기 상단 프로젝터(3)에서 좌영상을, 하단 프로젝터(3A)에서 우영상을 각기의 편광판(3B,3C)에 의해 투사결상(投射結像)하고 이를 각기 좌,우측으로 편향된 편광안경에 의해 입체 관측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2 및 도 5와 같이 프로젝터(3) 영상의 빛은 반사성 스크린(2)에 투사되고 투사된 빛은 시청자의 위치로 반사형성된다.
이경우 프로젝터(3)는 지지대(6)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고 투사각조정대(5)에 의해 투사각도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지지대(6)는 틀대(9)와 간단히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결합시는 틀대(9)에 의해 안정되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이동시는 필요에 따라 인입(引入)하여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이동에도 용이하다.
하부지지대(7) 역시 틀대(9) 하단에 인입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결합시는 본체 케이스(1) 전체를 지지하고 상단 지지대(6)를 지지하게 되므로 매우 안정한 영상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도 1의 '가' 도와 같이 건물 상태에 따라 천정과 벽에 프로젝터(3)와 스크린(2)을 어렵게 설치하는 공사과정을 삭제할 수 있으며, 프로젝터(3)의 투사각도 조정이 용이하고 간편하므로 사용장소로 이동 사용할 수 있고 반사경의 구조없이 직투사구조를 스크린에 투사하므로 영상의 광량 손실없이 가벼운 구조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1의 '나' 도와 같은 종래 투과형스크린(2A)의 구조가 공지된 바와 같이 영상을 결상하려면 95% 이상은 투과하지 못하고 5% 이내에만 산란하는 물리적 한계로 투과된 영상이 매우 어둡고 투과된 영상 자체도 외광(外光)에 의해 매우 흐려지는 단점을 본 고안은 50%이상의 입사 광량을 효율적 으로 활용 할수 있는 반사성스크린(2)을 영상 스크린 으로 구성 하고 2게인 아상 30게인 미만의 표면 반사성스크린을 사용하므로서 밝기를 제고하고 입체영상시현도 가능하게 할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본 고안은 지지대(6)와 하부지지대(7) 구조를 결합 분리하거나 상하 절첩하여 사용장소로의 이동이 간편하여 필요한 장소에서 간단히 설치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입체영상전시장치로도 사용이 간편하므로 학교, 교육장소, 전시회, 옥외광고장치등 여러 용도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프로젝터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영상장치에 있어서
    케이스(1) 상단에는
    케이스(1)와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지지대(6)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6) 전단으로는 투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투사각조정대(5)에 프로젝터(3)를 결합한 다음
    케이스(1) 중단에는 반사성스크린(2)을 구성하되
    반사성스크린(2)의 반사율은 2∼30게인으로 형성하고
    케이스(1) 하단에는 하부지지대(7)를 결합구성하므로서
    하나의 케이스(1)에 반사성스크린(2)과 투사장치를 구성한 것이 특징인 이동영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젝터(3)의 구성을 상하 복수개 구성하고 그 전단에 편광판(3B, 3C)을 결합하여 입체영상투사장치가 가능한 것이 특징인 이동영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대(1)와 하부지지대(7)의 구조가 케이스(1) 상하단을 기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끔 구성한 것이 특징인 이동영상장치
KR2019990018701U 1999-08-31 1999-08-31 이동영상장치 KR200170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701U KR200170784Y1 (ko) 1999-08-31 1999-08-31 이동영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701U KR200170784Y1 (ko) 1999-08-31 1999-08-31 이동영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784Y1 true KR200170784Y1 (ko) 2000-03-15

Family

ID=1958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701U KR200170784Y1 (ko) 1999-08-31 1999-08-31 이동영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7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1988B (zh) 投影机
CN1669066B (zh) 具有反射镜和偏振转换器的偏振光源系统
EP1585344A3 (en)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WO2009119719A1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8454168B2 (en) Stereo display apparatus
JPWO2004021079A1 (ja) 投写型表示装置
KR200170784Y1 (ko) 이동영상장치
KR960039930A (ko)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JPH0767162B2 (ja) 液晶投写装置
CN219418280U (zh) 具有投影功能和显示屏的学习机
CN218213776U (zh) 一种透明背投屏幕及投影系统
JP2000352695A (ja) 映像表示装置
JP3501788B2 (ja) 背面投射型プロジェクタ
KR100499920B1 (ko) 좌,우 정화면 영상 시스템(左,右 正畵面 映像 system)
JP2601083B2 (ja) 投影型ディスプレイ
KR20180101673A (ko) 프로젝터 세로투사용 고정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돔형 스크린
KR100443765B1 (ko) 입체영상전시장치
JP3088145U (ja) 可動型背面投写型プロジェクター装置
KR200356648Y1 (ko) 영상기기
KR200167814Y1 (ko) 입체투사 브라켓 장치
JPH1172846A (ja) 投写型表示装置
JPH04362622A (ja) 背面型4面マルチ液晶投射装置
JP3309110B2 (ja) 投影型表示装置
KR100388270B1 (ko) 리어 프로젝션 광학계
JPH05157988A (ja) 背面型液晶カラー投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