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817Y1 - 가구용 문짝 - Google Patents

가구용 문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817Y1
KR200169817Y1 KR2019990017445U KR19990017445U KR200169817Y1 KR 200169817 Y1 KR200169817 Y1 KR 200169817Y1 KR 2019990017445 U KR2019990017445 U KR 2019990017445U KR 19990017445 U KR19990017445 U KR 19990017445U KR 200169817 Y1 KR200169817 Y1 KR 200169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door
box
storage
c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점중
Original Assignee
윤점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점중 filed Critical 윤점중
Priority to KR2019990017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8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6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가구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함의 형태로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에서와 같이 문짝을 원만하게 닫을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소정 물품을 비치 보관하는 가구(F)의 전면 개방 부분을 여닫도록 경첩(16)에 의해 가구(F)에 장착되는 가구용 문짝에 있어서, 그 내측면이 개방되는 보관함부(2)(4)가 형성된 함의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구용 문짝{Door for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용 문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소용품을 비치 보관하는 소정 가구를 여닫도록 가구에 장착되어지는 가구용 문짝에 관한 것이다.
신발을 넣어 보관하기 위한 신발장, 의류 및 침구류를 넣어 보관하는 장롱, 식기 및 주방기구를 넣어두는 주방가구 등은 각각에 알맞는 물품의 수납장으로서, 수납물을 꺼내기 쉬운 상태로 은폐시키기 위하여 보통 문짝이 장착된 구조로 구성되어지는데, 특히 신발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하면판(50,52)과 좌,우측면판(54,56) 및 배면판(58)이 전면 개방상태의 함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함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60)이 구비됨에 따라 신발을 적층 상태로 다수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개방된 전면 부분을 문짝(62)으로 여닫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문짝(62)은 보통 여닫이식으로 좌우측면판(54,56)과 경첩(64)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문짝(62)은 내부의 보관물만을 은폐시킬 수 있을 뿐이어서 때에 따라서는 도 2에서와 같이 문짝(62)의 내측면에 걸이용 고리나 바아 (60)등을 장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구용 문짝은 다른 소용물을 별도로 수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거나, 단순히 걸어둘 수 있는 구조이므로 가구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걸이용 고리나 바아 등이 설치된 경우에는 고리나 바아가 내부 보관물에 접촉되어 문짝을 원만하게 닫을 수 없게 만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의 보관물을 은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소용물을 별도로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가구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걸이용 고리나 바아 등이 설치된 경우에서와 같이 문짝을 원만하게 닫을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된 가구용 문짝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구의 종래 문짝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가구의 다른 종래의 문짝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문짝의 적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가구용 문짝을 나타내는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가구용 문짝을 나타내기 위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가구용 문짝을 나타내기 위한 일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4 : 보관함부 6 : 격벽
8 : 우산 10 : 보관함부의 일측벽
12 : 보관함부의 타측벽 14 : 걸이봉
16 : 경첩 20, 22 : 트레이
24, 26 : 공구함부 A : 방향제
B : 가로봉 D : 문짝
F : 가구 N, N' : 걸이부재
S : 구두주걱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소정 물품을 비치 보관하는 가구의 전면 개방 부분을 여닫도록 경첩에 의해 가구에 장착되는 가구용 문짝에 있어서, 그 내측면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다수의 걸이부재가 구비되는 보관함부가 보유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관함부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레이가 인출 가능하게 문짝면에 밀착되어 횡렬로 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보관함부의 상부로 상측 개방 형태의 공구함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짝이 제공된다.
상기한 보관함부는 격벽에 의해 2개소의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보관함부의 좌,우측벽면은 서로 대칭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소정 물품을 비치 보관하는 가구의 전면 개방 부분을 여닫는 가구용 문짝에 관련된다. 즉, 신발을 넣어 보관하기 위한 신발장, 의류 및 침구류를 넣어 보관하는 장롱, 식기 및 주방기구를 넣어두는 주방가구 등은 각각에 알맞는 물품의 수납장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신발장 뿐만 아니라, 상기한 장롱 및 주방가구 등과 같은 가구류의 문짝은 도 3과 도 4 및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면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보관함부(2)(4)가 보유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관함부(2)(4)는 격벽(6)에 의해 2개소의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의 보관함부(2) 상측으로 다수의 걸이부재(N)가 구비되어 있어 이에 다수의 우산(8) 등이 각각 걸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이러한 다수의 걸이부재(N) 하측으로 적어도 복수개의 가로봉(B)이 보관함부(2)의 일측벽(10)과 상기 격벽(6)의 내측선단부에 연장되어 있어 상기 걸이부재(N)에 걸린 우산(8)이 문짝(D)을 열 때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타측의 보관함부(4) 상측으로는 보관함부(4)의 타측벽(12)과 상기 격벽(6)으로 그 양단이 연장되는 걸이봉(14)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타측 보관함부(4)의 소정 부위 벽체에 다른 다수의 걸이부재(N')가 구비되어 있어 방향제(A)나 구두주걱(S) 등을 걸어둘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관함부(2)(4)의 좌,우측벽(10)(12)면은 서로 대칭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있으며, 그 일측의 측벽면(10)에 경첩(16)을 달고 이러한 경첩(16)을 가구(F)에 결합시켜 문짝(D)이 가구(F)로부터 여닫히는 상태로 가구(F)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보관함부(2)(4)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레이(20)(22)가 인출 가능하게 문짝(D)면에 밀착됨으로써 횡렬로 비치되도록 구비되어 있어 우산(8) 등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이나 이물질을 받아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함부(2)(4)의 상부로 상측 개방 형태의 공구함부(24)(26)가 구성됨으로써, 이에 소정의 공구 등과 같은 물품을 비치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문짝(D)은 가구(F)와 별도로 다른 소용물들을 보관할 수 있으며, 가구(F) 측으로 보관물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원만히 가구(F)로 닫힐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문짝은 내부의 보관물을 은폐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가구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함의 형태로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에서와 같이 문짝을 원만하게 닫을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된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소정 물품을 비치 보관하는 가구의 전면 개방 부분을 여닫도록 경첩에 의해 가구에 장착되는 가구용 문짝에 있어서, 그 내측면이 개방되는 보관함부가 형성된 함의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관함부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레이가 인출 가능하게 문짝면에 밀착되어 횡렬로 비치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부의 상부로,
    상측 개방 형태의 공구함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관함부가,
    격벽(6)에 의해 2개소의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관함부의 좌,우측벽면이,
    서로 대칭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짝.
KR2019990017445U 1999-08-23 1999-08-23 가구용 문짝 KR200169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445U KR200169817Y1 (ko) 1999-08-23 1999-08-23 가구용 문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445U KR200169817Y1 (ko) 1999-08-23 1999-08-23 가구용 문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817Y1 true KR200169817Y1 (ko) 2000-02-15

Family

ID=1958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445U KR200169817Y1 (ko) 1999-08-23 1999-08-23 가구용 문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8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7011B2 (en) Food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3822925A (en) Utility-door storage container
US20070126326A1 (en) Locking divider for a refrigerator storage compartment
ITVA20100007U1 (it) Frigorifero con contenitore di stoccaggio
US20060152122A1 (en) Door mounted dairy compartment for a refrigerator
KR200169817Y1 (ko) 가구용 문짝
KR20120045345A (ko) 천장 매립형 수납장
US5730513A (en) Hair appliance storage cabinet
KR200385893Y1 (ko) 세로형 수납장
JP3205182U (ja) クローゼットの構造
US20060076305A1 (en) Wall-hanging cabinet
JPS6124104Y2 (ko)
KR200181591Y1 (ko) 가구의 서랍 개량 구조
JP3244897U (ja) 集合住宅用玄関の構造
JP4320090B2 (ja) ランドリーユニット及びその設置構造
JP3017548U (ja) 収納ケース
JP7476019B2 (ja) キャビネット
KR200288618Y1 (ko) 보관함이 설치된 장롱
JPH0629443U (ja) 台所用収納棚
RU12586U1 (ru) Дверь с дополнительным полезным объемом
KR200343937Y1 (ko) 캐비닛 옷장용 꽂이대
KR200233763Y1 (ko) 가구용 간이 옷걸이대
JPH0522100Y2 (ko)
KR920004624Y1 (ko) 간이 보관대
JPH02195905A (ja) 住宅等における収納システムおよび該収納システムにおける収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