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354Y1 - 스프링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354Y1
KR200169354Y1 KR2019940015739U KR19940015739U KR200169354Y1 KR 200169354 Y1 KR200169354 Y1 KR 200169354Y1 KR 2019940015739 U KR2019940015739 U KR 2019940015739U KR 19940015739 U KR19940015739 U KR 19940015739U KR 200169354 Y1 KR200169354 Y1 KR 200169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od
fixed object
insertion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5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274U (ko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40015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354Y1/ko
Publication of KR9600022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2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3Attachments or mountings characterised by the ends of the spring being specially adapted, e.g. to form an eye for engagement with a radial inse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부에만 걸이부를 갖추고 타단부는 봉체를 갖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기 봉체의 적소에 내곡 구비된 두개 이상의 내곡홈,
상기 봉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큰 내경의 삽입공을 갖춘 피고정물,
상기 피고정물의 상기 삽입공에 상기 봉체를 삽입하고 상기 피고정물을 스와징하여 상기 봉체의 상기 내곡면에 상기 피고정물이 일체로 매입 형성하므로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각종 현가, 기구장치에서 스프링과 피고정물과의 결속력을 극대화시켜 이들이 적용되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의 연결장치
제1도 a는 일반적인 스프링의 구성도
제1도 b는 일반적인 스프링의 다른 구성도
제2도 a, b, c는 종래 스프링을 피고정물에 연결시키는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의 구성도
제4도 a, b는 본고안에 따른 스프링을 피고정물에 연결시키는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내곡홈의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프링 2 : 걸이부
3, 3A : 봉체 3a : 내곡홈
4 : 피고정물 4a : 삽입공
본 고안은 스프링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각종 현가, 기구장치에서 스프링과 피고정물과의 결속력을 극대화시켜 이들이 적용되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스프링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 또는 각종 기구물 등에서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기 위한 각종 이음장치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즉 인장 코일스프링 또는 압축 코일스프링등 스프링의 압축 신장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하는 각종 기구 및 장치에서는 제3도 a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프링(10)의 양단부에 절곡형성된 걸이부(20)를 현가하고자 하는 피고정물(미도시)상호간에 걸어서 사용한다.
그러나 제1도 b와 같이 일단부에만 걸이부(2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걸이부가 형성되지 않은 스프링(10)을 피고정물에 연결하므로서 스프링(10)의 탄성력을 요하는 기구물등에서는 스프링(10)의 타단부 즉 걸이부가 구비되지 않은 스프링(10)의 타단부를 피고정물과 상호 견고히 연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피고정물과 스프링(10)의 타단부를 스와징(Swaging)또는 크림핑(Crimping)에 의한 연결 방식으로서 연결 사용하고 있다.
즉 스프링(10)의 타단부와 견고한 결합을 요하는 피고정물 상호간에는 그 체결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나사체결방식 예를 들어 스프링(10)의 타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피고정물의 적당한 곳에는 암나사산을 형성시켜 이들을 상호 나사 결합하므로서 그 결속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나 특히 작은 직경을 갖는 스프링의 타단부에 별도의 나사산을 형성시키는 작업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제안되고 있는 방안으로 제2도 a, b, c에서 보는 바와같이 걸이부가 구비되지 않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스프링(10)의 타단부를 이와 동일하거나 조금큰 내경을 갖는 피고정물(P)의 삽입공(20)에 삽입한 후 제2도 a 및 b와 같이 스프링(10)의 타단부가 삽입된 길이 만큼 피고정물(P)의 둘레를 압입하여 고정하는 스와징방식 또는 제2도 c와 같이 스프링(10)의 타단부를 피고정물(P)의 삽입공에 삽입한 후 피고정물(P)의 적당한 곳을 펀칭 작업등에 의해펀칭한 후 이를 체결하는 크림핑 방식에 의해 연결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식에서는 스프링(10)의 타단부가 피고정물(P)에 견고히 결합되지 않아 피고정물(P) 또는 스프링(10)에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피고정물(P)에서 스프링(10)의 타단부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방식이 채택된 각종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기술결점을 감안한 것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각종 현가, 기구장치에서 스프링과 피고정물과의 결속력을 극대화시켜 이들의 적용되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프링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부에만 걸이부를 갖추고 타단부는 봉체를 갖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기 봉체의 적소에 내곡 구비된 두개 이상의 내곡홈,
상기 봉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큰 내경의 삽입공을 갖춘 피고정물,
상기 피고정물의 상기 삽입공에 상기 봉체를 삽입하고 상기 피고정물을 스와징하여 상기 봉체의 상기 내곡면에 상기 피고정물이 일체로 매입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의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을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은 일단부에 걸이부(2)를 갖추고 타단부는 봉체(3)가 구비된다.
상기 봉체(3)의 적당한 곳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내곡 형성된 두 개이상의 내곡홈(3a)을 갖는다.
상기 내곡홈(3a)은 펀칭작업등에 의해 형성될수도 있으며 반원형으로 내곡 구성된다.
이와 대응된 후술하는 스프링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피고정물(4)은 상기 봉체(3)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큰 내경을 갖는 삽입공(4a)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의 타단부 즉 봉체(3)를 상기 피고정물(4)의 삽입공(4a)에 연결 설치하고자 할때에는 제4도 a 및 b와 같이 통상대로 피고정물(4)의 삽입공(4a)에 스프링(1)의 봉체(3)를 삽입한 후 스와징한다.
상기 피고정물(4)의 적당한 곳을 스와징하면 상기 봉체(3)의 내곡홈(3a)과 면 접촉되는 상기 피고정물(4)의 내측면이 내곡홈(3a) 부분만큼 융출하여 상기 봉체(3)의 내곡홈(3a)에 삽입지지된다.
따라서 스프링(1)과 피고정물(4)과의 결속력이 극대화되므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각종 현가, 기구장치에서 스프링과 피고정물이 이탈되지 않으므로 이들이 채택되는 각종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게 된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곡홈(3a)은 반원상으로 구성된 반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곡홈(3a)을 사각형상으로 구성하여도 본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고 단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만 "A"를 부가한 동일부재 번호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내곡홈을 단면 삼각형으로 형성하여도 본 고안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같이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명백하다.

Claims (3)

  1. 일단부에만 걸이부를 갖추고 타단부는 봉체를 갖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기 봉체의 적소에 내곡 구비된 두개 이상의 내곡홈,
    상기 봉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큰 내경의 삽입공을 갖춘 피고정물,
    상기 피고정물의 상기 삽입공에 상기 봉체를 삽입하고 상기 피고정물을 스와징하여 상기 봉체의 상기 내곡홈에 상기 피고정물이 일체로 매입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곡홈은 반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의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곡홈은 사각형상인 것을 포함하는 스프링의 연결장치.
KR2019940015739U 1994-06-29 1994-06-29 스프링의 연결장치 KR200169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739U KR200169354Y1 (ko) 1994-06-29 1994-06-29 스프링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5739U KR200169354Y1 (ko) 1994-06-29 1994-06-29 스프링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274U KR960002274U (ko) 1996-01-19
KR200169354Y1 true KR200169354Y1 (ko) 2000-03-02

Family

ID=1938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5739U KR200169354Y1 (ko) 1994-06-29 1994-06-29 스프링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3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478A (ko) 2020-06-24 2021-12-31 김영길 생산성이 증가된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KR200496493Y1 (ko) 2021-09-23 2023-02-09 김영길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478A (ko) 2020-06-24 2021-12-31 김영길 생산성이 증가된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KR200496493Y1 (ko) 2021-09-23 2023-02-09 김영길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274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76548C (zh) 电气接入或连接装置
KR101851404B1 (ko) 차폐 케이블용 케이블글랜드
AU735458B2 (en) Brake wear sensing system with mounting clip
CA2462665A1 (en) Improved radially resilient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TE365384T1 (de) Elektrisches kontaktelement
GB2212579A (en) Clamping ring pipe connection for metallic pipes
KR200169354Y1 (ko) 스프링의 연결장치
KR950702753A (ko) 전기 접속기 (Electrical connector)
US6406333B2 (en) Quick-fit light fixture
KR920012799A (ko) 배관 또는 배선 고정용 연결기
US2764746A (en) Quick detachable coupling
US6297456B1 (en) Support structure for wire harness connection sections
US20190011078A1 (en) Clip and related methods of use
BR0017087A (pt) Braçadeira condutora para tubos ou cabos
US2262372A (en) Electrical connector
DE59501155D1 (de) Einpress-Federleiste
KR100791949B1 (ko) 용접용 케이블 콘넥터
JP3198397U (ja) 落下防止用ワイヤー
GB2336636A (en) Brake pipe assembly
US3755773A (en) Lamp-retaining socket
KR100217588B1 (ko) 자동차용 안테나의 잭과 플러그의 구조
JPH08236197A (ja) ケーブル用ストレンリリーフ部材
US2779012A (en) Electrical wiring device
KR100834126B1 (ko)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
RU21406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встроенного светильника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