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126B1 -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126B1
KR100834126B1 KR1020060050200A KR20060050200A KR100834126B1 KR 100834126 B1 KR100834126 B1 KR 100834126B1 KR 1020060050200 A KR1020060050200 A KR 1020060050200A KR 20060050200 A KR20060050200 A KR 20060050200A KR 100834126 B1 KR100834126 B1 KR 100834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lectrical
electrical box
elastic ring
conn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6321A (ko
Inventor
장도영
Original Assignee
우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126B1/ko
Publication of KR20070116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30Tools for installing cables comprising a spirit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박스에 여러 종류의 전기 배선관을 견고하고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가 개신된다.
본 발명의 코넥터는 양 단부가 마주보는 링형상을 이루며 내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을 갖으며, 표면에 외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기 박스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시에 가압된 후 삽입 후에 복원되어 상기 전기 박스의 벽체에 걸리게 되는 탄성 걸림부가 형성된 외측 탄성링; 선단부 내측의 외주면에 상기 외측 탄성링이 착설되는 착설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전기 배선관이 삽입되는 코넥터 본체; 상기 코넥터 본체의 종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 배선관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조임부로 이루어 진다.
전기 배선관, 코넥터, 전기 박스, 탄성 걸림부, 복원력

Description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connector for pipe of electric wiring}
도 1은 종래의 등록 특허 10-0493456의 개요를 설명하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벽체에 매입되는 전기 박스에 배선관을 연결시키는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벽체에 매입된 전기 박스에 플렉시블 파이프나 일반 파이프로된 전기선 매설용 배선관이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선 매설용 배선관을 전기 박스에 연결하는 작업은 복잡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등록 특허 10-0493456(발명의 명칭: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의 발명들이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등록 특허 10-0493456의 개요를 설명하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다.
종래의 코넥터(30)는 전기 박스(1)의 관통공(2)에 패킹(60)이 설치되고, 패 킹(6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탄성을 갖는 지지부(40)가 설치되고, 지지부(40)에는 외측으로 탄성을 갖는 고정부(50)가 연결된다.
이때, 지지부(4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의 절개부를 갖으며, 외향 탄성링(42)과 지지돌기(43)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50)에는 내측으로 향하는 내향 탄성링(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40)와 고정부(50)는 원통형상의 일부분만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45)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코넥터(30)의 지지부(40)를 전기 박스(1)의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되면, 외향 탄성링(42)이 전기 박스(1)의 관통공(2)을 통과하게 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전기 박스(1)의 벽체에 걸리게 되고, 벽체는 지지돌기(43)에 의하여 지지되어 코넥터(30)가 전기 박스(1)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고정부(50)의 내측에 플렉시블 관(13)을 넣게 되면 내향 탄성링(13)이 플렉시블 관(13)의 홈(13a)에 걸리게 되어 고정부(50)내에 플렉시블 관(13)이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코넥터(30)는 지지부(40)와 고정부(50)는 지지부(40)와 고정부(50)를 연결하는 연결부(45)만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관(13)이 유동되는 경우에는 피로에 의하여 연결부(45)가 절단되어 코넥터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코넥터(30)는 전기 박스(1)의 벽체에 외향 탄성링(42)과 지지돌기(43)에 의하여 고정되게 되므로 플렉시블 관(13)이 유동되는 경우에 외향 탄성링(42)과 지지돌기(43)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고, 외향 탄성링(42)과 지지돌기(43)의 변형을 초래하게 되어 코넥터(30)가 전기 박스(1)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넥터(30)는 배선관이 플렉시블 관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기에 외면이 균일한 일반 전기 배선관 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코넥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박스에 배선관을 견고하고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렉시블 관과 표면이 균일한 일반 전기 배선관에 대하여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코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 박스에 전기 배선관을 연결하는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에 있어서: 양 단부가 마주보는 링형상을 이루며 내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을 갖으며, 표면에 외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기 박스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시에 가압된 후 삽입 후에 복원되어 상기 전기 박스의 벽체에 걸리게 되는 탄성 걸림부가 형성된 외측 탄성링; 관통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 내측의 외주면에 상기 외측 탄성링이 착설되는 착설면이 형성되고, 종단부로부터 내부에 상기 전기 배선관이 삽입되는 코넥터 본체; 상기 코넥터 본체의 종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 배선관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코넥터 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전기 배선관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부는 일부가 코넥터 본체에 연결되고 타부가 절개되어 분리되며, 양 단부가 이격되며 내부에 상기 전기 배선관이 통과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양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들에는 나사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들의 간격이 상기 나사공들에 삽입된 나사에 의하여 조여짐으로써 상기 원통부의 내부의 상기 전기 배선관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측 탄성링의 양단부 중 하나에는 요(凹)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하나는 철(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착설면과 상기 선단부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선단부 쪽으로 테이퍼진 돌출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코넥터 본체(100)는 내부에 종단부로부터 배선관(140)이 삽입되고, 선단부로부터 보호 캡(1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코넥터 본체(100)의 내주면에는 배선관(140)의 삽입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단턱부(103)가 형성된다. 즉 단턱부(103)를 기준으로 선단부 쪽의 관통공의 지름이 종단부 쪽의 관통공의 지름 보다 작다.
또한, 코넥터 본체(100)의 선단부의 내측의 외주면에는 외측 탄성링(110)이 끼워지는 착설면(101)이 형성되고, 종단부에는 관통공에 삽입되는 배선관(140)을 가압시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조임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외측 탄성링(110)이 착설면(101)에 착설된 후 빠지지 않도록 착설면(101)과 선단부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서 돌출턱(10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턱(102)은 선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외측 탄성링(110)이 착설면(101)에 착설하기 위하여 밀어 넣을 때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조임부(120)는 일부가 코넥터 본체(100)에 연결되고, 타부가 절개되어 분리되며 양단부가 이격된 원통부와, 양단부에서 절곡되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들을 갖으며, 연장부들(122), (123)에는 나사공들이 형성되고, 나사공들이 나사(121)에 의하여 조여짐으로써 내주면에 통과되는 배선관(140)을 원통부가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배선관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때, 조임부(120)의 압박은 원통부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배선관(140)이 외주면에 홈이 형성된 플렉시블 관이나 외주면이 균일한 일반 배선관 모두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탄성링(110)은 양단에 요철(凹凸) 형상이 형성된 일정 폭을 갖는 탄성 판재가 요철 형상이 대향되도록 권취된 링 형상을 이룬다. 양단의 요철 형상은 링 형상의 직경이 늘어나고, 줄어드는 경우 서로 마찰을 줄이면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한다. 외측 탄성링(110)은 돌출턱(102)의 테이퍼면에 밀어 넣어 착설면(101)에 착설되는 과정에서 벌어지게 되고, 착설면(101)에 착설되기 위하여 복원력을 발생하여야 하기 때문에 링 중심을 향하는 내향의 복원력을 갖아야 한다. 또한, 외측 탄성링(110)에는 전기 박스(1)의 관통공(2)에 삽입시에는 압축되고, 관통 공(2)을 통과한 후에는 복원되어 전기 박스(1)의 벽체(3)에 걸려, 코넥터 본체(100)가 전기 박스(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탄성 걸림부(111)가 형성된다. 탄성 걸림부(111)는 외측 탄성링(110)을 형성하는 판재에 일부가 연결되고, 타부가 판재로부터 절개된 4각형상이 외향으로 들려 올려져 형성된다.
또한, 코넥터 본체(100)의 선단부에는 보호캡(130)이 끼워져 내부에 설치되는 전선을 보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코넥터 조립과정과 전기 박스에 설치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코넥터 본체(100)의 선단부에 외측 탄성링(110)을 밀어 넣어 착설면(101)에 외측 탄성링(110)을 착설시키면, 외측 탄성링(110)에는 내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고정된다. 또한, 조임부(120)와 코넥터 본체(100)의 종단부의 관통공내로 배선관(140)을 밀어 넣어 배선관(140)의 선단부가 단턱부(103)에 접촉되게 되면, 조임부(120)의 나사(121)로 조임부(120)를 조여 조임부(120)의 원통을 축소시켜 배선관(140)을 고정시킨다.
또한, 코넥터 본체(100)의 선단부에 보호캡(130)을 압입시킨다.
이와 같이 코넥터와 배선관을 결합시킨 후 코넥터를 전기 박스(1)의 관통공(2)에 코넥터를 밀어 넣으면 외측 탄성링(110)의 탄성 걸림부(111)가 벽체(3)에 의하여 압력을 받아 경사각이 감소되며 진입된 후 탄성 걸림부(111)가 벽체(3)를 통과하게 되면 원래 상태로 복원되어 코넥터가 전기 박스(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에 따르면, 외측 탄성링이 코넥터 본체에 착설되기 때문에 외측 탄성링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코넥터에는 플렉시블 관과 외면이 균일한 일반 배선관이 조임부에 의하여 조여져 전기 박스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기 박스에 전기 배선관을 연결하는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에 있어서:
    양 단부가 마주보는 링형상을 이루며 내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을 갖으며, 표면에 외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기 박스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시에 가압된 후 삽입 후에 복원되어 상기 전기 박스의 벽체에 걸리게 되는 탄성 걸림부가 형성된 외측 탄성링;
    관통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 내측의 외주면에 상기 외측 탄성링이 착설되는 착설면이 형성되고, 종단부로부터 내부에 상기 전기 배선관이 삽입되는 코넥터 본체;
    상기 코넥터 본체의 종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 배선관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탄성링의 양단부 중 하나에는 요(凹)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하나는 철(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
  5. 전기 박스에 전기 배선관을 연결하는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에 있어서:
    양 단부가 마주보는 링형상을 이루며 내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을 갖으며, 표면에 외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기 박스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시에 가압된 후 삽입 후에 복원되어 상기 전기 박스의 벽체에 걸리게 되는 탄성 걸림부가 형성된 외측 탄성링;
    관통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 내측의 외주면에 상기 외측 탄성링이 착설되는 착설면이 형성되고, 종단부로부터 내부에 상기 전기 배선관이 삽입되는 코넥터 본체;
    상기 코넥터 본체의 종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 배선관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설면과 상기 선단부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선단부 쪽으로 테이퍼진 돌출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
KR1020060050200A 2006-06-05 2006-06-05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 KR100834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200A KR100834126B1 (ko) 2006-06-05 2006-06-05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200A KR100834126B1 (ko) 2006-06-05 2006-06-05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058U Division KR200424190Y1 (ko) 2006-06-05 2006-06-05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321A KR20070116321A (ko) 2007-12-10
KR100834126B1 true KR100834126B1 (ko) 2008-06-04

Family

ID=3914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200A KR100834126B1 (ko) 2006-06-05 2006-06-05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1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43Y1 (ko) * 2004-05-25 2004-09-01 전인석 전기배선박스에 결합이 용이한 배선관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43Y1 (ko) * 2004-05-25 2004-09-01 전인석 전기배선박스에 결합이 용이한 배선관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321A (ko) 200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37210A1 (en) Ground wire connector
TW200511668A (en) Coaxial connector
JP6399633B2 (ja) ホース継手用スリーブ、ホース継手及びホース継手構造体
CN101842627B (zh) 用于波纹软管的连接及联接件
US6547600B2 (en) Engaging structure for electrical wires of a plug
KR200424190Y1 (ko)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
WO2017065001A1 (ja) コネクタ
KR100834126B1 (ko) 전기 배선관 연결용 코넥터
KR20070049616A (ko) 프레스물의 팸너트 설치구조
KR200424189Y1 (ko) 플렉시블 관 연결용 코넥터
KR100796728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101687109B1 (ko) 전선관용 접속장치
KR100779512B1 (ko) 전기 배선관 연결용 엘보형 코넥터
KR100791949B1 (ko) 용접용 케이블 콘넥터
KR100799371B1 (ko) 철근연결장치
US7927128B2 (en) Device for a connector having a frame and a casing detachably connected
KR200426730Y1 (ko) 전기 배선관 연결용 엘보형 코넥터
KR200471060Y1 (ko) 케이블 보호 패킹이 구비된 온도센서용 단자함
JP4335753B2 (ja) 導電クリップ
KR20070116320A (ko) 플렉시블 관 연결용 코넥터
KR100432471B1 (ko)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KR200257936Y1 (ko)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CN220066241U (zh) 一种防弯折护线结构
KR0139738Y1 (ko) 자동차용 엑셀 케이블의 연결구조
KR200190987Y1 (ko) 상수도관 이탈방지용 압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