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936Y1 -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 Google Patents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936Y1
KR200257936Y1 KR2020010025831U KR20010025831U KR200257936Y1 KR 200257936 Y1 KR200257936 Y1 KR 200257936Y1 KR 2020010025831 U KR2020010025831 U KR 2020010025831U KR 20010025831 U KR20010025831 U KR 20010025831U KR 200257936 Y1 KR200257936 Y1 KR 200257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ring
band
wiring box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호
박동석
Original Assignee
박동호
박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호, 박동석 filed Critical 박동호
Priority to KR2020010025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9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936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배선 작업시 전선을 삽입하여 보호하는 배선관을 전기배선박스에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외압에 의해 직경이 수축되었다가 외압이 제거되면 직경이 탄성적으로 확대 복귀되면서 전기배선박스의 분기공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도록 원형으로 밴딩되어 단부 사이에 절개부를 갖는 끼움밴드부와, 외압에 의해 직경이 확대되었다가 외압이 제거되면 직경이 탄성적으로 수축 복귀되면서 배선관을 조여 고정하도록 원형상으로 밴딩되어 단부가 교차된 조임밴드부가 이음밴드부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WIRING PIPE CONDUCTOR}
본 고안은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기 배선 작업시 전선을 삽입하여 보호하는 배선관을 전기배선박스에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배선박스에서 연결되는 전선은 대부분 배선관에 삽입되어 보호되고, 이러한 배선관을 전기배선박스에 연결할 경우에는 콘넥터가 이용된다.
이러한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의 종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배선관(1)이 끼워지는 양측 개구된 끼움공(11)이 형성되고 일단부 외주연에는 전기배선박스(2)의 분기공(2a)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단턱(12)을 갖는 나사부(13)가 일정구간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끼움공(11)에 끼워진 배선관(1)을 감싸서 고정하도록 나사(14)가 체결되는 나사공(15)을 갖는 체결밴드(16)가 일체로 형성된 콘넥터본체(10)와, 상기 전기배선박스(2)의 분기공(2a)에 삽입된 나사부(13)에 체결되어 상기 콘넥터본체(10)가 전기배선박스(2)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콘넥터와셔(20) 및 콘넥터너트(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를 이용하여 배선관(1)을 전기배선박스(2)에 연결할 경우에는 우선 전선을 배선관(1)에 끼운 후 상기 배선관(1)을 콘넥터본체(10)의 체결밴드(16)를 지나도록 하여 끼움공(11)에 삽입한다음 상기콘넥터본체(10)의 나사공(15)에 나사(14)를 체결하여 체결밴드(16)가 조여지면서 끼움공(11)에 삽입된 배선관(1)을 감싸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전선배선박스의 분기공(2a)에 콘넥터본체(10)의 나사부(13)가 삽입되도록 한 다음 상기 분기공(2a)을 지난 콘넥터본체(10)의 나사부(13)에 콘넥터와셔(20
)와 콘넥터너트(30)를 전기배선박스(2)의 내측에서 순차적으로 체결하면 배선관(1)과 전기배선박스(2)의 결합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는 나사(14)에 의해 조여지는 체결밴드(16)의 구성상 원활하게 조여지지 않음으로 콘넥터본체(10)의 끼움공(11)에 삽입된 배선관(1)을 견고하게 조여 고정하지 못함으로 너무 헐거워져 배선관(1)이 콘넥터본체(10)의 체결밴드(16)로 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넥터본체(10)를 전기배선박스(2)에 고정 할 경우 전기배선박스(2)의 분기공(2a)에 삽입된 콘넥터본체(10)의 나사부(13)에 콘넥터와셔(20)와 콘넥터너트(30)를 체결하여야 함은 물론 상기 나사부(13)에 체결된 콘넥터와셔(20)나 콘넥터너트(30) 그리고 나사공(15)에 체결된 나사(14)를 조여 견고하게 고정 할 경우 스패너와 드라이버 기타 공구 등을 이용하여 조임 작업해야 함으로 전기배선박스(2)와 배선관(1)의 연결작업이 불편하고, 그로 인해 전기 배선 작업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 배선 작업시 전선을 삽입하여 보호하는 배선관을 전기배선박스에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선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를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외압에 의해 직경이 수축되었다가 외압이 제거되면 직경이 탄성적으로 확대 복귀되면서 전기배선박스의 분기공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도록 원형으로 밴딩되어 단부 사이에 절개부를 갖는 끼움밴드부와, 외압에 의해 직경이 확대되었다가 외압이 제거되면 직경이 탄성적으로 수축 복귀되면서 배선관을 조여 고정하도록 원형상으로 밴딩되어 단부가 교차된 조임밴드부가 이음밴드부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를 이용하여 전기배선박스에 배선관을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넥터 110 : 끼움밴드부
111 : 절개부 112 : 끼움요홈
113 : 공구걸림돌기 114 : 만곡부
115 : 스토퍼돌기 116 : 펀칭요홈
117 : 이음부 120 : 조임밴드부
121 : 교차요홈 123 : 공구걸림돌 124 : 물림돌기 130 : 이음밴드부 140 : 보호부싱 141 : 절개부
이하 본 고안인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100)는 외압에 의해 직경이 수축되었다가 외압이 제거되면 직경이 탄성적으로 확대 복귀되면서 전기배선박스(2)의 분기공(2a)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도록 원형으로 밴딩되어 단부 사이에 절개부(111)를 갖는 끼움밴드부(110)와, 외압에 의해 직경이 확대되었다가 외압이 제거되면 직경이 탄성적으로 수축 복귀되면서 배선관(1)을 감싸며 조여 고정하도록 원형상으로 밴딩되어 단부가 교차된 조임밴드부(120)가 이음밴드부(130)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연이지도록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밴드부(110)의 외주연에 상기 전기배선박스(2)의 분기공(2a)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요홈(112)이 형성되고, 원형으로 절곡된 끼움밴드부(110) 또는 조임밴드부(120)의 양단부에는 손으로 잡거나 플라이어와 같은 공구로 집을 수 있도록 하는 공구걸림돌기(113)(123)가 절곡 형성된다.
또한, 원형으로 밴딩된 상기 조임밴드부(120)의 일단부에 교차요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밴드부(120)의 탄단부가 상기 교차요홈(121)을 지나면서 조임밴드부(120)의 양단부가 교차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밴드부(110)의 입구에는 외측으로 진행되면서 직경이 확개되는 만곡부(114)가 형성되어 전선이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끼움밴드부(110)의 내면에는 스토퍼돌기(115)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밴드부(110)에 삽입되는 배선관(1)의 단부가 걸려 진입깊이가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밴드부(110)의 내부에는 경우에 따라 일측 절개부(141)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호부싱(140)이 끼워져 고정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선 삽입시 금속재질의 끼움밴드부에 전선이 쓸리면서 피복이 벗겨지는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조임밴드부(120)의 내면에는 물림돌기(124)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임밴드부(120)에 삽입된 배선관(1)이 보다 견고히 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끼움밴드부(11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펀칭요홈(116)이 일정간격으로 관통되어 상기 펀칭요옴과 펀칭요홈(116) 사이에 이음부(117)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음부(117)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이음부(117)에 의해 끼움요홈(112)과 스토퍼돌기(115)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인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100)는 재질이 스프링강인 판재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절단되어 끼움밴드부(110)와 조임밴드부(120)와 이음밴드부(130)가 판형상으로 연이어 지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끼움밴드부(110) 및 조임밴드부(120) 상에는 펀칭요홈(116)과 교차요홈(121)이 형성되고, 이후 상기 끼움밴드부(110)와 조임밴드부(120)가 각각 밴딩되어 원형으로 절곡되면서 끼움밴드부(110)의 단부 사이에는 절개부(111)가 형성됨과 동시에 끼움밴드부(110)의 입구 단부에는 만곡부(114)가 형성됨과 아울러 조임밴드부(120)의 단부는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이후 상기 끼움밴드부(110)의 펀칭요홈(116) 부위가 프레스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되면서 이음부(117)에 의해 끼움밴드부(110)의 외주연에 끼움요홈(112)이 형성됨과 동시에 끼움밴드부(110)의 내주면에는 스토퍼돌기(115)가 형성되고, 이후 상기 끼움밴드부(110)의 단부와 조임밴드부(120)의 단부가 절곡되어 공구걸림돌기(11
3)(123)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인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100)는 경우에 따라 탄성력을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100)를 이용하여 전기배선박스(2)에 배선관(1)을 연결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임밴드부(120)의 교차된 공구걸림돌기(123)를 손이나 프라이어 등과 같은 공구로 잡고 가압하여 조임밴드부(120)의 직경이 확개되도록 한 후 배선관(1)를 상기 조임밴드부(120) 및 이음밴드부(130)를 지나 끼움밴드부(110)에 진입시킨 다음 공구걸림돌기(123)에 가압하고 있던 가압력을 해지하여 상기 조임밴드부(120)가 탄성적으로 수축 복귀되면서 배선관(1)을 조여 고정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끼움밴드부(110)의 공구걸림돌기(113)를 손이나 공구로 잡고 가압하여 절개부(111)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끼움밴드부(110)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 후 상기 끼움밴드부(110)를 전기배선박스(2)의 분기공(2a)에 진입시킨 다음 공구걸림돌기(113)에 가압하고 있던 가압력을 해지하여 상기 끼움밴드부(110)가 탄성적으로 확개 복귀되면서 끼움밴드부(110)의 끼움요홈(112)이 전기배선박스(2)의 분기공(2a) 내면에 끼워지면 전기배선박스(2)에 배선관(1)의 연결이 신속히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압에 의해 직경이 탄력적으로 변화되었다가 외압이 해지되면 탄력적으로 직경이 복구되면서 각각 전기배선박스의 분기공에 끼워짐과 아울러 배선관을 감싸서 고정하는 끼움밴드부와 조임밴드부가 이음밴드부에 의해 연이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본 고안인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는종래와 같이 스패너나 드라이버와 같은 체결공구 없이도 전기배선박스에 배선관 연결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행 할 수 있음으로 전기배선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는 종래의 콘넥터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제품의 코스트 절감 및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외압에 의해 직경이 수축되었다가 외압이 제거되면 직경이 탄성적으로 확대 복귀되면서 전기배선박스(2)의 분기공(2a)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도록 원형으로 밴딩되어 단부 사이에 절개부(111)를 갖는 끼움밴드부(110)와, 외압에 의해 직경이 확대되었다가 외압이 제거되면 직경이 탄성적으로 수축 복귀되면서 배선관(1)을 조여 고정하도록 원형상으로 밴딩되어 단부가 교차된 조임밴드부(120)가 이음밴드부(130)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밴드부(110)의 외주연에 상기 전기배선박스(2)의 분기공(2a)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요홈(112)이 형성되고, 원형으로 절곡된 끼움밴드부(110) 또는 조임밴드부(120)의 양단부에는 공구걸림돌기(113)(123)가 절곡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원형으로 밴딩된 상기 조임밴드부(120)의 일단부에 교차요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밴드부(120)의 탄단부가 상기 교차요홈(121)을 지나면서 조임밴드부(120)의 양단부가 교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밴드부(110)의 입구에는 외측으로 진행되면서 직경이 확개되는 만곡부(114)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밴드부(110)의 내면에 스토퍼돌기(115)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밴드부(110)에 삽입되는 배선관(1)의 진입깊이가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밴드부(110)의 내부에 일측 절개부(141)(111)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호부싱(140)이 끼워져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밴드부(120)의 내면에 물림돌기(124)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임밴드부(120)에 삽입된 배선관(1)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8. 제 2 항 및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밴드부(11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펀칭요홈(116)이 일정간격으로 관통되어 상기 펀칭요옴과 펀칭요홈(116) 사이에 이음부(117)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음부(117)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이음부(117)에 의해 끼움요홈(112)과 스토퍼돌기(115)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KR2020010025831U 2001-08-25 2001-08-25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KR200257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831U KR200257936Y1 (ko) 2001-08-25 2001-08-25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831U KR200257936Y1 (ko) 2001-08-25 2001-08-25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499A Division KR100432471B1 (ko) 2001-08-25 2001-08-25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936Y1 true KR200257936Y1 (ko) 2001-12-24

Family

ID=7310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831U KR200257936Y1 (ko) 2001-08-25 2001-08-25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9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754B1 (ko) * 2007-05-04 2009-10-27 우세산업 주식회사 연결구 및 연결구가 설치된 플렉시블 관
KR200485431Y1 (ko) * 2016-07-06 2018-01-08 주식회사 디에이치엘 전기 배선관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754B1 (ko) * 2007-05-04 2009-10-27 우세산업 주식회사 연결구 및 연결구가 설치된 플렉시블 관
KR200485431Y1 (ko) * 2016-07-06 2018-01-08 주식회사 디에이치엘 전기 배선관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1168B2 (en) Cinch strap
US5277459A (en) Pipe connector, pipe coupler and associated nut
US6149455A (en) Device for clamping the cable in electrical outlets or plugs
CA2506860C (en) Anti-vibration/rotation device for split bolts
EP1488156B1 (en) Clamp
AU2002340628A1 (en) Clamp
US6701579B1 (en) Device for cutting the remaining length of the tongue of a clamping ring
EP1312847A1 (en) Sleeve of a gland assembly
KR200434256Y1 (ko) 고압호스 연결구
KR100432471B1 (ko)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KR200257936Y1 (ko)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KR100958409B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WO2005121623A1 (en) Hose clamp and process of clamping hoses
KR200360643Y1 (ko) 전기배선박스에 결합이 용이한 배선관 커넥터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200223941Y1 (ko)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 커넥터
KR100764834B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200332734Y1 (ko) 전선보호관의 연결구
JP3029409U (ja) マイクロホンコネクタ
KR200146518Y1 (ko) 호스와 튜브의 접속체결구
KR20000016977U (ko) 전선보호관용 접속구
KR200248005Y1 (ko) 개량형 클램프밴드.
JP2007170433A (ja) クランプ
JPS6329990Y2 (ko)
KR200357137Y1 (ko) 도시가스 배관의 부식방지용 보호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