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834B1 -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834B1
KR100764834B1 KR1020070042166A KR20070042166A KR100764834B1 KR 100764834 B1 KR100764834 B1 KR 100764834B1 KR 1020070042166 A KR1020070042166 A KR 1020070042166A KR 20070042166 A KR20070042166 A KR 20070042166A KR 100764834 B1 KR100764834 B1 KR 10076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pipe
junction box
holder member
fixing member
flexib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민
Original Assignee
김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민 filed Critical 김진민
Priority to KR1020070042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30Tools for installing cables comprising a spirit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작업시 배선함(outlet box)과 배선함 사이나 배선함 커버로 연결되는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에 형성된 각 연결공으로 플렉시블관을 연결시 별도의 작업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긴밀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에 형성되는 각 연결공으로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그 연결공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 플렉시블관의 일측단이 삽입되도록 점점 작은 직경을 갖는 홀더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부재가 구비되는 반대 방향의 타측에는 상기 홀더부재로 삽입된 플렉시블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된 후 상기 플렉시블관이 삽입된 반대 방향으로 플렉시블관을 당김으로 인해 상기 홀더부재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플렉시블관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관, 연결, 배선함, 배선함 커버, 연결공, 홀더부재, 고정부재

Description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a connecting apparatus for a flexible-pipe}
도 1a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로,
도 2a는 플렉시블관이 고정되기 전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2b는 플렉시블관이 고정된 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7은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한 종래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8은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한 종래 또 다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렉시블관
10 : 연결장치
20 : 홀더부재
22 : 지지플랜지
30 : 고정부재
31 : 걸림플랜지 32 : 지지링부
32a : 수용홈부 34 : 절개홈
36 : 조임편 36a : 걸림턱
36b : 분리방지턱
40 : 돌출부
42 : 수용공간부
100 : 배선함 커버
102 : 연결공
본 발명은 배선작업시 배선함(outlet box)과 배선함 사이나 배선함 커버로 연결되는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에 형성된 각 연결공으로 플렉시블관을 연결시 별도의 작업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긴밀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함과 배선함 사이와 배선함 커버에는 전기배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각각의 플렉시블관이 연결되는 데, 본원에는 일예로 배선함 커버에 적용되는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배선함 커버로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한 종래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함 커버(100)에 형성된 연결공(102)으로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202)를 삽입하여 링너트(204)와 체결너트(205)로 체결 고정하고, 타측으로 일측면이 절개된 밴드부(206)에 플렉시블관(1)의 일단을 삽입한 후 볼트(207)와 너트(208)로 체결하는 커넥터(200)를 사용하여 플렉시블관을 연결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00)는 밴드부(206)를 볼트(207)와 너트(208)에 의해 조여주는 과정에서 너무 헐겁게 조일 경우 플렉시블관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너무 꽉 조일 경우에는 오히려 플렉시블관이 찌그러지듯이 변형되어 내부의 전기배선을 압박하거나 피복을 탈피시켜 누전 등과 같은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해 밴드부를 꽉 조일 경우에는 연결작업이 잘못되어 다시 분리하여 재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변형됨으로 인해 재사용 할 수 없는 관계로, 커넥터 자체를 교체하여 새로운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그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커넥터를 이용하여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고자 할 때는 링너트와 체결너트 및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이 여러 번의 체결작업을 거쳐야 함으로써, 체결작업이 상당히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드라이버와 스패너 또는 플라이 어(pliers) 등과 같은 각종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배선함 커버(100)에 형성된 연결공(102)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밴드부(310)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플라이어 등에 의해 외압을 가하여 직경을 확대시킨 후 그 확대된 부분으로 플렉시블관(1)의 일단을 삽입한 다음 외압을 제거함에 따라 확대된 직경이 탄성적으로 수축되어 복귀되면서 그 플렉시블관(1)의 일단을 감싸며 조여 고정되는 조임밴드부(320)로 구성되는 커넥터(300)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전자의 커넥터에 비하여 여러 번의 체결작업 없이도 간편하게 플렉시블관을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을 자고 있었으나, 상기한 후자의 커넥터 또한 구성이 복잡하고 생산 작업의 공정이 번거럽고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과 함께 이 또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체결 고정해야 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에 형성된 각 연결공으로 플렉시블관을 연결시 별도의 작업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긴밀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부재를 플렉시블관에 결합시 보다 견고하고 긴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배선을 삽입시 플렉시블관의 끝단에 의해 탈피나 찢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에 간단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셋트화된 상태로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선함 커버에 수용공간부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에 형성되는 각 연결공으로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그 연결공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 플렉시블관의 일측단이 삽입되도록 점점 작은 직경을 갖는 홀더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부재가 구비되는 반대 방향의 타측에는 상기 홀더부재로 삽입된 플렉시블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된 후 상기 플렉시블관이 삽입된 반대 방향으로 플렉시블관을 당김으로 인해 상기 홀더부재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플렉시블관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부재는 그 연결공의 외주연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일측단에 지지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링부로부터 점점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절개홈 사이에 다수의 조임편이 형성 되되, 상기 조임편의 내측면에는 플렉시블관의 피치와 피치 사이의 골로 걸려지는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은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지지링부 내측면에는 플렉시블관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부재는 그 배선함 커버에 형성된 연결공의 외주연에 분리되어 직경이 넓은 측에 지지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직경이 넓은 측에도 걸림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조임편 길이는 홀더부재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그 홀더부재의 작은 직경을 갖는 부분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된 고정부재의 조임편 끝단으로 분리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선함 커버의 연결공이 형성된 부분에는 홀더부재가 구비되는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돌출된 내부에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배선함 커버에 적용한 일 예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100)에 형성되는 연결공(102)으로 플렉시블관(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배선함 커버에 형성된 연결공으로 플렉시블관을 연결시 별도의 작업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긴밀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장치(10)는, 그 연결공(102)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 플렉시블관(1)의 일측단이 삽입되도록 점점 작은 직경을 갖는 원뿔 형태의 홀더부재(20)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부재(20)가 구비되는 반대 방향의 타측에는 상기 홀더부재로 삽입된 플렉시블관(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된 후 상기 플렉시블관이 삽입된 반대 방향으로 플렉시블관을 당김으로 인해 상기 홀더부재(2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플렉시블관(1)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홀더부재(20)는 그 연결공(102)의 외주연에, 즉 배선함 커버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일측단에 플렉시블관으로 결합될 때 그 플렉시블관의 끝단이 돌출되지 않는 직경을 갖는 지지링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링부로부터 점점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절개홈(34) 사이에 다수의 조임편(36)이 형성되되, 상기 조임편의 내측면에는 플렉시블관의 피치와 피치 사이의 골로 걸려져 맞물리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턱(36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36a)은 플렉시블관의 외측면으로 결합시 피치와 피치 사이에 형성된 골로 긴밀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나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플렉시블관에 용이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홀더부재로 삽입되어 고정시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플렉시블관을 배선함 또는 배선함 커버(100)의 연결공(102)으로 연결하고자 할 때 먼저, 도 2a에서와 같이 배선함 커버의 일측으로 형성된 홀더부재(20)에 연결하고자 하는 플렉시블관(1)의 일단을 삽입하여 반대편으로 돌출시킨 다음 그 돌출된 부분으로 고정부재(30)를 결합시킨다.
다시말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플렉시블관으로 삽입시 다수의 조임편(36) 내측면으로 형성된 걸림턱(36a)을 플렉시블관(1)의 피치와 피치 사이에 형성된 골에 걸려질 수 있도록 삽입하여 결합하고, 즉 상기 걸림턱은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플렉시블관의 골을 따라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긴밀하고 견고하게 결합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관의 끝단은 지지링부에 접촉되는 시점까지 삽입시켜 결합한다.
이렇게, 플렉시블관(1)의 끝단으로 고정부재(30)의 결합이 완료되어 지면, 도 2b에서와 같이 홀더부재(20)로 삽입하였던 플렉시블관(1)을 삽입하였던 반대방향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홀더부재(20)의 내측면으로 고정부재(30)가 삽입되면서 그 고정부재(30)의 조임편(36)이 플렉시블관(1)의 외측면으로 조이면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플렉시블관(1)의 끝단이 홀더부재(20) 내에서 긴밀하게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홀더부재와 고정부재는 일측에서부터 점점 작은 직 경을 갖는 원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플렉시블관을 당길 수록 더 큰 고정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에 플렉시블관의 끝단을 결합 고정하고자 할 때 작업자가 번거러운 작업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하면서 특히 별도의 도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긴밀하면서 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플렉시블관의 끝단에 결합된 후 홀더부재로 삽입되어 연결 고정된 후, 그 플렉시블관으로 전기배선을 삽입시 그 삽입되는 전기배선의 외피가 탈피되거나 찢김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즉 상기 플렉시블관은 대부분이 일정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절단된 부분인 끝단에는 버(burr)나 날카로운 단면을 가지게 됨에 따라 전기배선을 삽입시 피복이 탈피되거나 찢김 등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30)의 지지링부(32) 내측면에는 플렉시블관(1)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부(32a)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플렉시블관의 끝단으로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결합시 그 플렉시블관의 끝단을 고정부재의 수용홈부로 인입시켜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플렉시블관의 끝단에 절단시 형성되는 버나 날카로운 단면으로부터 그 플렉시블관으로 삽입되는 전기배선이 탈피되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호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홀더부재를 배선함 커버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분리되도록 형성하여 기존에 생산되거나 사용되는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에도 적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부재(20)는 그 배선함 커버(100)에 형성된 연결공(102)의 외주연에 분리되어 직경이 넓은 측에 상기 연결공으로 삽입되지 않는 직경를 갖는 지지플랜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의 직경이 넓은 측에도 당김력에 의해 홀더부재로 삽입되어 고정시 일정 길이 이상 삽입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는 걸림플랜지(31)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홀더부재를 상기한 바와 같이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에 일체로 형성하지 않게 됨에 따라 기존에 생산되거나 사용되는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에도 별도의 복잡한 구조의 구성요소 등을 추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본 발명인 홀더부재와 고정부재를 셋트화하여 휴대 및 보관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30)의 조임편(36) 길이(L)는 홀더부재(20)의 길이(l)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그 홀더부재(20)의 작은 직경을 갖는 부분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된 고정부재의 조임편(36) 끝단으로 분리방지턱(36b)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고정부재를 홀더부재를 삽입시 최초 다수의 조임편을 오무려 홀더부재의 작은 직경을 갖는 부분으로 통과시켜 삽입시킴에 따라, 즉 조임편과 조임편 사이에 형성되는 절개홈으로 인해 상기 분리방지턱이 형성된 조임편 끝단이 홀더부재의 작은 직경을 갖는 부분 보다 더 오무려져 통과될 수 있는 것이고, 통과된 시점에서는 그 조임편의 탄성력에 의해 벌려진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인위적으로 분리시키지 않은 한 홀더부재와 고정부재가 하나의 셋트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홀더부재의 큰 직경 측으로 고정부재를 밀었다가 연결하고자 하는 플렉시블관의 끝단을 그 고정부재로 삽입하여 결합한 후 다시 플렉시블관을 당김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홀더부재의 내측면으로 고정부재와 플렉시블관이 삽입되면서 긴밀하게 연결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홀더부재에 삽입시켜 구비함에 따라 하나의 셋트화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분실 등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그로 인해 보관이나 휴대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현장에서 보다 용이하게 연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배선함에서 전기배선을 결속시 충분한 수용공간을 확보하여 배선함 커버를 체결시 배선함으로 결속된 전기배선의 압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선함 커버(100)의 연결공(102)이 형성된 부분에는 홀더부재(20)가 구비되는 측으로 통상의 프레스 작업에 의한 드로잉 공정을 통하여 돌출되는 돌출부(40)를 형성하고, 그 돌출된 내부에는 수용공간부(42)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배선함에서 여러 전기배선을 결속시 수용공간이 부족하여 결속된 전기배선이 배선함 커버를 체결시 압입되면서 누전 등이 발생하였던 것을 상기 배선함 커버에 보조적인 수용공간부를 형성하여 덮혀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배선함 내의 결속된 전기배선이 압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에 형성된 각 연결공으로 플렉시블관을 연결시 간단한 구조를 가짐은 물론 별도의 작업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긴밀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자가 현장에서 플렉시블관을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번거러운 작업없이 간편하면서 편리하고 긴밀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를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함에 따라 플렉시블관에 결합시 보다 용이하면서 견고하고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플렉시블관의 끝단을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수용홈부로 인입되도록 결합함로써, 플렉시블관의 연결작업이 완료된 후 전기배선을 삽입시 그 플렉시블관의 끝단에 형성되는 버나 날카로운 단면에 의해 전선이 탈피되거나 찢김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홀더부재를 분리 형성시킴에 따라 기존에 생산되거나 사용되는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에 간단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호환성도 뛰어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 홀더부재에 고정부재를 분리되지 않고 셋트화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셋트화된 상태로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홀더부재 또는 고정부재의 분실됨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연결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배선함 커버에 배선함에서 결속되는 전기배선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부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배선함에서 전기배선을 결속 후 배선함 커버를 체결 고정시에도 압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Claims (9)

  1. 배선함이나 배선함 커버에 형성되는 각 연결공으로 플렉시블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10)는, 그 연결공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 플렉시블관의 일측단이 삽입되도록 점점 작은 직경을 갖는 홀더부재(20)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부재가 구비되는 반대 방향의 타측에는 상기 홀더부재로 삽입된 플렉시블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된 후 상기 플렉시블관이 삽입된 반대 방향으로 플렉시블관을 당김으로 인해 상기 홀더부재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플렉시블관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20)는 그 연결공의 외주연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일측단에 지지링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링부로부터 점점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절개홈(34) 사이에 다수의 조임편(36)이 형성되되, 상기 조임편의 내측면에는 플렉시블관의 피치와 피치 사이의 골로 걸려지는 다수의 걸림턱(36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6a)은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지지링부(32) 내측면에는 플렉시블관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부(3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20)는 그 배선함 커버에 형성된 연결공의 외주연에 분리되어 직경이 넓은 측에 지지플랜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의 직경이 넓은 측에도 걸림플랜지(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조임편(36) 길이(L)는 홀더부재(20)의 길이(l)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그 홀더부재의 작은 직경을 갖는 부분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된 고정부재의 조임편 끝단으로 분리방지턱(36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함 커버(100)의 연결공(102)이 형성된 부분에는 홀더부재(20)가 구비되는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0)가 형성되고, 그 돌출된 내부에는 수용공간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1020070042166A 2007-04-30 2007-04-30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100764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166A KR100764834B1 (ko) 2007-04-30 2007-04-30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166A KR100764834B1 (ko) 2007-04-30 2007-04-30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834B1 true KR100764834B1 (ko) 2007-10-09

Family

ID=3941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166A KR100764834B1 (ko) 2007-04-30 2007-04-30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26Y1 (ko) 2010-03-11 2011-11-07 이용운 아울렛 박스의 공용 커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230Y1 (ko) 2003-03-28 2003-06-27 박남칠 케이블관의 밀폐 설치구조
KR100564295B1 (ko) 2005-08-30 2006-03-29 주식회사 이지건축 전기 전선보호관용 연결구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230Y1 (ko) 2003-03-28 2003-06-27 박남칠 케이블관의 밀폐 설치구조
KR100564295B1 (ko) 2005-08-30 2006-03-29 주식회사 이지건축 전기 전선보호관용 연결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26Y1 (ko) 2010-03-11 2011-11-07 이용운 아울렛 박스의 공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2143592A (zh) 纜線固定裝置
JP5237302B2 (ja) 電気組継ぎ(splice)コネクタ
JP2007526733A (ja) 調整手段を含むケーブル入口装置
US20050118865A1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JP2007525936A (ja) 簡単据付用のケーブル入口装置
KR200428931Y1 (ko) 전선관 커넥터
US20190173226A1 (en) One-touch terminal for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able to industrial electrical equipment including lightning arrestor
KR200434256Y1 (ko) 고압호스 연결구
KR100958409B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100764834B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20150114293A (ko) 가요전선관 커넥터
US5704814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727359B1 (ko)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KR100829510B1 (ko) 방수, 비방수 겸용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100432471B1 (ko)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KR200257936Y1 (ko)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KR102117071B1 (ko) 전선 접속장치
CN211017430U (zh) 一种电网一次设备线夹
KR200223941Y1 (ko)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 커넥터
KR101582924B1 (ko) 케이블 소켓 커넥터
JP5172396B2 (ja) 電力ケーブル用プーリングアイ
JP4745402B2 (ja) 銅ケーブル撤去用ジグ
KR102518531B1 (ko) 배터리 포스트 장치
JP2024072366A (ja) クランプ
JP2008269790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