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941Y1 -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 커넥터 - Google Patents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941Y1
KR200223941Y1 KR2020000032119U KR20000032119U KR200223941Y1 KR 200223941 Y1 KR200223941 Y1 KR 200223941Y1 KR 2020000032119 U KR2020000032119 U KR 2020000032119U KR 20000032119 U KR20000032119 U KR 20000032119U KR 200223941 Y1 KR200223941 Y1 KR 200223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astening
thread
terminal box
flexib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웅
Original Assignee
세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2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941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이 삽치되는 후렉시블관과 단자함을 연결하며 체결하기 위한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체결커넥터에 있어서, 체결커넥터의 타측으로 상기 후렉시블관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나사골에 대응되도록 나사골과 나사산을 형성하되, 상기 나사골과 나사산을 암나사부로 하거나 또는 숫나사부로 형성하여 후렉시블관 내경 및 외경과 체결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숫나사부의 외주면으로 적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절결홈에 의한 절결나사를 갖는 구성을 제공하여, 단자함과 연결되어 배선되는 후렉시블관과의 체결작업을 보다 용이하며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하여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고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없이 단자함과 후렉시블관의 체결작업을 원할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와, 후렉시블관의 나사산과 나사골을 이용하여 체결가능하게 함으로써, 후렉시블관이 종래와 같이 외부 충격등에 의해 체결커넥터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배제할 수 있어 후렉시블관내의 전선이 외부로 누출되어 발생되는 누전사고나 화재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위한 전선보호용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 커넥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 커넥터{Flexible-pipe and terminal-box contract connector}
본 고안은 실내외 또는 공장등 각종 배선설치 작업시 전선을 삽입 설치하여 보호하기 위한 후렉시블관을 간단하며 신속하게 설치 작업하여 단자함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렉시블의 특성을 이용하여 후렉시블 피치와 피치간에 형성되는 골에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형성하고 그 나사산과 나사산과의 나사골의 거리는 후렉시블 나사산의 폭이 삽입되는 폭으로 형성하여서되는 암나사부를 내주면에 형성하거나, 또는 외주면에 숫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후렉시블과 간단하게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커넥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나사산의 원주면을 절결가공하여 단락되는 상태의 나사산을 갖는 커넥터에 의해 후렉시블과 나사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단자함과 후렉시블관과의 체결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선보호용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10)과 후렉시블관(20)과의 체결을 하기 위한 종래의 커넥터(1)는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되며 양방이 개방되는 형상을 갖고, 단자함(10)내의 관통공(11)에 삽입되는 측의 외주면에는 나사부(4)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통공(3)이 대향되며 형성되되 통공(3)과 통공(3)사이가 개방되는 체결밴드(2)를 일체로 형성하되 일정원호 절결되는 절결홈(7)을 갖도록 하여 절결편(8)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되는 커넥터(1)의 체결밴드(2)측에 전선이 삽입되는 후렉시블관 (20)을 끼운 후, 볼트(B)와 너트(N)로 상기 통공(3)사이에 삽치한 다음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조여주므로서 체결밴드(2)가 후렉시블관(20)을 견고하게 조여줄수 있도록 한 다음, 타측의 나사부(4)를 단자함(10)의 관통공(11)에 삽입하고 링너트 (5)와 체결너트(6)를 이용하여 상기 나사부(4)와 체결하므로서 단자함(10)과 후렉시블관(20)과의 체결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체결밴드(2)를 조여 후렉시블관(20)과의 체결시 너무 헐거워질 경우 후렉시블관(20)이 체결밴드(2)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외부로 노출된 전선에 의해 누전이나 화재사고등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절결홈(7) 형성에 의한 절결편(8)에 의해 후렉시블관(20)을 조여주게 되는바, 상기 절결편(8)은 커넥터(1)의 재질상 탄성을 갖고 있지 못하여 한번 오므려져 후렉시블관(20)을 체결한 상태에서 외부조건등에 의해 후렉시블관(20)이 이탈되어 재차 체결할 경우, 오므려진 절결편(8)을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다시 원상복귀시켜 후렉시블관(20)의 직경보다 크게 벌린 후 재차 체결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은 물론, 한번 오므려진 상태의 절결편(8)을 재차 원상복귀시키는 것이 번거로워 새로운 커넥터(1)를 사용하여 후렉시블관(20)과 단자함 (10)을 연결, 체결하게 됨으로서 부품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커넥터를 이용하여 체결할시, 후렉시블관과 체결커넥터와의 체결작업이 손쉽고 간단하며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여타의 공구없이도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근본적인 목적이 있으며, 감소된 부품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에따른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선이 삽치되는 후렉시블관(20)과 단자함(10)을 연결하며 체결하기 위한 일측에 나사부(37)가 형성되는 체결커넥터(30)에 있어서,
체결커넥터(30)의 타측으로 상기 후렉시블관(20)에 형성되는 나사산(21)과 나사골(22)에 대응되도록 나사골(34)과 나사산(33)을 형성하되, 상기 나사골(34)과 나사산(33)을 암나사부(31)로 하거나 또는 숫나사부(32)로 형성하여 후렉시블관 (20) 내경 및 외경과 체결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숫나사부(32)의 외주면으로 적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절결홈(35)에 의한 절결나사 (36)를 갖는 전선보호용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 커넥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후렉시블관과 단자함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종래의 후렉시블과 단자함을 결합 연결하는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단자함 11; 관통공 20; 후렉시블관
21; 나사산 22; 나사골 30; 체결 커넥터
31; 암나사부 32; 숫나사부 33; 나사산
34; 나사골 35; 절결홈 36; 절결나사
37; 나사부 38; 걸림턱 40; 링너트
50; 체결너트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후렉시블관과 단자함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1 과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중앙에 걸림턱(38)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으로 통상 숫나사가 형성되는 나사부(37)가 소정길이 돌출되어지도록하여 단자함(10)의 관통공(11)을 통해 삽입되는 통상의 구조를 갖도록 하고, 타측으로는 후렉시블관(20)의 나사산(21)과 나사골(22)과 대응되는 나사골(34)과 나사산(33)이 형성되는 숫나사부(32)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후렉시블관(20)은 통상 주름관이라고도 명명되어지는바 곡선 배관 작업이나 배선작업시 통상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후렉시블관(20) 내경과 외경에 형성되는 나사산(21)과 나사골(22)(본 명세서에서는 이와같이 명칭한다)이 형성되어지고 후렉시블관(20)을 잡아당기면 외경과 내경측에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그 형상이 드러나게 되어 통상 나사나 볼트등에서 볼 수 있는 나사산(21)과 나사골 (22)을 이루며 규격화되어 등간격으로 피치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의 나사산(21)은 통상 나사골(22)보다 그 폭을 크게 하고 있는 실정이며 잡아당기지 않을 때에는 나사골(22)이 나사산(21) 사이에 내합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같은 후렉시블관(20) 내경측에 삽입되어 나사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후렉시블관(20)의 일정폭으로 되는 나사산(21)이 끼워질수 있도록 동일폭으로 되는 나사골(34)과 후렉시블관(20)의 일정폭으로 되는 나사골 (22)에 삽입되며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21)을 체결커넥터(30) 타측방에 형성하며 숫나사부(32)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되는 숫나사부(32)를 후렉시블관(20) 내경측에 삽입하며 돌리게 되면, 후렉시블관(20) 선단부 내경측의 나사골(22)이 가이드 역할을 하며 체결커넥터 (30) 숫나사부(32)의 나사산(33)이 끼워지게 되므로, 작업자가 손쉽게 체결커넥터 (30)를 나사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체결커넥터(30)의 숫나사부(32)가 후렉시블관 (20) 내경측에 삽입되며 나사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체결커넥터(30)와 후렉시블관(20)과의 체결이 완료되면, 체결커넥터(30)의 일측에 형성되는 나사부(37)를 단자함(10)의 관통공(11)에 삽치시킨 다음, 통상의 링너트(40)와 체결너트(50)를 이용하여 체결커넥터(30)와 단자함(10)과의 결합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체결커넥터(30)를 이용하여 후렉시블관(20)과 단자함(10)과의 체결작업 수행시, 별도의 공구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손쉽고 간편하며 신속하게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2 실시예)
한편, 이와는 달리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체결커넥터(30)의 나사산(21)과 나사골(22)을 외주면에 형성하여 숫나사부(32)를 형성하는 대신, 상기 나사산(33)과 나사골(34)을 내주면에 형성하여 암나사부(31)를 형성하되, 제 1 실시예의 체결커넥터(30)의 중앙 외주면에 환설되는 걸림턱(38)의 직경을 크게하고 이와 동일한 직경으로 되는 원봉형상의 암나사부를 갖는 체결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업을 동일하게 수행하는바, 작업자가 체결커넥터(30)의 암나사부(31) 내경측으로 후렉시블관(20)을 삽입하며 상기 후렉시블관(20) 외경의 나사산(21)이 체결커넥터(30) 암나사부(31)의 나사골 (34)의 가이드를 받으며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체결커넥터(30)와 후렉시블관(20)과의 체결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다음,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체결커넥터(30)의 일측에 형성되는 나사부 (37)를 단자함(10)의 관통공(11)에 삽치시킨 후 링너트(40)와 체결너트(50)등을 이용하여 단자함(10)과 후렉시블관(20)과의 체결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제 3 실시예)
한편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고안을 구성할 수 있는바, 제 1 실시예에 의한 숫나사부(32)를 갖는 체결커넥터(30)의 나사산(33) 외주면에 적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절결되도록 하여 절결홈(35)을 갖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등간격 이격되는 절결나사(36)를 형성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절결나사(36)를 갖는 체결커넥터(30)를 이용하여 후렉시블관(20) 내경의 나사산(21)과 나사골(22)에 삽입 체결할때,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절결나사(36)가 후렉시블관(20) 나사골(22)의 가이드를 받으며 체결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단자함과 연결되어 배선되는 후렉시블관과의 체결작업을 보다 용이하며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없이 단자함과 후렉시블관의 체결작업을 원할히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후렉시블관의 나사산과 나사골을 이용하여 체결가능하게 함으로써, 후렉시블관이 종래와 같이 외부 충격등에 의해 체결커넥터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배제할 수 있어 후렉시블관내의 전선이 외부로 누출되어 발생되는 누전사고나 화재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전선이 삽치되는 후렉시블관(20)과 단자함(10)을 연결하며 체결하기 위한 일측에 숫나사에 의해 나사부(37)가 형성되는 체결커넥터(30)에 있어서,
    중앙 외주면에 걸림턱(38)이 환설되는 체결커넥터(30)의 타측으로 상기 후렉시블관(20)에 형성되는 나사산(21)과 나사골(22)에 대응되도록 나사골(34)과 나사산(33)이 외주면에 형설되어 숫나사부(32)를 갖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용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커넥터(30)의 나사산(33)과 나사골(34)을 내주면에 형성하여 암나사부(31)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전선보호용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부(32)의 외주면으로 적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절결홈(35)에 의한 절결나사(36)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전선보호용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커넥터.
KR2020000032119U 2000-11-16 2000-11-16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 커넥터 KR200223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19U KR200223941Y1 (ko) 2000-11-16 2000-11-16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19U KR200223941Y1 (ko) 2000-11-16 2000-11-16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941Y1 true KR200223941Y1 (ko) 2001-05-15

Family

ID=7306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119U KR200223941Y1 (ko) 2000-11-16 2000-11-16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94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654B1 (ko) 2006-07-10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쉴드형 커넥터
KR20200071985A (ko) 2018-12-12 2020-06-22 (주)가올 전선 가요관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2431637B1 (ko) * 2021-07-29 2022-08-10 한창희 나사없는 전선관 커넥터 및 나사없는 전선관 커플링의 제조방법
KR20220157212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대봉이엔지 배전 박스용 연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654B1 (ko) 2006-07-10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쉴드형 커넥터
KR20200071985A (ko) 2018-12-12 2020-06-22 (주)가올 전선 가요관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2127264B1 (ko) 2018-12-12 2020-06-26 (주)가올 전선 가요관용 커넥터 어셈블리
KR20220157212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대봉이엔지 배전 박스용 연결구
KR102522602B1 (ko) 2021-05-20 2023-04-17 주식회사 대봉이엔지 배전 박스용 연결구
KR102431637B1 (ko) * 2021-07-29 2022-08-10 한창희 나사없는 전선관 커넥터 및 나사없는 전선관 커플링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7459A (en) Pipe connector, pipe coupler and associated nut
US5912431A (en) Snap-in locknut adapter for connectors
US5200575A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duit
JPH077837A (ja) ケーブルグランド
KR200428931Y1 (ko) 전선관 커넥터
US4535196A (en) Electrical anti-short bushing
JPH0259360B2 (ko)
KR200223941Y1 (ko) 후렉시블관과 단자함과의 체결 커넥터
US20100303567A1 (en) Guide member for a hole saw
KR102127264B1 (ko) 전선 가요관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9980051759A (ko) 반도체 가스실린더 교체용 공구
CA3106632C (en) Electrical conduit connector
KR101231873B1 (ko) 너트 풀림 방지 장치
JP2563063B2 (ja) ケーブル固定金具
KR200360111Y1 (ko) 전기배선용 커넥터
KR100432471B1 (ko)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US2875651A (en) Electrician's tool
EP2353211B1 (en) Cable joint protector
KR200386995Y1 (ko) 소음 저감과 이물질 삽입 방지용 파이프 마개
KR200318230Y1 (ko) 케이블관의 밀폐 설치구조
KR200197233Y1 (ko) 파이프 행거
KR200229440Y1 (ko) 가요관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전선가요관용 커넥터
KR200257936Y1 (ko)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KR200292508Y1 (ko) 전선퓨즈 체결구조
KR200207402Y1 (ko) 전선 절연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