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340Y1 -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 - Google Patents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340Y1
KR200169340Y1 KR2019990018092U KR19990018092U KR200169340Y1 KR 200169340 Y1 KR200169340 Y1 KR 200169340Y1 KR 2019990018092 U KR2019990018092 U KR 2019990018092U KR 19990018092 U KR19990018092 U KR 19990018092U KR 200169340 Y1 KR200169340 Y1 KR 200169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package
boat carrier
center
mounting area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준
Original Assignee
아남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남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남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8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3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3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범용 보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반도체패키지를 탑재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대략 직사각판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내에 각각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된 다수의 관통부와; 상기 각 관통부의 외주연에서 그 중심을 향하여 거리 조정이 가능하게 봉형태로 설치되어, 다양한 크기의 반도체패키지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탑재영역 조절부와; 상기 각 관통부의 외주연에서 그 중심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게 바(bar)형태로 형성되어, 반도체패키지를 저면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universal boat carrier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package}
본 고안은 범용 보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양한 크기의 반도체패키지를 탑재하여 작업할 수 있는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보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볼그리드어레이(ball grid array) 계열의 반도체패키지는 반도체칩과 메인보드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통상 하나의 반도체칩이 탑재되는 유닛이 일렬로 다수개가 연결된 스트립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의 각 유닛마다 다수의 반도체칩을 접착하고, 와이어 본딩, 몰딩, 볼융착 등의 공정이 상기 스트립채로 이루어 지며, 마지막에는 각각의 유닛을 싱귤레이션함으로써 소정의 반도체패키지를 얻게된다.
한편, 최근의 슈퍼볼그리드어레이(super ball grid array, 상표명) 계열의 반도체패키지는 인쇄회로기판 일면 전체에 방열판이 접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스트립채로 작업을 하게 되면 차후 싱귤레이션 공정에서 상기 방열판을 인쇄회로기판과 함께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야 하는데, 상기 방열판이 금속성이므로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스트립을 미리 유닛 단위로 싱귤레이션한 후 나머지 반도체패키지 제조 공정을 수행하고 있다. 이때 상기 유닛 단위의 인쇄회로기판 또는 반도체패키지(이하 '반도체패키지'라 함)를 한개씩 작업하게 되면 그 작업성이 매우 저하되므로(스트립채로 작업하는 경우와 비교해 볼 때), 상기 반도체패키지를 다수 탑재하여 마치 스트립채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보트 캐리어이다. 따라서, 나머지의 반도체패키지 제조 공정 즉, 반도체칩 접착, 와이어본딩, 몰딩, 도전성 볼 융착 공정이 상기 보트 캐리어상에서 실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보트 캐리어(20')의 구조를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대략 직사각판상의 몸체(2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21')에는 대략 사각 모양의 관통부(22')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렬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1')의 길이방향으로 그 양측면에는 다수의 인덱스홀(28')이 형성되어 각종 장비에 로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그 안쪽으로는 장비의 레일상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활모양으로 굽은 보잉부(26')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관통부(22') 외주연에는 네모서리에서 관통부(22') 중앙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된 탑재영역 조절부(23',24')가 각각 한쌍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탑재영역 조절부(23',24')에는 그것과 직각으로 상부를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된 패키지 고정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하는 보트 캐리어에는 반도체패키지(30')가 탑재되며, 탑재시에는 상기 관통부(22')의 네모서리에 형성된 탑재영역 조절부(23',24')에 얹혀지게 된다. 또한 탑재된 반도체패키지(30')는 그 탑재영역 조절부(23',24')에 형성된 패키지 고정부(25')에 의해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되지 않음으로써 각종 제조 공정시 그 반도체패키지의 유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러한 보트 캐리어(20')는 통상 다수의 반도체패키지 를 탑재한 상태에서 매거진(magazine)에 다수 안착되어 이송되거나 또는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장비에 로딩된 채 작업됨으로써 반도체패키지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트 캐리어는 오직 정해진 한가지 크기의 반도체패키지만을 수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즉, 반도체패키지를 탑재하여 고정하는 탑재영역 조절부 및 패키지 고정부가 유동적이지 않고 이미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반도체패키지들을 수용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반도체패키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보트 캐리어의 관통부, 탑재영역 조절부 및 패키지 고정부를 다르게 설계한 보트 캐리어를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반도체패키지를 탑재하여 작업할 수 있는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a는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1b 및 도1c는 도1a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은 종래의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101; 범용 보트 캐리어 2; 몸체
4; 인덱스홀(index hole) 6; 보잉부(bowing portion)
8; 관통부 10; 지지부
10a,12a; 절곡부 12; 탑재판
14; 나사봉 16; 수납구
18; 조절나사 20; 탑재영역 조절부
30; 반도체패키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는 대략 직사각판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내에 각각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된 다수의 관통부와; 상기 각 관통부의 외주연에서 그 중심을 향하여 거리 조정이 가능하게 봉형태로 설치되어, 다양한 크기의 반도체패키지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탑재영역 조절부와; 상기 각 관통부의 외주연에서 그 중심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게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반도체패키지를 저면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재영역 조절부는 관통부의 외주연인 몸체에 일정길이의 나사봉이 관통부의 중심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관통부 내측으로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나사봉의 단부에는 반도체패키지를 탑재할 수 있도록 탑재판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재영역 조절부에서 상기 나사봉 대신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일렬로 형성된 봉을 구비하고, 이와 접촉하는 영역 즉, 후술할 수납구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봉이 일정 길이 단위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나사봉의 단부에는 몸체상에 위치하여 그 나사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나사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나사는 몸체상에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수납구 내에 위치되어, 상기 수납구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봉과 탑재판 사이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탑재판이 나사봉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재판은 반도체패키지가 안정적으로 탑재되도록 나사봉의 폭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와 몸체 사이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가 몸체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재판은 지지부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부는 대략 정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네모서리에는 탑재영역 조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부가 이루는 각변의 중앙에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대략 정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네모서리에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부가 이루는 각변의 중앙에는 탑재영역 조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용 범용 보트 캐리어에 의하면, 관통부의 외주연에서 중심을 향하여 바형태로 다수의 지지부가 형성되고, 또한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탑재영역 조절부가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반도체패키지를 상기 관통부상에 탑재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반도체패키지의 크기에 따라 별도의 보트 캐리어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보트 캐리어를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a는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10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1b 및 도1c는 도1a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101)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실시예 즉, 도1a, 도1b 및 도1c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금속재질로서 대략 직사각판상의 몸체(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2)의 양측에는 각종 장비의 레일(rail)에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토록 활모양으로 굽은 보잉부(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잉부(6)의 바깥쪽인 몸체(2)에는 다수의 인덱스홀(4)이 형성되어 장비에 고정 및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몸체(2)의 내측 즉, 2개의 보잉부(6) 사이에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대략 사각형 모양을 하는 다수의 관통부(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8)의 외주연인 몸체(2)상에서 그 중심을 향하여는 거리 조정이 가능하게 봉형태로 설치되어, 다양한 크기의 반도체패키지(30)를 탑재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한개 이상의 탑재영역 조절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탑재영역 조절부(20)는 상기 관통부(8)의 각 모서리에 한개씩 총 네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탑재영역 조절부(2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관통부(8)의 외주연인 몸체(2)에 일정길이의 나사봉(14)이 관통부(8)의 중심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관통부(8) 내측으로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나사봉(14)의 단부에는 반도체패키지를 탑재할 수 있도록 탑재판(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봉(14)의 단부에는 몸체(2)상에 위치하여 그 나사봉(14)의 길이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나사(18)가 더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조절나사(18)는 몸체(2)상에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수납구(16)를 설치하고 그 수납구(16)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납구(16)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봉(14)과 탑재판(12) 사이에는 절곡부(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상기 탑재판(12)은 나사봉(14) 또는 몸체(2)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탑재판(12)은 반도체패키지(30)가 안정적으로 탑재되도록 나사봉(14)의 폭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탑재영역 조절부(20)중 상기 나사봉은 표면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일렬로 형성된 봉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하는 영역 즉, 수납구(16)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걸림턱을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하면, 걸림돌기와 걸림돌기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상기 봉의 돌출된 길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각 관통부(8)의 외주연 즉, 각각의 변 중앙에서 그 관통부(8)의 중심을 향하여는 일정길이 돌출되게 바형태(bar form)로 형성되어, 반도체패키지(30)를 저면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네개의 지지부(10)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0)와 몸체(2) 사이의 연결 영역에는 일정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10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10)는 몸체(2)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0)와 탑재판(12)은 동일평면상에 위치됨으로써 반도체패키지(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관통부(8)의 각 네모서리에 탑재영역 조절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부(8)가 이루는 각변의 중앙에는 지지부(10)가 형성된 제1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8)의 네모서리에 지지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부(8)가 이루는 각변의 중앙에는 탑재영역 조절부(20)가 형성된 것이 제1실시예와 다를 뿐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와 같은 범용 보트 캐리어(100,101)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2)에 형성된 각 관통부(8)에 소정의 반도체패키지(30)를 올려 놓는다. 그러면 상기 각 관통부(8)에는 중심을 향하여 대략 4개의 지지부(1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상기 반도체패키지(30)는 하부로 낙하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각관통부(8)의 네모서리 또는 각변의 중앙에 형성된 탑재영역 조절부(20)를 조작한다. 즉, 수납구(16)내에 위치된 조절나사(18)를 일정한 방향으로 돌려서, 나사봉(14)의 단부에 형성된 탑재판(12)이 각 반도체패키지(30)의 모서리 또는 각변을 압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네개의 탑재영역 조절부(20)를 적절히 조작하게 되면, 상기 각 탑재영역 조절부(20)의 탑재판(12)이 반도체패키지(30)의 네영역을 적절히 압착하게 됨으로써 결국 반도체패키지는 지지부(10) 및 탑재판(12)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반도체패키지(30)의 크기가 달라질 경우에는 상기 탑재영역 조절부(20)의 조절나사(18)에 대한 조절량이 달라지게 되며, 이로서 다양한 크기의 반도체패키지(30)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된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패키지용 범용 보트 캐리어에 의하면, 관통부의 외주연에서 중심을 향하여 바형태로 다수의 지지부가 형성되고, 또한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탑재영역 조절부가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반도체패키지를 상기 관통부상에 탑재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반도체패키지의 크기에 따라 별도의 보트 캐리어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보트 캐리어를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대략 직사각판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내에 각각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된 다수의 관통부와;
    상기 각 관통부의 외주연에서 그 중심을 향하여 거리 조정이 가능하게 봉형태로 설치되어, 다양한 크기의 반도체패키지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탑재영역 조절부와;
    상기 각 관통부의 외주연에서 그 중심을 향하여 일정길이 돌출되게 바(bar)형태로 형성되어, 반도체패키지를 저면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영역 조절부는 나사봉과 이에 연결된 탑재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나사봉과 탑재판 사이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탑재판이 나사봉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몸체 사이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가 몸체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대략 정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네모서리에는 탑재영역 조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부가 이루는 각변의 중앙에는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대략 정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네모서리에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부가 이루는 각변의 중앙에는 탑재영역 조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
KR2019990018092U 1999-08-28 1999-08-28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 KR200169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092U KR200169340Y1 (ko) 1999-08-28 1999-08-28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092U KR200169340Y1 (ko) 1999-08-28 1999-08-28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340Y1 true KR200169340Y1 (ko) 2000-02-15

Family

ID=1958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092U KR200169340Y1 (ko) 1999-08-28 1999-08-28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34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896B1 (ko) * 2005-01-07 2008-01-31 에이에스엠 어쌤블리 오토메이션 리미티드 캐리어 상에 디바이스를 정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75227B1 (ko) 2011-06-27 2012-08-2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패키지
KR20160081289A (ko) 2014-12-31 2016-07-08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보트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KR20180133265A (ko) * 2017-06-05 2018-12-14 홍승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용 매거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896B1 (ko) * 2005-01-07 2008-01-31 에이에스엠 어쌤블리 오토메이션 리미티드 캐리어 상에 디바이스를 정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75227B1 (ko) 2011-06-27 2012-08-2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패키지
KR20160081289A (ko) 2014-12-31 2016-07-08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보트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KR20180133265A (ko) * 2017-06-05 2018-12-14 홍승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용 매거진
KR101948522B1 (ko) 2017-06-05 2019-04-29 홍승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용 매거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920B1 (ko) 히트 스프레더, 이를 갖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및 메모리모듈
US20070206359A1 (en) Memor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clip for mounting a heat sink thereon
US69503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f-leveling heat sink for multiple height devices
EP0333374A3 (en) Edge-mounted, surface-mount package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7530388B2 (en) Heat sink
US7385822B1 (en) Clip assembly
US6418028B2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KR200169340Y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범용 보트 캐리어
KR100597556B1 (ko) 하중 센터링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열 소산 장치
US6321976B1 (en) Method of wire bonding for small clearance
US7240820B2 (en) Clamping device for processing electronic devices
JPH0126111Y2 (ko)
KR102165503B1 (ko) 반도체 패키지모듈의 휨 방지장치
US20070284703A1 (en)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JP330382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7202387A (ja) ボール・グリッド・アレイ
KR200143231Y1 (ko) 전자부품용 방열판의 기판 결합구조
KR200213529Y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캐리어프레임 구조
KR100739440B1 (ko) 베이스 필름을 구비한 반도체 칩 패키지
KR100479910B1 (ko) 반도체팩키지실장용흡착노즐장치
KR200171774Y1 (ko) 반도체 패키지 운반용 캐리어
JP2001244668A (ja) ヒートシンク固定構造および方法
KR101097505B1 (ko) 볼 마운팅 장치의 스퀴지
KR100235750B1 (ko) 반도체패키지
JPH08204371A (ja) 電子部品の放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