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103Y1 - 선반용 회전센터 - Google Patents

선반용 회전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103Y1
KR200169103Y1 KR2019990019161U KR19990019161U KR200169103Y1 KR 200169103 Y1 KR200169103 Y1 KR 200169103Y1 KR 2019990019161 U KR2019990019161 U KR 2019990019161U KR 19990019161 U KR19990019161 U KR 19990019161U KR 200169103 Y1 KR200169103 Y1 KR 200169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s
center
morse taper
cover
t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주
Original Assignee
박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주 filed Critical 박근주
Priority to KR2019990019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1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3/00Tailstocks; Cent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좌, 우 균형을 잡아주는 베어링을 장착함으로써, 중량이 많이 나가는 공작물을 고속절삭할 때 모오스 테이퍼가 공작물의 중심에서 이탈되지 않는 선반용 회전센터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반용 회전센터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반의 심압대에 끼워지는 홀더, 홀더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다수의 베어링과 모오스 테이퍼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지는 플랜지, 및 다수의 베어링을 에워싸면서 모오스 테이퍼를 중심으로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수납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내측 원주면 상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커버의 중앙에는 모오스 테이퍼가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된 회전센터에 있어서, 다수의 베어링은 수납부 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트러스트 베어링, 테이퍼롤러 베어링 및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선반용 회전센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반용 회전센터{Live center for lathe}
본 고안은 선반용 회전센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오스 테이퍼의 좌, 우 균형을 잡아주는 베어링을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중량이 많이 나가는 공작물을 고속절삭할 때 모오스 테이퍼가 공작물의 중심에서 이탈되지 않는 선반용 회전센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의 센터(center)는 길이가 긴 축등을 가공할 때 선반의 심압대에 물려서 사용하는 것으로, 크게 회전센터(live center)와 고정센터(dead center)가 있다.
도 2는 종래의 회전센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회전센터(10)는 선반의 심압대(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지는 홀더(11), 홀더(1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측에 복수의 베어링(13, 14) 및 모오스 테이퍼(15)가 수납되는 수납부(12)를 구비한다. 또한, 수납부(12)에 수납된 베어링(13, 14)을 에워싸면서, 모오스 테이퍼(15)를 중심으로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커버(16)를 구비한다.
이때, 수납부(12)내에 장착된 베어링(13, 14)은 트러스트 베어링(13)과 테이퍼롤러 베어링(14)이 한조로 삽입된다. 이와는 달리, 베어링(14)는 니들 베어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렇게 삽입된 트러스트 베어링(13)은 모오스 테이퍼(15)를 지지하며, 테이퍼롤러 베어링(14)(또는 니들 베어링)은 모오스 테이퍼(14)의 회전 정밀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전센터(10)는 중량이 많이 나가는 공작물을 모오스 테이퍼(15)에 물려서 가공할 때, 공작물이 회전함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서 모오스 테이퍼(15)가 중심의 일측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모오스 테이퍼의 좌, 우 균형을 잡아주는 베어링을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중량이 많이 나가는 공작물을 고속절삭할 때 모오스 테이퍼가 공작물의 중심에서 이탈되지 않는 선반용 회전센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센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센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2는 종래의 회전센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100, 200 : 회전센터 110, 210 : 홀더
120, 220 : 플랜지 122, 222 : 수납실
160, 260 : 모오스 테이퍼 170, 270 : 커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반의 심압대에 끼워지는 홀더, 홀더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다수의 베어링과 모오스 테이퍼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지는 플랜지, 및 다수의 베어링을 에워싸면서 모오스 테이퍼를 중심으로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수납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내측 원주면 상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커버의 중앙에는 모오스 테이퍼가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된 회전센터에 있어서,
다수의 베어링은 수납부 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트러스트 베어링, 테이퍼롤러 베어링 및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선반용 회전센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모오스 테이퍼의 좌, 우 균형을 잡아주는 베어링을 장착함으로써, 중량이 많이 나가는 공작물을 고속절삭할 때 모오스 테이퍼가 공작물의 중심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회전센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센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1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센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선반용 회전센터(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반의 심압대에 끼워지는 홀더(110)를 구비한다. 홀더(110)의 일단에는 일체로 플랜지(120)가 형성된다. 플랜지(120)는 홀더(110)의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수납부(122)를 갖는다. 수납부(122)는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내측 원주면 상에는 암나사(124)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수납부(122) 내에는 서로다른 다수의 베어링(130, 140, 150), 모오스 테이퍼(160) 및 커버(170)가 장착된다.
베어링(130, 140, 150)은 트러스트 베어링(130), 테이퍼롤러 베어링(140) 및 볼 베어링(15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는 달리, 베어링(140)은 니들 베어링으로 대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베어링(130, 140, 150)들의 내측에는 모오스 테이터(160)가 장착되어 수납부(122)의 외부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수납부(122)의 암나사부(124)에는 외주면상에 수나사(174) 형성된 커버(170)가 나사결합된다. 커버(170)에는 모오스 테이퍼(160)가 돌출되게 끼워지는 관통공(172)이 형성된다.
이렇게 수납부(122)에 장착된 트러스트 베어링(130)은 모오스 테이퍼(160)를 지지하고, 테이퍼롤러 베어링(140)(또는 니들 베어링)은 회전하는 모오스 테이퍼(160)의 회전 정밀도를 높여준다. 또한, 테이퍼롤러 베어링(140)(또는 니들 베어링)의 일측에 장착된 볼 베어링(150)은 회전하는 모오스 테이퍼(160)의 좌, 우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다수의 베어링(130, 140, 150)이 회전할 때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베어링(130, 140, 150) 및 회전센터(1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센터(100)내에는 냉각오일이 강제순환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선반용 회전센터(2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반의 심압대에 끼워지는 홀더(210)를 구비한다. 홀더(210)의 일단에는 일체로 플랜지(220)가 형성된다. 플랜지(220)는 홀더(210)의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수납부(222)를 갖는다. 수납부(222)는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내측 원주면 상에는 암나사(224)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수납부(222) 내에는 서로다른 다수의 베어링(230, 240), 모오스 테이퍼(260) 및 커버(270)가 장착된다.
베어링(230, 240)은 트러스트 베어링(230), 다수의 볼 베어링(24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베어링(230, 240)들의 내측에는 모오스 테이터(260)가 장착되어 수납부(222)의 외부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수납부(222)의 암나사부(224)에는 외주면상에 수나사(274) 형성된 커버(270)가 나사결합된다. 커버(270)에는 모오스 테이퍼(260)가 돌출되게 끼워지는 관통공(272)이 형성된다.
이렇게 수납부(222)에 장착된 트러스트 베어링(230)은 모오스 테이퍼(260)를 지지하고, 다수의 볼 베어링(240)은 회전하는 모오스 테이퍼(260)의 정밀도를 높여주고, 모오스 테이퍼(260)의 좌, 우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다수의 베어링(230, 240)이 회전할 때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베어링(230, 240) 및 회전센터(2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센터(200)내에는 냉각오일이 강제순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회전센터(100)는 수납부(122)에 트러스트 베어링(130), 테이퍼롤러 베어링(140)(또는 니들 베어링)을 순차적으로 장착하여, 회전하는 모오스 테이퍼(160)를 지지하고 회전 정밀도를 높여줄 뿐만아니라 볼 베어링(150)을 추가로 구비하여 좌, 우균형을 잡아주기 때문에, 중량이 많이 나가는 공작물을 고속절삭할 때 모오스 테이퍼(160)가 공작물의 중심에서 이탈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회전센터(200)는 수납부(222)에 트러스트 베어링(230) 및 다수의 볼 베어링(240)이 회전하는 모오스 테이퍼(260)의 좌, 우 균형을 잡아주기 때문에 중량이 가벼운 공작물을 고속절삭할 때 모오스 테이퍼(260)가 공작물의 중심에서 이탈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반의 심압대에 끼워지는 홀더(110), 상기 홀더(11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다수의 베어링과 모오스 테이퍼(160)가 수납되는 수납부(122)를 가지는 플랜지(120), 및 상기 다수의 베어링을 에워싸면서 상기 모오스 테이퍼(160)를 중심으로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커버(170)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122)는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내측 원주면 상에는 암나사(124)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170)의 중앙에는 상기 모오스 테이퍼가(160)가 끼워지는 관통공(172)이 형성된 회전센터(10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베어링은 상기 수납부(122) 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트러스트 베어링(130), 테이퍼롤러 베어링(140) 및 볼 베어링(1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반용 회전센터.
  2.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반의 심압대에 끼워지는 홀더(110), 상기 홀더(11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다수의 베어링과 모오스 테이퍼(160)가 수납되는 수납부(122)를 가지는 플랜지(120), 및 상기 다수의 베어링을 에워싸면서 상기 모오스 테이퍼(160)를 중심으로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커버(170)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122)는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내측 원주면 상에는 암나사(124)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170)의 중앙에는 상기 모오스 테이퍼가(160)가 끼워지는 관통공(172)이 형성된 회전센터(10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베어링은 상기 수납부(122) 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트러스트 베어링(130), 니들 베어링 및 볼 베어링(1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반용 회전센터.
  3.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반의 심압대에 끼워지는 홀더(210), 상기 홀더(21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다수의 베어링과 모오스 테이퍼(260)가 수납되는 수납부(222)를 가지는 플랜지(220), 및 상기 다수의 베어링을 에워싸면서 상기 모오스 테이퍼(260)를 중심으로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커버(270)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222)는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내측 원주면 상에는 암나사(224)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270)의 중앙에는 상기 모오스 테이퍼가(260)가 끼워지는 관통공(272)이 형성된 회전센터(20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베어링은 상기 수납부(222) 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트러스트 베어링(230) 및 다수의 볼 베어링(2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반용 회전센터.
KR2019990019161U 1999-09-09 1999-09-09 선반용 회전센터 KR200169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161U KR200169103Y1 (ko) 1999-09-09 1999-09-09 선반용 회전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161U KR200169103Y1 (ko) 1999-09-09 1999-09-09 선반용 회전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103Y1 true KR200169103Y1 (ko) 2000-02-15

Family

ID=1958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161U KR200169103Y1 (ko) 1999-09-09 1999-09-09 선반용 회전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1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928B1 (ko) 2017-07-06 2018-08-16 정천교 축 가공물 검사용 지지 센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928B1 (ko) 2017-07-06 2018-08-16 정천교 축 가공물 검사용 지지 센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50093A1 (en) Rotating table apparatus
US6224306B1 (en) Tool Holder
US4844625A (en) Structure of journal bearing for motor operating at high revolutionary speeds
KR20030070843A (ko) 유체 베어링 기구와 이 유체 베어링 기구를 구비한브러시리스 모터
KR200169103Y1 (ko) 선반용 회전센터
KR950001980B1 (ko) 공작물 가공용 회전공구
EP0175064B1 (en) Machine tool
US4535661A (en) Power-driven steady rest for lathes
JP6944502B2 (ja) 工作機械の主軸装置
JP2003211309A (ja) 旋盤用工具チャック装置
US6095729A (en) Spindle extension for milling machine
US3316785A (en) Live center
ATE261793T1 (de) Elektrische hochgeschwindigkeitsspindel mit hybridrotorlagerung in holzbearbeitungsmaschinen
KR0184732B1 (ko) 선반용 주축
KR100614905B1 (ko) 자동선반의 크로스드릴
KR960002870Y1 (ko) 선반의 센터 고정장치
CN212420517U (zh) 一种镗铣动力头
SE8901281L (sv) Centrifugalkvarn
CN217412485U (zh) 一种动力刀塔
US2814217A (en) Apparatus for boring polygonal holes
CN210588168U (zh) 一种伺服动力头
KR900008005Y1 (ko) 머시닝 센터용 스핀들 유니트
CN217095712U (zh) 一种车床顶针及一种顶针组件
RU2368464C2 (ru) Роторная режущая головка
SU1454577A1 (ru) Вращающийс цен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