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410Y1 - 플러그 소켓 - Google Patents

플러그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410Y1
KR200168410Y1 KR2019960030129U KR19960030129U KR200168410Y1 KR 200168410 Y1 KR200168410 Y1 KR 200168410Y1 KR 2019960030129 U KR2019960030129 U KR 2019960030129U KR 19960030129 U KR19960030129 U KR 19960030129U KR 200168410 Y1 KR200168410 Y1 KR 2001684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direct
indirect
holes
plug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791U (ko
Inventor
최규하
Original Assignee
최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하 filed Critical 최규하
Priority to KR2019960030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410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7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7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4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4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02Details
    • H01H43/04Means for time se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 소켓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한쌍의 다이렉트 및 인다이렉트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되며, 다이렉트 및 인다이렉트 관통구멍 사이에 설치구멍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다이렉트 관통구멍의 동일 직선상에 대응되어 위치되는 다이렉트 접속구멍을 가지고, 코드의 와이어가 배선되는 한쌍의 다이렉트 터미널과; 인다이렉트 관통구멍과 동일 직선상에 대응되어 위치되는 인다이렉트 접속구멍을 갖는 한쌍의 인다이렉트 터미널과; 설치구멍에 설치되며, 노브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설정 시간 동안에 회전축이 회전되고, 회전축에 차단 홈을 갖는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이 각각 장착되는 타이머와;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차단홈에 선택적으로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차단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레버와; 제 1 및 제 2 레버의 회전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고 다이렉트 터미널과 와이어에 의해 배선되는 가동 터미널과, 가동 터미널의 인접 위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게 장착되며 인다이렉트 터미널과 와이어에 의해 배선되는 고정 터미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포함하는 플러그 소켓에 있다.
따라서,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전원의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제품의 사용이 편리하고 용이해지며,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회로가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므로, 전자파의 발생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관련구동부품들의 열화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전기ㆍ전자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고, 뇌전피해가 방지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플러그 소켓
본 고안은 플러그 소켓(plug socke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의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한 플러그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ㆍ전자 제품은 플러그 소켓, 소위 콘센트에 의해 배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기ㆍ전자 제품은 파워 코드(power code)의 플러그(plug)가 플러그 소켓에 접속(接續)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그런데, 전기ㆍ전자 제품은 사용하지 않을 때 플러그를 플러그 소켓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사용자의 번거움과 부주의로 인하여 전기ㆍ전자 제품의 파워 스위치(power switch)를 단순히 온(on) 또는 오프(off)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전기ㆍ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플러그 소켓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전기ㆍ전자 제품의 파워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상당한 크기의 전력 소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17인치 텔레비젼(television)의 경우에 플러그를 플러그 소켓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대략 5W 정도의 전력 소모량이 발생되며, 이러한 전기ㆍ전자 제품의 전력 소모로 인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가 크게 발생되는 것이다.
한편, 전기ㆍ전자 제품의 파워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전기ㆍ전자 제품은 대기 상태로 작동되므로, 전기ㆍ전자 제품으로부터 전자파가 발생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전기ㆍ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플러그 소켓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대기 상태로 작동이 이루어져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바, 이러한 유해 전자파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단순히 사용자가 플러그와 플러그 소켓을 분리시켜 놓도록 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또한, 전기ㆍ전자 제품이 대기 상태로 작동되면서 관련구동부품들의 열화(劣化)가 발생되어 전기ㆍ전자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전기ㆍ전자 제품의 대기 상태시 낙뢰(落雷)의 일부가 전기ㆍ전자 제품에 유입되거나 또는 전위차에 의하여 뇌전피해(雷電被害)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의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제품의 사용이 편리하고 용이해지며,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전자파의 발생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관련구동부품들의 열화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전기ㆍ전자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며, 뇌전피해가 방지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플러그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기ㆍ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 소켓에 있어서, 한쪽 면에 커버가 조립되고, 다른쪽 면에 한쌍의 다이렉트 관통구멍과 한쌍의 인다이렉트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되며, 다이렉트 관통구멍과 인다이렉트 관통구멍 사이에 설치구멍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다이렉트 관통구멍의 동일 직선상에 서로 대응되어 위치되는 다이렉트 접속구멍을 가지고, 코드의 와이어가 배선되는 한쌍의 다이렉트 터미널과; 인다이렉트 관통구멍과 동일 직선상에 서로 대응되어 위치되는 인다이렉트 접속구멍을 갖는 한쌍의 인다이렉트 터미널과; 케이스의 설치구멍에 설치되며, 노브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설정 시간 동안에 회전축이 회전되고, 회전축에 차단 홈을 갖는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이 각각 장착되는 타이머와;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의 회전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차단홈에 선택적으로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차단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레버와; 제 1 및 제 2 레버의 회전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고 다이렉트 터미널과 와이어에 의해 배선되는 가동 터미널과, 가동 터미널의 인접 위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게 장착되며 인다이렉트 터미널과 와이어에 의해 배선되는 고정 터미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포함하는 플러그 소켓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소켓에서 타이머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소켓에서 타이머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플러그 소켓11; 케이스
20A,20B; 다이렉트 관통구멍21A,21B; 다이렉트 터미널
22A,22B; 다이렉트 접속구멍30A,30B; 인다이렉트 관통구멍
31A,31B; 인다이렉트 터미널32A,32B; 인다이렉트 접속구멍
40; 설치구멍50; 타이머
52; 회전축60,70;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
61,71; 차단홈65,75; 제 1 및 제 2 레버
67,77; 차단돌기80,90; 제 1 및 제 2 커넥터
81,91; 가동 터미널82,92; 고정 터미널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소켓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소켓(10)의 케이스(case: 11)는 한쪽 면이 트인 대략 사각형상체의 상자형으로 제작되고, 이 케이스(11)의 한쪽 면에 커버(cover: 12)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케이스(11)의 다른쪽 면에 한쌍의 다이렉트 관통구멍(direct through hole: 20A,20B)과 한쌍의 인다이렉트 관통구멍(indirect through hole: 30A,30B)이 각각 형성되며, 다이렉트 관통구멍(20A,20B)과 인다이렉트 관통구멍(30A,30B) 사이에 설치구멍(40)이 형성된다.
한편, 다이렉트 관통구멍(20A,20B)의 동일 직선상에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다이렉트 터미널(direct terminal: 21A,21B)의 다이렉트 접속구멍(direct connection hole: 22A,22B)이 서로 대응되어 위치된다. 인다이렉트 관통구멍(30A,30B)과 동일 직선상에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인다이렉트 터미널(21A,21B)의 인다이렉트 접속구멍(32A,32B)이 서로 대응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다이렉트 터미널(21A,21B)의 한쪽 끝에 코드(cord: 15)의 와이어(wire: 16A,16B)가 직접 배선되어 연결된다.
이와 같은 플러그 소켓(10)의 다이렉트 및 인다이렉트 관통구멍(20A,20B) (30A,30B)을 통하여 플러그(25)의 터미널(26A,26B)이 다이렉트 및 인다이렉트 접속구멍(22A,22B)(32A,32B)에 서로 대응되어 끼워지면서 접속된다. 이러한 플러그(25)의 터미널(26A,26B)은 플러스(+) 전류와 마이너스(-)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기ㆍ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한 플러그 소켓(10)의 다이렉트 관통구멍(20A,20B)은 2부분에 형성되고, 인다이렉트 구멍(30A,30B)은 1부분에 형성된 것을 나타냈으나, 다이렉트 및 인다이렉트 관통구멍(20A,20B)(30A,30B)의 숫자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소켓(10)은 벽이나 기둥 밖으로 노출시켜 사용하는 노출형을 나타냈으나, 플러그 소켓(10)은 벽이나 기둥 속에 매입되는 매입형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가능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설치구멍(40)에 타이머(timer: 50)가 설치된다. 타이머(50)는 노브(knob: 51)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시간이 설정되고, 타이머(50)는 임의의 설정 시간 동안에 도시하지 않은 일반적인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과 기어열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52)이 회전된다.
한편, 타이머(50)의 회전축(52)에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rotary cam: 60)(70)이 상하로 소정 간격 떨어져 각각 장착되며,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60)(70)의 외주면 한쪽에 차단 홈(61)(71)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타이머(50)는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60)(70)의 회전에 의해 제 1 및 제 2 레버(lever: 65)(75)가 축(66)(7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되고, 제 1 및 제 2 레버(65)(75)의 한쪽에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60)(70)의 차단홈(61)(71)에 선택적으로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차단돌기(67)(77)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타이머(50)의 한쪽에 제 1 및 제 2 레버(65)(75)와 인접도록 제 1 및 제 2 커넥터(connector: 80)(90)가 각각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커넥터(80)(90)의 한쪽에 제 1 및 제 2 레버(65)(75)의 회전에 의해 탄력있게 작동되도록 가동 터미널(81)(91)이 각각 장착되고, 가동 터미널(81)(91)의 인접 위치에 가동 터미널(81)(91)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고정 터미널(82)(92)이 각각 장착된다.
한편, 가동 터미널(81)(91)의 한쪽 끝은 다이렉트 터미널(30A,30B)과 와이어(85A)(95A)의 배선에 의해 연결되며, 고정 터미널(82)(92)의 한쪽 끝은 인다이렉트 터미널(31A,31B)과 와이어(85B)(95B)의 배선에 의해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소켓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소켓(10)의 다이렉트 관통구멍(20A,20B)을 통하여 플러그(25)의 터미널(26A,26B)을 끼우게 되면, 이 터미널(26A,26B)은 다이렉트 터미널(21A,21B)의 다이렉트 접속구멍(22A,22B)에 서로 대응되도록 끼워져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전기ㆍ전자 제품은 플러그 소켓(1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이때 전기ㆍ전자 제품은 전원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제품, 예를 들어 냉장고 등의 사용에 적합하다.
또한, 플러그 소켓(10)의 인다이렉트 관통구멍(30A,30B)을 통하여 플러그(25)의 터미널(26A,26B)을 끼우게 되면, 이 터미널(26A,26B)은 인다이렉트 터미널(31A,31B)의 다이렉트 접속구멍(22A,22B)에 서로 대응되도록 끼워져 접속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머(50)의 노브(51)가 최초의 설정 위치, 즉 타이머(50)가 작동되지 않은 "0"의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60)(70)의 차단홈(61)(71)에 제 1 및 제 2 레버(65)(75)의 차단돌기(67)(77)가 서로 대응되어 각각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커넥터(80)(90)의 가동 터미널(81)(91)은 고정 터미널(82)(92)과 소정 간격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들에 의해 와이어(85A,85B)(95A,95B)의 전기회로가 차단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타이머(50)의 노브(51)를 회전시켜 임의의 시간을 설정하게 되면, 회전축(52)의 회전에 의해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60)(70)이 회전되면서 차단홈(61)(71)으로부터 제 1 및 제 2 레버(65)(75)의 차단돌기(67)(77)가 이탈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머(50)의 회전축(52)은 임의의 설정 시간 동안에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때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60)(70)의 외주면에 제 1 및 제 2 레버(65)(75)의 차단돌기(67)(77)가 접촉되어 회전되므로, 제 1 및 제 2 레버(65)(75)가 축(66)(76)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된다.
이처럼 제 1 및 제 2 레버(65)(75)가 회전되면서 제 1 및 제 2 터미널(80)(90)의 가동 터미널(81)(91)을 고정 터미널(82)(92)측으로 눌러 이들을 접속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85A,85B)(95A,95B)의 전기회로가 연결되면서 전원이 흐르게 되어 전기ㆍ전자 제품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전기ㆍ전자 제품은 타이머(50)의 작동에 의해 임의의 시간 설정 동안에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이때 전기ㆍ전자 제품은 전원의 공급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제품, 예를 들어 텔레비젼, 오디오 등의 사용에 적합하다.
그리고,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타이머(50)가 임의의 설정 시간 동안에 작동되어 노브(51)가 최초의 설정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60)(70)의 차단홈(61)(71)에 제 1 및 제 2 레버(65)(75)의 차단돌기(67)(77)가 서로 대응되어 각각 끼워지게 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 터미널(81)(91)이 고정 터미널(82)(92)과 소정 간격 떨어져 와이어(85A,85B)(95A,95B)의 전기회로가 차단된다.
따라서, 전기ㆍ전자 제품은 사용하지 않을 때 플러그를 플러그 소켓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타이머(50)의 작동에 의해 전원의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제품의 사용이 편리하고 용이해지며,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방지된다.
또한, 플러그 소켓(10)은 전기회로가 타이머(50)의 작동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므로, 전기ㆍ전자 제품이 대기 상태로 작동되지 못하여 전자파의 발생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관련구동부품들의 열화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전기ㆍ전자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기ㆍ전자 제품의 대기 상태시 낙뢰의 일부가 전기ㆍ전자 제품에 유입되거나 또는 전위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뇌전피해가 방지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각종 전기ㆍ전자 제품의 전원공급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소켓에 의하면,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전원의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제품의 사용이 편리하고 용이해지며,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회로가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므로, 전자파의 발생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관련구동부품들의 열화가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전기ㆍ전자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고, 뇌전피해가 방지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1)

  1.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기ㆍ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 소켓에 있어서,
    한쪽 면에 커버(12)가 조립되고, 다른쪽 면에 한쌍의 다이렉트 관통구멍(20A,20B)과 한쌍의 인다이렉트 관통구멍(30A,30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다이렉트 관통구멍(20A,20B)과 인다이렉트 관통구멍(30A,30B) 사이에 설치구멍(40)이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상기 다이렉트 관통구멍(20A,20B)의 동일 직선상에 서로 대응되어 위치되는 다이렉트 접속구멍(22A,22B)을 가지고, 코드(15)의 와이어(16A,16B)가 배선되는 한쌍의 다이렉트 터미널(21A,21B)과;
    상기 인다이렉트 관통구멍(30A,30B)과 동일 직선상에 서로 대응되어 위치되는 인다이렉트 접속구멍(32A,32B)을 갖는 한쌍의 인다이렉트 터미널(31A,31B)과;
    상기 케이스(11)의 설치구멍(40)에 설치되며, 노브(51)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설정 시간 동안에 회전축(52)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52)에 차단 홈(61)(71)을 갖는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60)(70)이 각각 장착되는 타이머(50)와;
    상기 제 1 및 제 2 로터리 캠(60)(70)의 회전에 의해 축(66)(7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상기 차단홈(61)(71)에 선택적으로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차단돌기(67)(77)가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레버(65)(75)와;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65)(75)의 회전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각각 장착되고 상기 다이렉트 터미널(30A,30B)과 와이어(85A)(95A)에 의해 배선되는 가동 터미널(81)(91)과, 상기 가동 터미널(81)(91)의 인접 위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게 장착되며 상기 인다이렉트 터미널(31A,31B)과 와이어(85B)(95B)에 의해 배선되는 고정 터미널(82)(92)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커넥터(80)(90)를 포함하는 플러그 소켓.
KR2019960030129U 1996-09-19 1996-09-19 플러그 소켓 KR2001684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129U KR200168410Y1 (ko) 1996-09-19 1996-09-19 플러그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129U KR200168410Y1 (ko) 1996-09-19 1996-09-19 플러그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91U KR19980016791U (ko) 1998-06-25
KR200168410Y1 true KR200168410Y1 (ko) 2000-02-01

Family

ID=1946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129U KR200168410Y1 (ko) 1996-09-19 1996-09-19 플러그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4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895B1 (ko) * 2000-03-28 2004-04-13 주식회사 배산엔지니어링 안전 전기 콘센트
KR100838480B1 (ko) * 2006-11-03 2008-06-16 조동신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895B1 (ko) * 2000-03-28 2004-04-13 주식회사 배산엔지니어링 안전 전기 콘센트
KR100838480B1 (ko) * 2006-11-03 2008-06-16 조동신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91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0097A (en) Central electric unit for a motor vehicle
US6229107B1 (en) Safety electrical receptacle
KR100754250B1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754251B1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200168410Y1 (ko) 플러그 소켓
KR200198515Y1 (ko) 회전형 멀티탭
KR200387542Y1 (ko) 수평 접속 멀티콘센트
EP1887660B1 (en) Seal for electrical connector block
KR100608145B1 (ko) 절전형 콘센트와 절전형 멀티 콘센트
GB2266811A (en) Switched socket outlet.
KR200183099Y1 (ko) 전기 플러그
JPH1167372A (ja) 信号線コネクタ
KR200157487Y1 (ko) 회전가능한 에이.브이 단자
KR950007351Y1 (ko) 파워윈도우 모타의 전원공급 연결장치
KR200172389Y1 (ko) 절전 어댑터
KR200173819Y1 (ko) 커넥터의 퓨즈설치구조
KR100477530B1 (ko) 면광원이 구비된 안전형 전원 콘센트 장치
KR200248554Y1 (ko) 플러그로타리스위치
JP2002151221A (ja) テーブルタップ
KR200351397Y1 (ko) 절전형 콘센트와 절전형 멀티 콘센트
KR200230921Y1 (ko) 콘센트 안전장치
JP3043882U (ja) 電源コード
KR200239200Y1 (ko) 보호커버를 구비한 스위치 유니트
KR950001464Y1 (ko) 플러그
EP0332276B1 (en) Contact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