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480B1 -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 - Google Patents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480B1
KR100838480B1 KR1020070100294A KR20070100294A KR100838480B1 KR 100838480 B1 KR100838480 B1 KR 100838480B1 KR 1020070100294 A KR1020070100294 A KR 1020070100294A KR 20070100294 A KR20070100294 A KR 20070100294A KR 100838480 B1 KR100838480 B1 KR 100838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imer
gear
termi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0565A (ko
Inventor
조동신
조현욱
조현석
서금엽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조동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신 filed Critical 조동신
Publication of KR2008004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Measurement Of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플러그는 전기기기의 전기코드선에 연결된 것으로 전기기기로 인입되는 전원이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전원 2극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으며, 인입되는 전원을 몇 시간 후에 오프 되게 할 수 있고 인입되는 전원을 몇 시간 후에 온 되게 할 수 있도록 한 타이머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110)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110)는 하부몸체(111)와 상부몸체(121)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111)는 하단에는 한쌍의 접속단자(112a,112b)가 돌출되어 있고 양측에는 접지단자(112c)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타이머를 장착하는 장착홈(113)과, 상기 장착홈(113)의 일측인 전원코드선(114a,114b)측에 네개의 홈(115a,115b,115c,115d)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홈(115a,115b,115c,115d)에는 전원단자접속부(116a,116b,116c,116d)을 각각 삽입하여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전원단자접속부(116c,116d)에는 전원코드선(114a,114b)이 연결되고, 상기 전원단자접속부(116a,116b)에는 각각 연결단자(117)를 통해 상기 접속단자(112a,112b)와 연결하고, 접지선(114c)은 접지단자(112c)와 연결하며, 상기 전원단자접속부(116a,116b)에는 소형타이머(200)를 장착홈(113)에 장착시 타이머의 전원연결단자(222a,222b)와 접속되며, 상기 전원단자접속부(116c,116d)에는 타이머의 전원접속단자(231a, 231b)와 접속하고, 상기 상부몸체(121)는 중앙에 소형타이머(200)의 회전축(278)이 위치하도록 홀(122)과 양측 상부에 볼트구멍(123)과 이를 결합하는 고정볼트(124)와 일측에 레버홀(126)을 이룬 상부몸체(121)와, 상기 상부몸체(121)와 하부몸체(111)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몸체(121)의 홀(122)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회전축(278)에 타이머 조절노브(12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플러그, 상부몸체, 하부몸체, 타이머, 타이머 조절노브.

Description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ELECTRIC POWER PLUG OF A SMALL-SIZED TIMER}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플러그는 전기기기의 전기코드선에 연결된것으로 전기기기로 인입되는 전원이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전원 2극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으며, 인입되는 전원을 몇 시간 후에 오프 되게 할 수 있고 인입되는 전원을 몇 시간 후에 온 되게 할 수 있도록 한 타이머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원플러그는 전기기기에 전원을 연결과 단선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전원이 필요한 전기기기는 전원플러그를 전원 콘센트에 꽂아서 전원을 연결하고 나면 전원플러그를 전원 콘센트에서 제거하지 않는 한 계속 전원이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전기가 대기전력으로 전력이 낭비되기도 하며 또 과열하는 경우도 있고 또한 필요 이상으로 전기기기가 작동하여 필요 이상의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전기기기를 사용할 때 전기기기를 켜(ON)놓고 깜빡 잊고 있는 사이 전기기기가 과열되기도 하며 필요 이상의 전기 에너지를 낭비하여 전기를 사용하는 양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이 개발하여 선 출원한 출원번호 10-2006-0084188호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머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타이머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구조는 전기기기의 전원플러그에서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원 1극만 차단하고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원출원인은 전기기기의 전원플러그에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될 수 있게 하고, 또,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될수 있는 두가지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플러그 구조를 개발한 것이다.
또한, 본원출원인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원 2극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플러그를 전기제품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인입되는 두 전원을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플러그 구조에 의해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제품에 의해 과소비되는 전력이 없게 하고, 전기제품과 사용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도모하는 추세로 가기 위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낭비되는 전기 에너지를 아끼고 또한 전기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전원플러그로 부터 전기기기에 전원 2극이 동시에 차단될 수 있도록 한 타이머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플러그 내부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예약시간 만큼 전원이 공급되고 차단될 수 있도록 한 동작할 수 있도록 한 타이머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기기에 연결된 전원플러그에서 예약설정 시간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타이머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플러그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 2극이 동시에 온 상태에서 오프 될 수 있게 하고, 또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 2극이 동시에 오프 상태에서 온 될수 있는 두가지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플러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기기의 전원플러그에 설치된 타이머에 의해 전원 2극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기기에 의해 과소비되는 전력이 없게 하고, 전기제품에 적용시 사용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한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는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는 하단에는 한쌍의 접속단자가 돌출되어 있고 양측에는 접지단자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타이머를 장착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의 일측인 전원코드선 측에 네개의 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홈에는 전원단자접속부을 각각 삽입하여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전원단자접속부에는 전원코드선이 연결되고, 상기 전원단자접속부에는 각각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접속단자와 연결하고, 접지선은 접지단자와 연결하며, 상기 전원단자접속부에는 소형타이머를 타이머 장착홈에 장착시 타이머의 단자와 접속되며, 상기 전원단자접속부는 타이머의 단자와 접속하고, 상기 상부몸체는 중앙에 소형타이머의 회전축이 위치하도록 홀과 양측 상부에 볼트구멍과 이를 결합하는 고정볼트와 일측에 레버홀을 이룬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몸체의 홀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회전축에 타이머 조절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두 전원이 동시에 온 상태에서 오프 될 수 있게 하고,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두 전원이 동시에 오프 상태에서 온 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기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전원플러그로 부터 전기기기에 두 전원이 동시에 차 단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에너지를 아끼고 전기기기를 보호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플러그 내부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예약시간 만큼 전원이 공급되고 차단될 수 있어 전기기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기를 사용시 미리 설정한 예약시간 만큼만 사용할 수 있어 전기절약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기기에 연결된 전원플러그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예약설정 시간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플러그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 2극이 동시에 온 상태에서 오프 될 수 있게 하고, 또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 2극이 동시에 오프 상태에서 온 될수 있는 두가지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기기의 전원플러그에 설치된 타이머에 의해 전원 2극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기기에 의해 과소비되는 전력이 없게 하고, 전기제품에 적용시 사용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조립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조립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전원스위치부 단면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상부케이스가 분리된 평면 상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상부케이스가 분리된 타이머 동작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7a는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타이머 단자케이스가 이동한 평면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타이머 단자케이스가 이동한 타이머 동작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타이머 전원스위치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전원스위치부 단면도이며,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상부케이스가 분리된 평면 상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상부케이스가 분리된 타이머 동작 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원플러그(110)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110)는 하부몸체(111)와 상부몸체(121)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111)는 하단에는 한쌍의 접속단자(112a,112b)가 돌출되어 있고 양측에는 접지단자(112c)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타이머를 장착하는 장착홈(113)과, 상기 장착홈(113)의 일측인 전원코드선(114a,114b)측에 네개의 홈(115a,115b,115c,115d)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홈(115a,115b,115c,115d)에는 전원단자접속부(116a,116b,116c,116d)을 각각 삽입하여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전원단자접속부(116c,116d)에는 전원코드선(114a,114b)이 연결되고, 상기 전원단자접속부(116a,116b)에는 각각 연결단자(117)를 통해 상기 접속단자(112a,112b)와 연결하고, 접지선(114c)는 접지단자(112c)와 연결된다. 상기 전원단자접속부(116a,116b)에는 소형타이머(200)를 타이머 장착홈(113)에 장착시 타이머의 전원연결단자(222a,222b)와 접속되며, 전원단자접속부(116c,116d)에는 타이머의 전원접속단자(231a,231b)와 접속된다.
상기 상부몸체(121)는 중앙에 소형타이머(200)의 회전축(278)이 위치하도록 홀(122)과 양측 상부에 볼트구멍(123)과 이를 결합하는 고정볼트(124)와 일측에 레버홀(126)을 이룬 상부몸체(121)와, 상기 상부몸체(121)와 하부몸체(111)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몸체(121)의 홀(122)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회전축(278)에 타이머 조절노브(125)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전원단자접속부(116a,116b,116c,116d)는 금속으로 소형타이머(200)의 단자(222a,222b,231a,231b)가 각각 삽입되어 접속되게 상부에 U자홈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소형타이머(200)는 하부케이스(261)와 고정판(262)이 결합된 일측에 전원이 인가되는 보빈코일(263)과, 상기 고정판(262)의 일측에는 고정핀을 중심으로 모터기어(265)가 설치된 모터(264)와 그 상부에는 이단으로 된 제2기어(267)와 제4기어(269)와 제6기어(271)와 제8기어(273)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기어(265)와 맞물리게 타측에는 고정핀을 중심으로 하단에 역회전방지판이 설치된 이단으로 된 제1기어(266)와 그 상부에는 제3기어(268)와 제5기 어(270)와 제7기어(272)를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7기어(272)의 상부 고정핀에는 회전축(278)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78)에는 상하부에 판스프링이 설치된 최종기어(274)와 캠(275)이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266)와 제2기어(267)가 맞물리며 순차적으로 상기 제7기어(272)에는 상기 제8기어(273)가 서로 맞물려 감속되게 설치하며, 상기 제8기어(273)에는 상기 최종기어(274)가 맞물리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78)은 모터 상부케이스(280)의 홀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 상부케이스(280)의 일측에는 상기 캠(275)과 접촉되게 상기 모터 상부케이스(280)의 일측에는 전원스위치부(220)가 안착되는 장착홈(216)을 형성한다. 상기 캠(275)의 표면과 접촉되고 홈(212)에 위치되는 안내편(214)이 설치된 회전레버(213)를 설치한다.
상기 전원스위치부(220)는 상기 회전레버(213)와 선단부가 접촉되고 타측단이 상,하 전원연결단자(222a,222b)와 중앙에 접촉되게 중간플레이트(221a)에 형성된 상,하부 슬라이드 홈(221b)에 슬라이드 되게 이동레버(215)를 설치한다. 상기 이동레버(215)는 회전레버(213)과 맞닿게 일측으로 돌출된 선단부(215a)와 타측 중앙이 중간플레이트(221a)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게 가이드홈(215b)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전원스위치부(220)의 중간플레이트(221a) 상단에는 전원연결단자(222a)와,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의 일측 끝단에는 양측에 각각 접점(222c,222d)을 형성하고, 상기 접점(222c,222d)의 양측에는 제1접점(232a)과 제2접점(232b)이 형성 된 전원접속단자(231a)가 단자케이스(23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전원스위치부(220)의 중간플레이트(221a) 하단에는 전원연결단자(222b)와, 상기 전원연결단자(222b)의 접점(222e,222f) 양측에는 제1접점(232c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과 제2접점(232d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231b)를 단자케이스(230)의 중간판 하부에 설치하여 상,하 전원연결단자(222a,222b)와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
상기 단자케이스(230)의 일측 상부로 돌출된 조작레버(240)가 상기 타이머 상부케이스(280)의 레버홀(217)을 통해 상부몸체(121)의 레버홀(126)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조작레버(240)를 좌,우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의 접점(222c,222d)이 전원접속단자(231a)의 제1접점(232a)과 제2접점(232b)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222b)의 접점(222e,222f)이 전원접속단자(231b)의 제1접점(232c)과 제2접점(232d)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단자케이스(230)의 중간판(230a) 내측면에는 가이드 돌기(230c)가 상기 중간플레이트(221a)의 레일홈(221c)에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드 되게 설치하고, 상기 중간판(230a)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안내홈(230d)과, 상기 전원스위치부(220)의 내면에 반원형으로 판스프링(250)을 설치하여 상기 안내홈(230d)에 판스프링(250)이 가이드 되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단자케이스(230)가 설치된 좌,우의 전원스위치부(220) 내면에는 완충돌기(223)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이동레버(215)는 회전레버(213)과 맞닿게 일측으로 돌출된 선단부(215a)와 타측 중앙이 중간플레이트(221a)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게 가이드홈(215b)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의 외측에는 전원연결단자(222a)의 이동에 따라 전원이 연결되고 차단되도록 리드(225)가 설치되며, 상기 리드(225)는 보빈코일(263)의 일측과 도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원연결단자(222b)의 외측에는 리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보빈코일(263)의 타측에 전원이 직접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222b)는 온도가 80도 이상 급 상승하면 단자가 굽혀져 단자의 접점이 접속된 접점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니켈 철합금으로 된 것을 사용한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노브(125)에 의해 타이머의 회전축(278)을 이용하여 시간 설정을 하면 캠(275) 동작에 의해 회전레버(213)에 의해 이동레버(215)가 이동되며 상,하 전원연결단자(222a, 222b)의 접점(222c,222e)과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제1접점(232a,232c)을 동시에 접촉되게 한다. 그후, 설정시간이 다 되면 캠(275)의 홈(212)에 회전레버(213)의 안내편(214)이 삽입되어 전원연결단자(222a,222b)가 원위치로 복원되며 접점(222c,222e)이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제1접점(232a,232c)에서 떨어지게 설치하여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두 전원이 온 상태에서 동시에 오프 상태로 될 수 있게 설치된 것이다.
도 4,5와 도 7a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240)에 의해 단자케이스(23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타이머의 회전축(278)을 이용하여 시간 설정을 하면 캠(275) 동작에 의해 회전레버(213)에 의해 이동레버(215)가 이동되며 전원연결단자(222a,222b)의 접점(222d,222f)과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제2접점(232b,232d)이 떨어지며 설정시간이 되면 캠(275)의 홈(212)에 회전레버(213)의 안내편(214)이 삽입되어 전원연결단자(222a,222b)가 원위치로 복원되며 접점(222d,222f)이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제2접점(232b,232d)과 접촉되게 설치하여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두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될 수 있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전원스위치부(220)에 전원연결단자(222a,222b)와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두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하게 설치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회전축(278)의 상부에는 타이머 시간 설정 0-24시간용 조절노브(125)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단자케이스(230)의 조작레버(240)는 타이머 상부케이스(280)의 레버홀(217)을 통하여 별도 레버를 설치한다.
도 4,5와 도 7a,7b와 같이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단자케이스(230)의 일측 조작레버(240)를 이용하여 외측으로 당기면 단자케이스(230)의 중간판(230a)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30c)가 중간플레이트(221a)에 형성된 레일홈(221b)을 따라 슬라이드 되며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반대 타측의 전원스위치부(220)의 내면에 설치된 반원형 판스프링(250)이 중간판(230a)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내홈(230d)에서 벗어나며 단자케이스(230)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다음 안내홈(230d)에 판스프링(250)이 위치되며 단자케이스(230)은 고정이 된다. 이때 단자케이스(230)의 선단은 전원스위치부(220)의 내면에 형성된 완충돌기(223)와 밀착하게 된다. 이때 전원접속단자(231a)의 제1접점(232a)과 제2접점(232b)은 단자케이스(230)에 고정되어 있어 단자케이스(230)가 이동한 만큼 좌측으로 도 7a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도 7a과 같은 상태에서 소형타이머(200)는 회전축(278)에 부착된 타이머 시 간 설정 조절노브(125)를 회전시켜 시간설정을 하면 도 7b와 같이 이때 캠(275)이 회전되며 삼각형 홈(212)에서 회전레버(213)의 안내편(214)이 벗어나며 캠(275)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때 회전레버(213)가 이동레버(215)를 밀게되어 이동레버는 중간플레이트(221a)의 슬라이드홈(221b)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되어 전원연결단자(222a,222b)를 밀어 접점(222c,222e)는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제2접점(232b,232d)에서 떨어져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222b)의 전원이 전원접속단자(231a,231b)와 차단이 된다.
이와 동시에 전원연결단자(222a)는 좌측으로 밀리면서 중간 접점부와 리드(225)가 접촉되어 전원이 전원연결단자(222a)를 통해 리드(225)를 거쳐 도선으로 연결된 타이머의 보빈코일로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부터 타이머가 동작되며 감속기어들에 의해 최종기어를 회전시켜 캠(275)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캠(275)이 회전되며 설정된 시간이 다 되면 캠(275)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던 회동레버(213)의 안내편(214)이 캠(275)의 삼각형 홈(212) 위치로 이동하여 도 7a와 같이 된다.
이때, 전원연결단자(222a,222b)의 본원력에 의해 접점(222c,222e)이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제2접점(232b,232d)과 도통되어 두 전원이 전원연결단자(222a,222b)로 부터 전원접속단자(231a,231b)로 연결되어 전기가 흐르는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전원연결단자(222a)는 원위치로 복원되며 중간 접점부와 리드(225)가 떨어지게 되어 전원이 전원연결단자(222a)를 통해 리드(225)로 도통되지 않아 이후 타이머는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두 전원이 동시에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에 의해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220)에 설치된 단자케이스(23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이동함에 따라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될 수 있게 하고,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타이머 전원스위치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전원스위치부 단면도이며,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상부케이스가 분리된 평면 상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상부케이스가 분리된 타이머 동작 상태도이다.
상기 소형타이머(200)의 일측에는 전원스위치부(220)가 안착되는 장착홈(216)과, 상기 캠(275)의 표면과 접촉되고 홈(212)에 위치되는 안내편(214)이 상측에 설치된 회전레버(213)와, 상기 전원스위치부(220)는 상기 회전레버(213)와 선단부가 접촉되고 타측단이 전원연결단자(222a,222b)의 중앙에 접촉되게 중간플레이트(221a)에 형성된 상,하부 슬라이드홈(221b)에 슬라이드 되게 위치한 이동레버(215)와, 상기 중간플레이트(221a)의 상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222a)의 일측 끝단에는 접점(222c)과, 상기 접점(222c)의 일측에는 제1접점(232a)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231a)와, 상기 전원스위치부(220)의 중간플레이트(221a) 하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222b)의 일측 끝단에 접점(222e)과, 상기 접점(222e)의 일측에는 제1접점(232c)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231b)를 상기 중간플레이트(221a)에 설치하여 상,하 전원연결단자(221a,222b)에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의 중앙 좌측에는 전원연결단자(222a)의 이동에 따라 전원이 연결되고 차단되도록 리드(225)가 설치되며, 상기 리드(225)는 보빈코일(263)과 도선으로 연결된 것이다.
도 10a,10b와 같이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도 10a와 같은 상태에서 타이머(200)는 회전축(278)에 부착된 타이머 시간 설정 조절노브(125)를 회전시켜 시간설정을 하면 도 10b와 같이 이때 캠(275)이 회전되며 삼각형 홈(212)에서 회전레버(213)의 안내편(214)이 벗어나며 캠(275)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때 회전레버(213)가 이동레버(215)를 밀게되어 이동레버는 중간플레이트(221a)의 슬라이드홈(221b)을 따라 이동되어 전원연결단자(222a,222b)를 밀어 접점(222c,222e)는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제1접점(232a,232c)과 도통된다.
이와 동시에 전원연결단자(222a)는 좌측으로 밀리면서 중간 접점부와 리드(225)가 접촉되어 전원이 전원연결단자(222a)를 통해 리드(225)를 거쳐 도선으로 연결된 타이머의 보빈코일로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부터 타이머가 동작되며 감속기어들에 의해 최종기어를 회전시켜 캠(275)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캠(275)이 회전되며 설정된 시간이 다 되면 캠(275)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던 회동레버(213)의 안내편(214)이 캠(275)의 단이진 홈(212) 위치로 이동하여 도 10a와 같이 된다.
이때, 전원연결단자(222a,222b)의 본원력에 의해 접점(222c,222e)이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제1접점(232a,232c)과 도통 상태에서 떨어지며 전원연결단자(222a,222b)와 전원접속단자(231a,231b)는 전기가 도통되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원연결단자(222a)는 원위치로 복원되며 중간 접점부와 리드(225)가 떨어지게 되어 전원이 전원연결단자(222a)를 통해 리드(225)로 도통되지 않아 이후 타이머는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이머가 오프 정지됨에 따라 전원플러그도 오프 상태로 전기기기제품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예약시간 만큼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후, 사용자가 타이머의 조절노브를 약간 더 회전시키면 회동레버(213)의 안내편(214)이 캠(275)의 단이진 홈(212)에서 최종 내측홈에 안착되어 전원연결단자(222a,222b)의 본원력에 의해 접점(222d,222f)이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제2접점(232b,232d)과 도통되어 전원연결단자(222a,222b)와 전원접속단자(231a,231b)는 전기가 도통되어 영구 온 상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조립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전원스위치부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상부케이스가 분리된 평면 상태도.
도 6b는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상부케이스가 분리된 타이머 동작 상태도.
도 7a는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타이머 단자케이스가 이동한 평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타이머 단자케이스가 이동한 타이머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타이머 전원스위치부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전원스위치부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상부케이스가 분리된 평면 상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의 상부케이스가 분리된 타이머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전원플러그 111:하부몸체
112a,112b:접속단자 113:장착홈
114a,114b:전원코드선 114c:접지선
115a,115b,115c,115d:홈 116a,116b,116c,116d:전원단자접속부
117:연결단자 121:상부몸체
122:홀 123:볼트구멍
124:고정볼트 125:조절노브
200:소형타이머 222a,222b:전원연결단자
222c,222d:접점 222e,222f:접점
231a,231b:전원접속단자 240:조작레버
275:캠 278:회전축

Claims (7)

  1. 삭제
  2. 전원플러그(110)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110)는 하부몸체(111)와 상부몸체(121)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111)는 하단에는 한쌍의 접속단자(112a,112b)가 돌출되어 있고 양측에는 접지단자(112c)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타이머를 장착하는 장착홈(113)과, 상기 장착홈(113)의 일측인 전원코드선(114a,114b)측에 네개의 홈(115a,115b,115c,115d)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홈(115a,115b,115c,115d)에는 전원단자접속부(116a,116b,116c,116d)을 각각 삽입하여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전원단자접속부(116c,116d)에는 상기 전원코드선(114a,114b)이 연결되고, 상기 전원단자접속부(116a,116b)에는 각각 연결단자(117)를 통해 상기 접속단자(112a,112b)와 연결하고, 접지선(114c)은 상기 접지단자(112c)와 연결하며, 상기 전원단자접속부(116a,116b)에는 소형타이머(200)를 상기 타이머 장착홈(113)에 장착시 타이머의 전원연결단자(222a,222b)와 접속되며, 상기 전원단자접속부(116c,116d)에는 타이머의 전원접속단자(231a, 231b)와 접속하고, 상기 상부몸체(121)는 중앙에 상기 소형타이머(200)의 회전축(278)이 위치하도록 홀(122)과 양측 상부에 볼트구멍(123)과 이를 결합하는 고정볼트(124)와 일측에 레버홀(126)을 이룬 상부몸체(121)와, 상기 상부몸체(121)와 상기 하부몸체(111)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몸체(121)의 홀(122)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회전축(278)에 타이머 조절노브(125)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단자접속부(116a,116b,116c,116d)는 금속으로 상기 소형타이머(200)의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222b)와 상기 전원접속단자(231a,231b)가 각각 삽입되어 접속되게 상부에 U자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타이머(200)는 하부케이스(261)와 고정판(262)이 결합된 일측에 전원이 인가되는 보빈코일(263)과, 상기 고정판(262)의 일측에는 고정핀을 중심으로 모터기어(265)가 설치된 모터(264)와 그 상부에는 이단으로 된 제2기어(267)와 제4기어(269)와 제6기어(271)와 제8기어(273)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기어(265)와 맞물리게 타측에는 고정핀을 중심으로 하단에 역회전방지판이 설치된 이단으로 된 제1기어(266)와 그 상부에는 제3기어(268)와 제5기어(270)와 제7기어(272)를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7기어(272)의 상부 고정핀에는 회전축(278)이 설치되며,상기 회전축(278)에는 상하부에 판스프링이 설치된 최종기어(274)와 캠(275)이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266)와 상기 제2기어(267)가 맞물리며 순차적으로 상기 제7기어(272)에는 상기 제8기어(273)가 서로 맞물려 감속되게 설치하며, 상기 제8기어(273)에는 상기 최종기어(274)가 맞물리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278)은 모터 상부케이스(280)를 통해 상부케이스(212)의 홀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 상부케이스(280)의 일측에는 상기 캠(275)과 접촉되게 상기 모터 상부케이스(280)의 일측에는 전원스위치부(220)가 안착되는 장착홈(216)을 형성하고, 상기 캠(275)의 표면과 접촉되고 홈(212)에 위치되는 안내편(214)이 설치된 회전레버(213)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스위치부(220)는 상기 회전레버(213)와 선단부가 접촉되고 타측단이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222b)의 중앙에 접촉되게 중간플레이트(221a)에 형성된 상,하부 슬라이드 홈(221b)에 슬라이드 되게 이동레버(215)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스위치부(220)의 중간플레이트(221a) 상단에는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와,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의 이동에 따라 전원이 보빈코일로 연결되고 차단되는 리드(225)와,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의 일측 끝단에는 양측에 각각 접점(222c,222d)을 형성하고, 상기 접점(222c,222d)의 양측에는 제1접점(232a)과 제2접점(232b)이 형성된 상기 전원접속단자(231a)가 상기 단자케이스(230)에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단자케이스(230)의 일측 상부로 돌출된 조작레버(240)가 상기 타이머 상부케이스(280)의 레버홀(217)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며 좌,우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의 접점(222c,222d)이 전원접속단자(231a)의 제1접점(232a)과 제2접점(232b)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전원스위치부(220)의 중간플레이트(221a) 하단에는 전원연결단자(222b)와, 상기 전원연결단자(222b)의 접점(222e,222f) 양측에는 제1접점(232c)과 제2접점(232d)이 형성된 상기 전원접속단자(231b)를 단자케이스(230)의 중간판 하부에 설치하여 상,하 전원연결단자(222a,222b)와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두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222b)는 온도가 80도 이상 급 상승하면 단자가 굽혀져 단자의 접점이 접속된 접점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니켈 철합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노브(125)의 회전축(278)에 의해 시간 설정을 하면 상기 캠(275)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레버(213)에 의해 상기 이동레버(215)가 이동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222b)의 상기 접점(222c,222e)과 상기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제1접점(232a,232c)을 접촉시키고 설정시간이 되면 상기 캠(275)의 홈(212)에 회전레버(213)의 안내편(214)이 삽입되어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222b)가 원위치로 복원되며 접점(222c,222e)과 상기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제1접점(232a,232c)이 떨어지게 설치하여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조절노브(125)의 회전축(278)에 의해 시간 설정을 하면 상기 캠(275)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레버(213)에 의해 상기 이동레버(215)가 이동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222b)의 접점(222c, 222e)과 상기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제2접점(232b,232d)이 떨어지며 설정시간이 되면 상기 캠(275)의 홈(212)에 상기 회전레버(213)의 안내편(214)이 삽입되어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222b)가 원위치로 복원되며 접점(222d, 222f)이 상기 전원접속단자(231a,231b)의 제2접점(232b,232d)과 접촉되게 설치하여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구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타이머(200)는 하부케이스(261)와 고정판(262)이 결합된 일측에 전원이 인가되는 보빈코일(263)과, 상기 고정판(262)의 일측에는 고정핀을 중심으로 모터기어(265)가 설치된 모터(264)와 그 상부에는 이단으로 된 상기 제2기어(267)와 제4기어(269)와 제6기어(271)와 제8기어(273)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기어(265)와 맞물리게 타측에는 고정핀을 중심으로 하단에 역회전방지판이 설치된 이단으로 된 제1기어(266)와 그 상부에는 제3기어(268)와 제5기어(270)와 제7기어(272)를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7기어(272)의 상부 고정핀에는 회전축(278)이 설치되며,상기 회전축(278)에는 상하부에 판스프링이 설치된 최종기어(274)와 캠(275)이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266)와 상기 제2기어(267)가 맞물리며 순차적으로 상기 제7기어(272)에는 상기 제8기어(273)가 서로 맞물려 감속되게 설치하며, 상기 제8기어(273)에는 상기 최종기어(274)가 맞물리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278)은 모터 상부케이스(280)를 통해 상부케이스(212)의 홀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 상부케이스(280)의 일측에는 상기 캠(275)과 접촉되게 상기 모터 상부케이스(280)의 일측에는 전원스위치부(220)가 안착되는 장착홈(216)을 형성하고, 상기 캠(275)의 표면과 접촉되고 홈(212)에 위치되는 안내편(214)이 상측에 설치된 회전레버(213)와, 상기 전원스위치부(220)는 상기 회전레버(213)와 선단부가 접촉되고 타측단이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222b)의 중앙에 접촉되게 중간플레이트(221a)에 형성된 상,하부 슬라이드홈(221b)에 슬라이드 되게 위치한 이동레버(215)와,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의 이동에 따라 전원이 보빈코일로 연결되고 차단되는 리드(225)와, 상기 중간플레이트(221a)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전원연결단자(222a)의 일측 끝단에는 접점(222c)과, 상기 접점(222c)의 일측에는 제1접점(232a)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231a)와, 상기 전원스위치부(220)의 중간플레이트(221a) 하부에 설치된 상기 전원연결단자(222b)의 일측 끝단에 접점(222e)과, 상기 접점(222e)의 일측에는 제1접점(232c)이 형성된 상기 전원접속단자(231b)를 상기 중간플레이트(221a)에 설치하여 상,하 전원연결단자(222a,222b)에 두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구조.
KR1020070100294A 2006-11-03 2007-10-05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 KR100838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08465 2006-11-03
KR1020060108465 2006-11-03
KR1020070061689 2007-06-22
KR1020070061689A KR20080040550A (ko) 2006-11-03 2007-06-22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565A KR20080040565A (ko) 2008-05-08
KR100838480B1 true KR100838480B1 (ko) 2008-06-16

Family

ID=396481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689A KR20080040550A (ko) 2006-09-01 2007-06-22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
KR1020070100294A KR100838480B1 (ko) 2006-11-03 2007-10-05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689A KR20080040550A (ko) 2006-09-01 2007-06-22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800405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249B1 (ko) * 2019-01-31 2020-06-23 통일전자공업(주) 플러그용 온도센서 어셈블리
KR20240033420A (ko) 2022-09-05 2024-03-12 윤도원 디지털 타이머 콘센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410Y1 (ko) * 1996-09-19 2000-02-01 최규하 플러그 소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410Y1 (ko) * 1996-09-19 2000-02-01 최규하 플러그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550A (ko) 2008-05-08
KR20080040565A (ko)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4988B (zh) 可与断路器连接的剩余电流装置
CN103053003A (zh) 防止浪涌电流冲击及用于切断待机电力的开关
KR100838480B1 (ko)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
CN112908791B (zh) 一种智能断路器
KR101217322B1 (ko) 전원 접속기구
CN103187215B (zh) 塑壳断路器的欠压跳闸装置
US5912518A (en) Motor coil assembly
KR101729046B1 (ko) 원격 제어용 접점 장치
KR100841533B1 (ko)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KR200390554Y1 (ko) 말굽형 전기 자성체를 사용한 배선용 차단기
KR200435559Y1 (ko) 타이머를 이용한 벽 콘센트 전원 온/오프 장치
KR101175075B1 (ko) 전원절환개폐기
KR200433477Y1 (ko)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KR200435560Y1 (ko) 타이머를 이용한 멀티탭
KR101763340B1 (ko)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KR200456538Y1 (ko) 양극전원 온/오프 멀티탭
KR101759596B1 (ko)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CN115775711B (zh) 分合闸机构及断路器
CN210120049U (zh) 转换开关电器及其手柄装置
CN210443513U (zh) 一种塑壳漏电断路器
KR200326682Y1 (ko) 푸쉬버튼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CN212587415U (zh) 一种时间敏感开关
EP2479768B1 (en) Switch device for a household appliance
KR101403229B1 (ko) 고용량 스위치 콘센트
KR20080020821A (ko)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