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477Y1 -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477Y1
KR200433477Y1 KR2020060027421U KR20060027421U KR200433477Y1 KR 200433477 Y1 KR200433477 Y1 KR 200433477Y1 KR 2020060027421 U KR2020060027421 U KR 2020060027421U KR 20060027421 U KR20060027421 U KR 20060027421U KR 200433477 Y1 KR200433477 Y1 KR 200433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power
contact
connection terminal
pow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신
조현욱
조현석
서금엽
Original Assignee
조동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신 filed Critical 조동신
Priority to KR2020060027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4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4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02Details
    • H01H43/04Means for time se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1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with timing of actuation of contacts due to a part rotating at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 H01H43/101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1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with timing of actuation of contacts due to a part rotating at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 H01H43/12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with timing of actuation of contacts due to a part rotating at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stopping automatically after a single cycle of operation
    • H01H43/125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with timing of actuation of contacts due to a part rotating at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stopping automatically after a single cycle of operation using a cam

Landscapes

  • Measurement Of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전원 1극, 2극, 3극선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으며, 인입되는 전원을 몇 시간 후에 오프 되게 할 수 있고 인입되는 전원을 몇 시간 후에 온 되게 할 수 있도록한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타이머몸체(10)의 내부에 최종기어와 일측에 홈(12)이 형성된 캠(11)이 설치된 회전축(11a)이 타이머 몸체(10)의 홀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모터식타이머와 태엽식타이머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몸체(10)의 일측에는 전원스위치부(20)가 안착되는 장착홈(16)과, 상기 캠(11)의 표면과 접촉되고 홈(11a)에 위치되는 안내편(14)이 상측에 설치된 회전레버(13)와, 상기 전원스위치부(20)는 상기 회전레버(13)와 선단부가 접촉되고 타측단이 전원연결단자(22)의 중앙에 접촉되게 중간플레이트(21)에 형성된 상,하부 슬라이드홈(21b)에 슬라이드 되게 위치한 이동레버(15)와, 상기 전원연결단자(22)의 일측 끝단에는 양측에 각각 접점(22a,22b)과, 상기 접점(22a,22b)의 양측에는 제1접점(32a)과 제2접점(32b)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31)가 설치된 단자케이스(30)와, 상기 단자케이스(30)의 일측에 상부로 돌출된 조작레버(30b)가 상기 타이머몸체(10)의 레버홀(17)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 좌,우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전원연결단자(22)의 접점(22a,22b)이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과(32a) 제2접점(32b)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이머, 전원스위치부, 단자케이스, 전원연결단자, 전원접속단자, 캠.

Description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POWER ON/OFF APPARARUS FOR USING TIMER}
도 1은 본 고안의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 분리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전원스위치부가 설치된 타이머 평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전원스위치부가 설치된 타이머 동작상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전원스위치부의 단자케이스가 이동한 타이머의 평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전원스위치부의 단자케이스가 이동한 타이머의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에 상,하로 각각 단자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전원스위치부에 전원연결단자가 하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전원스위치부에 전원연결단자가 두개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전원스위치부 단면도.
도 9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원스위치부가 설치된 타이머 평면도.
도 9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원스위치부가 설치된 타이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타이머 10:타이머몸체
11:캠 11a:회전축
12:홈 13:회전레버
14:안내편 15:이동레버
16:장착홈 17:레버홀
20:전원스위치부 21a:중간플레이트
21b:슬라이드홈 21c:레일홈
22:전원연결단자 22a,22b:접점
30:단자케이스 30a:중간판
30b:조작레버 30c:가이드돌기
30d:안내홈 31:전원접속단자
32a:제1접점 32b:제2접점
40:판스프링
본 고안은 타이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전원 1극, 2극, 3극선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으며, 인입되는 전원을 몇 시간 후에 오프 되게 할 수 있고 인입되는 전원을 몇 시간 후에 온 되게 할 수 있도록한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타이머는 동기모터에 일련의 기어들을 연계시켜 감속열을 형성하고, 모터가 회전하면 기어 감속비에 따라 회전속도가 감속하면서 시간을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시간을 설정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모터식 타이머와, 태엽에 의해 기어들을 연계시켜 감속열을 형성하고 기어 감속비에 따라 회전속도가 감속하면서 시간을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시간을 설정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태엽식 타이머등이 있다.
상기 종래 타이머는 조정놉을 회전시켜 설정 시간을 맞추고 나서 그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하나의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기기의 동작을 정지하게 설치되어 있었다.
상기 타이머는 전기제품에 설치시 하나의 전원을 타이머의 스위치에 연결하여 온/오프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전기제품에 적용하는 타이머는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되면 전원이 오프되는 구조로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원출원인은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 이 온 상태에서 오프 될 수 있게 하고, 또,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될수 있는 두가지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를 개발한 것이다.
또한, 본원출원인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1극, 2극 또는 3극 전원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를 전기제품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인입되는 두 전원을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에 의해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제품에 의해 과소비되는 전력이 없게 하고, 전기제품과 사용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도모하는 추세로 가기 위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될 수 있게 하고, 또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될수 있는 두가지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에서 예약시간 설정 및 실행상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원 1극, 2극, 3극선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원 1극, 2극, 3극선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타이머를 전기제품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인입되는 전원을 타이 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에 의해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제품에 의해 과소비되는 전력이 없게 하고, 전기제품에 적용시 사용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한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최종기어와 일측에 홈이 형성된 캠이 설치된 회전축이 타이머 몸체의 홀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모터식타이머와 태엽식타이머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몸체의 일측에는 전원스위치부가 안착되는 장착홈과, 상기 캠의 표면과 접촉되고 홈에 위치되는 안내편이 상측에 설치된 회전레버와, 상기 전원스위치부는 상기 회전레버와 선단부가 접촉되고 타측단이 전원연결단자의 중앙에 접촉되게 중간플레이트에 형성된 상,하부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되게 위치한 이동레버와, 상기 전원연결단자의 일측 끝단에는 양측에 각각 접점과, 상기 접점의 양측에는 제1접점과 제2접점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가 설치된 단자케이스와, 상기 단자케이스의 일측에 상부로 돌출된 조작레버가 상기 타이머몸체의 레버홀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 좌,우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전원연결단자의 접점이 전원접속단자의 제1접점과 제2접점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스위치부의 하단에는 전원연결단자와, 전원연결단자의 접점 양측에는 제1접점과 제2접점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를 단자케이스에 대향되게 설치하여 상,하부 전원연결단자의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될 수 있게 하고,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도면중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전원스위치부가 설치된 타이머 평면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전원스위치부가 설치된 타이머 동작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3a는 본 고안의 전원스위치부의 단자케이스가 이동한 타이머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전원스위치부의 단자케이스가 이동한 타이머의 동작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에 상,하로 각각 단자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전원스위치부에 전원연결단자가 하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전원스위치부에 전원연결단자가 두개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타이머몸체(10)의 내부에 최종기어와 일측에 홈(12)이 형성된 캠(11)이 설치된 회전축(11a)이 타이머 몸체(10)의 홀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타이머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몸체(10)의 일측에는 전원스위치부(20)가 안착되는 장착홈(16)을 형성한다. 상기 캠(11)의 표면과 접촉되고 홈(12)에 위치되는 안내편(14)이 상측에 설치된 회전레버(13)를 설치한다.
상기 전원스위치부(20)는 상기 회전레버(13)와 선단부가 접촉되고 타측단이 전원연결단자(22)의 중앙에 접촉되게 중간플레이트(21)에 형성된 상,하부 슬라이드 홈(21b)에 슬라이드 되게 이동레버(15)를 설치한다. 상기 이동레버(15)는 회전레버(13)과 맞닿게 일측으로 돌출된 선단부(15a)와 타측 중앙이 중간플레이트(21)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게 가이드홈(15b)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전원연결단자(22)의 일측 끝단에는 양측에 각각 접점(22a,22b)을 형성하고, 상기 접점(22a,22b)의 양측에는 제1접점(32a)과 제2접점(32b)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31)가 단자케이스(3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단자케이스(30)의 일측 상부로 돌출된 조작레버(30b)가 상기 타이머몸체(10)의 레버홀(17)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며 좌,우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전원연결단자(22)의 접점(22a,22b)이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과(32a) 제2접점(32b)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전원스위치부(20)의 중간플레이트(21a) 하단에는 전원연결단자(22)와, 상기 전원연결단자(22)의 접점(22a22b) 양측에는 제1접점(32a)과 제2접점(32b)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31)를 단자케이스(30)의 중간판(30a) 하부에 대향되게 더 구 비하여 상,하 전원연결단자(22)의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
상기 단자케이스(30)의 중간판(30a) 내측면에는 가이드 돌기(30c)가 상기 중간플레이트(21a)의 레일홈(21c)에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드 되게 설치하고, 상기 중간판(30a)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안내홈(30d)과, 상기 전원스위치부(20)의 내면에 반원형으로 판스프링(40)을 설치하여 상기 안내홈(30d)에 판스프링(40)이 가이드 되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단자케이스(30)가 설치된 좌,우의 전원스위치부(20) 내면에는 완충 돌기(23)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이동레버(15)는 회전레버(13)과 맞닿게 일측으로 돌출된 선단부(15a)와 타측 중앙이 중간플레이트(21)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게 가이드홈(15b)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전원연결단자(22)는 온도가 급 상승하면 단자의 접점이 떨어질 수 있도록 니켈 철합금으로 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타이머의 회전축(11a)을 이용하여 시간 설정을 하면 캠(11) 동작에 의해 회전레버(13)에 의해 이동레버(15)가 이동되며 전원연결단자(22)의 접점(22a)과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32a)을 접촉시키고 설정시간이 되면 캠(11)의 홈(12)에 회전레버(13)의 안내편(14)이 삽입되어 전원연결단자(22)가 원위치로 복원되며 접점(22a)과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32a)이 떨어지게 설치하여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될 수 있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단자케이스(3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타이머의 회전축(11a)을 이용하여 시간 설정을 하면 캠(11) 동작에 의해 회전레버(13)에 의해 이동레버(15)가 이동되며 전원연결단자(22)의 접점(22b)과 전원접속단자(31)의 제2접점(32b)이 떨어지며 설정시간이 되면 캠(11)의 홈(12)에 회전레버(13)의 안내편(14)이 삽입되어 전원연결단자(22)가 원위치로 복원되며 접점(22b)이 전원접속단자(31)의 제2접점(32b)과 접촉되게 설치하여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될 수 있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전원스위치부(20)에 전원연결단자(22)와 전원접속단자(31)를 3층으로 설치하면 3극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하게 설치할 수 도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회전축(11a)의 상부에는 타이머 시간 설정 0-24시간용 조절놉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단자케이스(30)의 조작레버(30b)는 타이머몸체(10)의 레버홀(17)을 통하여 별도 레버를 설치한다.
도 2a,2b와 같이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도 2a와 같은 상태에서 타이머(100)는 회전축(11a)에 부착된 타이머 시간 설정 조절놉을 회전시켜 시간설정을 하면 도 2b와 같이 이때 캠(11)이 회전되며 삼각형 홈(12)에서 회전레버(13)의 안내편(14)이 벗어나며 캠(11)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때 회전레버(13)가 이동레버(15)를 밀게되어 이동레버는 중간플레이트(21a)의 슬라이드홈(21b)을 따라 이동되어 전원연결단자(22)를 밀어 접점(22a)는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32a)과 도통된다. 이때 부터 타이머가 동작되며 감속기어들에 의해 최종기어를 회전시켜 캠(11)을 회전시키 게 된다.
상기와 같은 캠(11)이 회전되며 설정된 시간이 다 되면 캠(1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던 회동레버(13)의 안내편(14)이 캠(11)의 삼각형 홈(12) 위치로 이동하여 도 2a와 같이 된다.
이때, 전원연결단자(22)의 본원력에 의해 접점(22a)이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32a)과 도통 상태에서 떨어지며 전원연결단자(22)와 전원접속단자(31)는 전기가 도통되지 않게 된다. 이후 타이머는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스위치부(20)의 중간플레이트(21a)의 상,하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22)중 하나에만 전원 한선을 연결하면 전원 한선만 차단하고 연결하는 상태가 되면, 상기 전원스위치부(20)의 중간플레이트(21a)의 상,하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22)에 각각 전원선을 연결하면 전원 양극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3a,3b와 같이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단자케이스(30)의 일측 조작레버(30b)를 이용하여 외측으로 당기면 단자케이스(30)의 중간판(30a)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0c)가 중간플레이트(21a)에 형성된 레일홈(21a)을 따라 슬라이드 되며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반대 타측의 전원스위치부(20)의 내면에 설치된 반원형 판스프링(40)이 중간판(30a)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내홈(30d)에서 벗어나며 단자케이스(20)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다음 안내홈(30d)에 판스프링(40)이 위치되며 단자케이스(20)은 고정이 된다. 이때 단자케이스(20)의 선단은 전원스위치부(20)의 내면에 형성된 완충 돌기(23)와 밀착하게 된다. 이때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32a)과 제2접점(32b)은 단자케이스(30)에 고정되어 있어 단자케이스(30)가 이동한 만큼 좌측으로 도 3a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도 3a과 같은 상태에서 타이머(100)는 회전축(11a)에 부착된 타이머 시간 설정 조절놉을 회전시켜 시간설정을 하면 도 3b와 같이 이때 캠(11)이 회전되며 삼각형 홈(12)에서 회전레버(13)의 안내편(14)이 벗어나며 캠(11)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때 회전레버(13)가 이동레버(15)를 밀게되어 이동레버는 중간플레이트(21a)의 슬라이드홈(21b)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되어 전원연결단자(22)를 밀어 접점(22b)는 전원접속단자(31)의 제2접점(32b)에서 떨어져 상기 전원연결단자(22)의 전원이 전원접속단자(31)와 차단이 된다. 이때 부터 타이머가 동작되며 감속기어들에 의해 최종기어를 회전시켜 캠(11)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캠(11)이 회전되며 설정된 시간이 다 되면 캠(1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던 회동레버(13)의 안내편(14)이 캠(11)의 삼각형 홈(12) 위치로 이동하여 도 3a와 같이 된다.
이때, 전원연결단자(22)의 본원력에 의해 접점(22b)이 전원접속단자(31)의 제2접점(32b)과 도통되어 전원이 전원연결단자(22)로 부터 전원접속단자(31)로 연결되어 전기가 흐르는 상태가 된다. 이후 타이머는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스위치부(20)의 중간플레이트(21a)의 상,하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22)에 각각 전원선을 연결하면 전원 양극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에 의해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20)에 설치된 단자케이스(3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이동함에 따라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될 수 있게 하고,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타이머의 전원스위치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전원스위치부 단면도이며, 도 9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원스위치부가 설치된 타이머 평면도이고, 도 9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원스위치부가 설치된 타이머 동작상태도이다.
타이머몸체(10)의 내부에 최종기어와 일측에 홈(12)이 형성된 캠(11)이 설치된 회전축(11a)이 타이머 몸체(10)의 홀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모터식타이머와 태엽식타이머(100)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몸체(10)의 일측에는 전원스위치부(20)가 안착되는 장착홈(16)과, 상기 캠(11)의 표면과 접촉되고 홈(12)에 위치되는 안내편(14)이 상측에 설치 된 회전레버(13)와, 상기 전원스위치부(20)는 상기 회전레버(13)와 선단부가 접촉되고 타측단이 전원연결단자(22)의 중앙에 접촉되게 중간플레이트(21a)에 형성된 상,하부 슬라이드홈(21b)에 슬라이드 되게 위치한 이동레버(15)와, 상기 중간플레이트(21a)의 상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22)의 일측 끝단에는 접점(22a)과, 상기 접점(22a)의 일측에는 제1접점(32a)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31)와, 상기 전원스위치부(20)의 중간플레이트(21a) 하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22)의 일측 끝단에 접점(22a)과, 상기 접점(22a)의 일측에는 제1접점(32a)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31)를 상기 중간플레이트(21a)에 대향되게 설치하여 상,하 전원연결단자(22)의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
상기 이동레버(15)는 회전레버(13)과 맞닿게 일측으로 돌출된 선단부(15a)와 타측 중앙이 중간플레이트(21)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게 가이드홈(15b)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전원연결단자(22)는 온도가 급 상승하면 단자의 접점이 떨어질 수 있도록 니켈 철합금으로 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전원스위치부(20)에 전원연결단자(22)와 전원접속단자(31)를 3층으로 설치하면 3극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하게 설치할 수 도 있다.
도 9a,9b와 같이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도 9a와 같은 상태에서 타이머(100)는 회전축(11a)에 부착된 타이머 시간 설정 조절놉을 회전시켜 시간설정을 하면 도 9b와 같이 이때 캠(11)이 회전되며 삼각형 홈(12)에서 회전레버(13)의 안내편(14)이 벗 어나며 캠(11)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때 회전레버(13)가 이동레버(15)를 밀게되어 이동레버는 중간플레이트(21a)의 슬라이드홈(21b)을 따라 이동되어 전원연결단자(22)를 밀어 접점(22a)는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32a)과 도통된다. 이때 부터 타이머가 동작되며 감속기어들에 의해 최종기어를 회전시켜 캠(11)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캠(11)이 회전되며 설정된 시간이 다 되면 캠(1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던 회동레버(13)의 안내편(14)이 캠(11)의 삼각형 홈(12) 위치로 이동하여 도 9a와 같이 된다.
이때, 전원연결단자(22)의 본원력에 의해 접점(22a)이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32a)과 도통 상태에서 떨어지며 전원연결단자(22)와 전원접속단자(31)는 전기가 도통되지 않게 된다. 이후 타이머는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스위치부(20)의 중간플레이트(21a)의 상,하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22)중 하나에만 전원 한선을 연결하면 전원 한선만 차단하고 연결하는 상태가 되면, 상기 전원스위치부(20)의 중간플레이트(21a)의 상,하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22)에 각각 전원선을 연결하면 전원 양극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는 여러 제품에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은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될 수 있게 하고, 또,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될수 있는 두가지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기제품에서 예약시간 설정 및 실행상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원 1극, 2극, 3극선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원 1극, 2극, 3극선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타이머를 전기제품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인입되는 전원을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에 의해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제품에 의해 과소비되는 전력이 없게 하고, 전기제품에 적용시 사용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타이머를 이용하여 인입되는 전원을 몇 시간 후에 오프 되게 할 수 있고, 인입되는 전원를 몇 시간 후에 온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제품에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타이머몸체(10)의 내부에 최종기어와 일측에 홈(12)이 형성된 캠(11)이 설치된 회전축(11a)이 타이머 몸체(10)의 홀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모터식타이머와 태엽식타이머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몸체(10)의 일측에는 전원스위치부(20)가 안착되는 장착홈(16)과, 상기 캠(11)의 표면과 접촉되고 홈(12)에 위치되는 안내편(14)이 상측에 설치된 회전레버(13)와, 상기 전원스위치부(20)는 상기 회전레버(13)와 선단부가 접촉되고 타측단이 전원연결단자(22)의 중앙에 접촉되게 중간플레이트(21)에 형성된 상,하부 슬라이드홈(21b)에 슬라이드 되게 위치한 이동레버(15)와, 상기 전원연결단자(22)의 일측 끝단에는 양측에 각각 접점(22a,22b)과, 상기 접점(22a,22b)의 양측에는 제1접점(32a)과 제2접점(32b)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31)가 설치된 단자케이스(30)와, 상기 단자케이스(30)의 일측에 상부로 돌출된 조작레버(30b)가 상기 타이머몸체(10)의 레버홀(17)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 좌,우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전원연결단자(22)의 접점(22a,22b)이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과(32a) 제2접점(32b)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케이스(30)의 중간판(30a) 내측면에는 가이드 돌기(30c)가 상기 중간플레이트(21a)의 레일홈(21c)에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드 되게 설치하고, 상기 중간판(30a)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안내홈(30d)과, 상기 전원스위치부(20)의 내면에 반원형으로 판스프링(40)을 설치하여 상기 안내홈(30d)에 판스프링(40)이 가이드 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버(15)는 회전레버(13)과 맞닿게 일측으로 돌출된 선단부(15a)와 타측 중앙이 중간플레이트(21)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게 가이드홈(15b)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단자(22)는 온도가 급 상승하면 단자의 접점이 떨어질 수 있도록 니켈 철합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회전축(11a)을 이용하여 시간 설정을 하면 캠(11) 동작에 의 해 회전레버(13)에 의해 이동레버(15)가 이동되며 전원연결단자(22)의 접점(22a)과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32a)을 접촉시키고 설정시간이 되면 캠(11)의 홈(12)에 회전레버(13)의 안내편(14)이 삽입되어 전원연결단자(22)가 원위치로 복원되며 접점(22a)과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32a)이 떨어지게 설치하여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회전축(11a)을 이용하여 시간 설정을 하면 캠(11) 동작에 의해 회전레버(13)에 의해 이동레버(15)가 이동되며 전원연결단자(22)의 접점(22b)과 전원접속단자(31)의 제2접점(32b)이 떨어지며 설정시간이 되면 캠(11)의 홈(12)에 회전레버(13)의 안내편(14)이 삽입되어 전원연결단자(22)가 원위치로 복원되며 접점(22b)이 전원접속단자(31)의 제2접점(32b)과 접촉되게 설치하여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7. 타이머몸체(10)의 내부에 최종기어와 일측에 홈(12)이 형성된 캠(11)이 설치된 회전축(11a)이 타이머 몸체(10)의 홀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모터식타 이머와 태엽식타이머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몸체(10)의 일측에는 전원스위치부(20)가 안착되는 장착홈(16)과, 상기 캠(11)의 표면과 접촉되고 홈(12)에 위치되는 안내편(14)이 상측에 설치된 회전레버(13)와, 상기 전원스위치부(20)는 상기 회전레버(13)와 선단부가 접촉되고 타측단이 전원연결단자(22)의 중앙에 접촉되게 중간플레이트(21a)에 형성된 상,하부 슬라이드홈(21b)에 슬라이드 되게 위치한 이동레버(15)와, 상기 중간플레이트(21a)의 상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22)의 일측 끝단에는 양측에 각각 접점(22a,22b)과, 상기 접점(22a,22b)의 양측에는 제1접점(32a)과 제2접점(32b)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31)가 설치된 단자케이스(30)와, 상기 단자케이스(30)의 일측에 상부로 돌출된 조작레버(30b)가 상기 타이머몸체(10)의 레버홀(17)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 좌,우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전원연결단자(22)의 접점(22a,22b)이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과(32a) 제2접점(32b)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전원스위치부(20)의 중간플레이트(21a) 하단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22)와, 상기 전원연결단자(22)의 접점(22a,22b) 양측에는 제1접점(32a)과 제2접점(32b)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31)를 단자케이스(30)의 중간판(30a) 하단에 대향되게 더 구비하여 상,하 전원연결단자(22)의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케이스(30)의 중간판(30a) 내측면에는 가이드 돌기(30c)가 상기 중간플레이트(21a)의 레일홈(21c)에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드 되게 설치하고, 상기 중간판(30a)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안내홈(30d)과, 상기 전원스위치부(20)의 내면에 반원형으로 판스프링(40)을 설치하여 상기 안내홈(30d)에 판스프링(40)이 가이드 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버(15)는 회전레버(13)과 맞닿게 일측으로 돌출된 선단부(15a)와 타측 중앙이 중간플레이트(21)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게 가이드홈(15b)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단자(22)는 온도가 급 상승하면 단자의 접점이 떨어질 수 있도록 니켈 철합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회전축(11a)을 이용하여 시간 설정을 하면 캠(11) 동작에 의해 회전레버(13)에 의해 이동레버(15)가 이동되며 전원연결단자(22)의 접점(22a)과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32a)을 접촉시키고 설정시간이 되면 캠(11)의 홈(12)에 회전레버(13)의 안내편(14)이 삽입되어 전원연결단자(22)가 원위치로 복원되며 접점(22a)과 전원접속단자(31)의 제1접점(32a)이 떨어지게 설치하여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회전축(11a)을 이용하여 시간 설정을 하면 캠(11) 동작에 의해 회전레버(13)에 의해 이동레버(15)가 이동되며 전원연결단자(22)의 접점(22b)과 전원접속단자(31)의 제2접점(32b)이 떨어지며 설정시간이 되면 캠(11)의 홈(12)에 회전레버(13)의 안내편(14)이 삽입되어 전원연결단자(22)가 원위치로 복원되며 접점(22b)이 전원접속단자(31)의 제2접점(32b)과 접촉되게 설치하여 상기 타이머에서 시간을 설정한 후에 설정시간이 되면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13. 타이머몸체(10)의 내부에 최종기어와 일측에 홈(12)이 형성된 캠(11)이 설치 된 회전축(11a)이 타이머 몸체(10)의 홀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모터식타이머와 태엽식타이머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몸체(10)의 일측에는 전원스위치부(20)가 안착되는 장착홈(16)과, 상기 캠(11)의 표면과 접촉되고 홈(12)에 위치되는 안내편(14)이 상측에 설치된 회전레버(13)와, 상기 전원스위치부(20)는 상기 회전레버(13)와 선단부가 접촉되고 타측단이 전원연결단자(22)의 중앙에 접촉되게 중간플레이트(21a)에 형성된 상,하부 슬라이드홈(21b)에 슬라이드 되게 위치한 이동레버(15)와, 상기 중간플레이트(21a)의 상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22)의 일측 끝단에는 접점(22a)과, 상기 접점(22a)의 일측에는 제1접점(32a)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31)와, 상기 전원스위치부(20)의 중간플레이트(21a) 하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단자(22)의 일측 끝단에 접점(22a)과, 상기 접점(22a)의 일측에는 제1접점(32a)이 형성된 전원접속단자(31)를 상기 중간플레이트(21a)에 대향되게 설치하여 상,하 전원연결단자(22)의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버(15)는 회전레버(13)과 맞닿게 일측으로 돌출된 선단부(15a)와 타측 중앙이 중간플레이트(21)에 끼워져 슬라이드 되게 가이드홈(15b)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단자(22)는 온도가 급 상승하면 단자의 접점이 떨어질 수 있도록 니켈 철합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KR2020060027421U 2006-09-30 2006-09-30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KR200433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421U KR200433477Y1 (ko) 2006-09-30 2006-09-30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421U KR200433477Y1 (ko) 2006-09-30 2006-09-30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827 Division 2006-09-30 2006-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477Y1 true KR200433477Y1 (ko) 2006-12-11

Family

ID=4178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421U KR200433477Y1 (ko) 2006-09-30 2006-09-30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4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38Y1 (ko) * 2006-12-28 2011-11-04 조현욱 양극전원 온/오프 멀티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38Y1 (ko) * 2006-12-28 2011-11-04 조현욱 양극전원 온/오프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7742A (en) Automatic timer switch
KR200433477Y1 (ko)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KR100444026B1 (ko) 캠작동식타이머의블레이드스위치
KR100841533B1 (ko)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CN103673477A (zh) 对开门冰箱的门体
CN202384238U (zh) 一种多用按钮开关
CN215527549U (zh) 一种霍尔调速开关
US4835349A (en) Automatic shut-off appliance timer
KR100838480B1 (ko)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구조
US4525608A (en) Timer mechanism with improved interval accuracy
US7649148B2 (en) Appliance timer mechanism utilizing snap action switching
KR200435559Y1 (ko) 타이머를 이용한 벽 콘센트 전원 온/오프 장치
KR200435560Y1 (ko) 타이머를 이용한 멀티탭
CN104681364A (zh) 断路器及其合闸驱动装置
CN201054432Y (zh) 新型定时插座
CN2428854Y (zh) 一种旋转开关
CN201117568Y (zh) 麻将机除湿定时器
CN204497165U (zh) 断路器及其合闸驱动装置
KR100858781B1 (ko) 타이머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CN211459868U (zh) 底座组件及具有其的烹饪装置
CN105244793A (zh) 抽屉推进联锁机构
EP2479768B1 (en) Switch device for a household appliance
CN208225759U (zh) 一种制动开关
KR200456538Y1 (ko) 양극전원 온/오프 멀티탭
JP5277461B2 (ja) スイッチ切り替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