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353Y1 -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353Y1
KR200168353Y1 KR2019990017292U KR19990017292U KR200168353Y1 KR 200168353 Y1 KR200168353 Y1 KR 200168353Y1 KR 2019990017292 U KR2019990017292 U KR 2019990017292U KR 19990017292 U KR19990017292 U KR 19990017292U KR 200168353 Y1 KR200168353 Y1 KR 200168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r
mobile phone
guide
batter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7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3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3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2)에 배터리(4)를 고정시키는 로커(40)의 구조를 개선하고, 이 로커(40)가 장착되는 휴대폰 후면의 장착부(70)를 로커(40)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이 장착부(70)에 휴대폰(2)의 하우징을 관통하는 종래의 가이드홀(16)과 삽입홀(18)을 없애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로커(40)가 장착되는 휴대폰(2)의 장착부(70)를 통해 이물질이 휴대폰(2)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폰(2)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종래 안착판(22)과 체결판(26) 사이에 형성된 연결판(24)이 배제되므로써 로커(40)와 이 로커(40)가 장착되는 휴대폰(2)의 장착부(70)의 부피를 축소할 수 있게 되어 휴대폰(2)의 전체적인 부피가 축소되므로써 휴대폰(2)을 슬림(Slim) 사이즈로 형성함에 유리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Fixing Structure Of Locker For Fixing Battery Of Mobil Tele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후면에 장착되어 배터리를 장.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로커와 휴대폰 사이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휴대폰과 로커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이 휴대폰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폰의 성능이 저하됨을 방지하도록 한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에는 배터리가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상기한 배터리는 휴대폰의 후면에 구비되고, 이 휴대폰의 후면에는 배터리를 장.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로커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휴대폰의 후면에 구비된 로커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 휴대폰과 배터리를 도시한 요부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로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2)의 후면에는 배터리(4)가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상기한 배터리(4)의 상단 중앙부에는 걸림턱(4a)이 형성되고, 이 배터리(4)의 걸림턱(4a)은 휴대폰(2)에 장착된 로커(20)에 걸림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폰(2)의 후면 중앙부에 구비된 로커(20)는 휴대폰(2)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바, 이 로커(20)의 일측에는 휴대폰(2)의 후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는 안착판(22)이 형성된다.
상기한 안착판(22)의 일측면에는 이에 수직하게 형성된 연결판(24)이 구비되고, 이 연결판(24)에는 안착판(22)과 평행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절곡된 체결판(2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체결판(26)은 그 일측이 개구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하단에는 배터리(4)의 걸림턱(4a)이 용이하게 걸림되도록 경사진 걸림부(28)가 형성되고, 이 걸림부(28)의 양끝단에는 수직하게 상방으로 절곡된 수직부(30)가 형성되며, 상기한 수직부(30)의 양끝단에는 이 수직부(30)와 직각을 이루며 절곡형성된 후크부(3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양측의 수직부(30) 사이의 체결판(26) 일측에는 수직부(30)와 같이 수직하게 돌출된 가이드핀(34)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핀(34)에는 스프링의 탄성부재(36)가 삽입되어 그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한 탄성부재(36)는 로커(20)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는 바, 이 탄성부재(36)는 연결판(24)에 의해서 안착판(22)과 체결판(26) 사이에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로커(20)에 대응한 휴대폰(2)의 후면 중앙부에는 장착부(10)가 형성되는 바, 이 장착부(10)에는 로커(20)의 안착판(22)에 대응하게 단차져 함몰된 안착홈(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안착홈(12)의 하단에는 로커(20)의 연결판(24)에 대응한 폭으로 형성된 결합홈(14)이 단차져 함몰.형성되는 바, 상기한 결합홈(14)은 그 양측단에 상기한 체결판(26)의 후크부(32)가 걸림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관통된 가이드홀(16)이 형성되고, 또 그 전면에는 체결판(26)의 가이드핀(34)이 삽입되도록 된 삽입홀(18)이 관통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삽입홀(18)과 가이드핀(34) 사이에는 탄성부재(36)가 구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로커(20)를 휴대폰(2)에 장착할 시는, 이 로커(20)의 안착판(22)과 체결판(26)을 휴대폰(2)의 후면에 형성된 장착부(10)의 안착홈(12)과 결합홈(14)에 일치시키면서 삽입시키면, 로커(20)의 체결판(26) 중앙부에 수직하게 돌출된 가이드핀(34)이 결합홈(14)의 전면에 형성된 삽입홀(18)에 탄성부재(36)를 압축시키며 삽입되게 된다.
이후, 상기한 로커(20)를 장착부(10)내로 더 진입시키면, 로커(20)의 체결판(26) 양단에 형성된 수직부(30)가 휘어지면서 결합홈(14)내로 진입되다가 소정량 진입 후에는 이 수직부(30)의 후크부(32)가 결합홈(14)의 양끝단에 형성된 가이드홀(16)에 삽입되어 걸림된다.
상기와 같이 로커(20)가 장착된 휴대폰(2)에 배터리(4)를 결합시키면, 배터리(4)의 걸림턱(4a)이 로커(20)의 체결판(26)에 형성된 걸림부(28)의 경사면을 누르면서 이 걸림부(28)를 삽입홀(18)이 형성된 결합홈(14)의 전방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이때 상기한 체결판(26)의 양단에 형성된 수직부(30)의 후크부(32)가 가이드홀(16)에 걸림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또한 상기한 로커(20)의 가이드핀(34) 역시 결합홈(14)의 삽입홀(18)에 삽입된 상태로 이 가이드핀(34)과 결합홈(14)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부재(36)를 압축시키며 삽입홀(18)내로 더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배터리(4)는 휴대폰(2)의 후면에 장착되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이 배터리(4)에 의해 휴대폰(2)의 전방으로 밀려 이동된 로커(20)는 배터리(4)의 걸림턱(4a)이 로커(20)의 걸림부(28)를 지나 휴대폰(2)에 장착되는 순간에, 로커(20)의 가이드핀(34)과 휴대폰(2)의 결합홈(14)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36)의 복원력에 의해 로커(20)는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로커(20)의 걸림부(28)가 배터리(4)의 걸림턱(4a)에 걸림되어 배터리(4)를 휴대폰(2)에 장착.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로커(20)의 안착판(22)은 이에 대응한 장착부(10)의 안착홈(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한 배터리(4)를 휴대폰(2)으로부터 분리할 시는 상기한 로커(20)의 안착판(22)을 장착부(10)의 안착홈(12) 전방으로 밀어 올린다. 그러면, 상기한 안착판(22)의 이동에 의해 체결판(26)의 후크부(32)와 가이드핀(34)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서 로커(20)의 걸림부(28)가 배터리(4)의 걸림턱(4a)으로부터 해제되게 되므로써 상기한 배터리(4)를 휴대폰(2)으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로커 장착구조는 로커(20)의 체결판(26)에 형성된 수직부(30)의 후크부(32)와 가이드핀(34)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결합홈(14)의 가이드홀(16)과 삽입홀(18)이 휴대폰(2)의 하우징에 관통형성되어 있으므로 인해 이 가이드홀(16)과 삽입홀(18)을 통해 먼지나 물 등의 이물질이 휴대폰(2)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그로 인해 휴대폰(2)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로커(20)는 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의 탄성부재(36)가 구비되는 바, 이 탄성부재(36)는 가이드핀(34)에 의해 이의 작동시 가이드됨과 아울러 연결판(24)에 의해서 안착판(22)과 체결판(26) 사이에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로커(20)는 연결판(24)에 의해서 그 부피가 연결판(24)의 높이만큼 커지게 되고, 또한 상기한 로커(20)가 휴대폰(2)의 장착부(10) 상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될 시 장착부(10)의 결합홈(14)내로 상기한 연결판(24)이 진입하게 되므로 이 연결판(24)의 높이만큼 결합홈(14)이 휴대폰(2)의 내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장착부(10)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그로 인해 휴대폰(2)의 하우징 부피가 크게 형성되어 휴대폰(2)의 전체적인 부피가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로커가 장착되는 휴대폰의 장착부를 통해 먼지나 물 등의 이물질이 휴대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폰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고, 휴대폰상에 구비되는 로커와 장착부의 부피를 줄여 휴대폰의 전체적인 부피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휴대폰에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로커가 구비된 휴대폰에 있어서, 그 일측에 형성된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일면에 체결판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판은 그 일단에 배터리의 걸림턱이 걸림되도록 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단에 안착판과 평행하도록 수직하게 돌출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에 수직하게 내향절곡되며, 안착판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의 체결판 일측에 돌출형성된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에 삽입되어 그 일단이 고정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커와; 상기 로커가 휴대폰에 장착되도록 휴대폰의 일측에 로커에 대응한 형상의 장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는 그 상단에 로커의 안착판이 구비되도록 이에 대응하게 형성된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하단에 로커의 체결판이 구비되며, 그 양측에는 체결판의 가이드부를 가이드하도록 된 가이드홈이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일측에 탄성부재의 일단이 접하여 고정되도록 돌출되어 절곡형성된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양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로커의 후크부가 용이하게 걸림되도록 그 일측에 경사진 경사면이 있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의 가이드홈에 가이드되는 로커의 가이드부에는 이 가이드부와 가이드홈 사이의 접촉면을 최소화하도록 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커의 안착판과 이에 대응한 장착부의 결합홈에는 탄성부재의 작동시 이 탄성부재가 정위치상에서 작동되도록 가이드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요홈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휴대폰과 배터리를 도시한 요부확대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로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로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로커에 대응한 휴대폰의 리어케이스를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을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선을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휴대폰 4: 배터리
4a: 걸림턱 10: 장착부
12: 안착홈 14: 결합홈
16: 가이드홀 18: 삽입홀
20: 로커 22: 안착판
24: 연결판 26: 체결판
28: 걸림부 30: 수직부
32: 후크부 34: 가이드핀
36: 탄성부재 40: 로커
42: 안착판 44: 요홈
46: 체결판 48: 걸림부
50: 가이드부 52: 돌출부
54: 후크부 56: 가이드핀
58: 탄성부재 70: 장착부
72: 안착홈 74: 결합홈
76: 가이드홈 78: 걸림부재
80: 걸림돌기 82: 경사면
84: 요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로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로커에 대응한 휴대폰의 리어케이스를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을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을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C-C선을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2)의 후면 일측에는 배터리(4)를 고정하기 위한 로커(40)가 장착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로커(40)의 일측에는 판형상의 안착판(42)이 형성되고, 이 안착판(42)의 일면에는 체결판(46)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안착판(42)의 일면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탄성부재(58)의 작동시 이를 가이드하도록 된 요홈(44)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체결판(46)은 그 하단에 배터리(4)의 걸림턱(4a)이 용이하게 걸림되도록 그 일측이 경사진 걸림부(48)가 형성되고, 이 걸림부(48)의 양끝단에는 안착판(42)과 평행한 가이드부(50)가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가이드부(50)의 일끝단에는 수직하게 내향절곡된 후크부(54)가 상기한 안착판(42)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한 양측의 가이드부(50) 사이의 체결판(46) 일측에는 돌출된 가이드핀(56)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핀(56)에는 스프링의 탄성부재(58)가 삽입되어 그 일단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한 체결판(46)과 후크부(54)가 안착판(42)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부피가 종래보다 축소됨과 아울러 탄성부재(58)가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이 상기한 요홈(44)에 의해서 확보되므로써 종래 로커(20)의 안착판(22)과 체결판(26) 사이에 공간확보를 위해 형성된 연결판(24)이 불필요하게 되어 그 만큼 로커(40)의 부피를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로커(40)는 그 자체가 소정의 탄력을 지니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로커(40)에 대응한 휴대폰(2)의 후면 일측에는 이 로커(40)에 대응한 형상의 장착부(70)가 형성된다.
상기한 장착부(70)는 그 상단에 로커(40)의 안착판(42)에 대응하게 형성된 안착홈(72)과, 이 안착홈(72)의 하단에 로커(40)의 체결판(46)이 삽입되어 구비되도록 된 결합홈(7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결합홈(74)의 양측단에는 로커(40)의 가이드부(50)를 가이드하도록 된 가이드홈(76)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76) 사이의 결합홈(74) 중앙부에는 그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로커(40)의 가이드핀(56)에 구비된 탄성부재(58)의 일단이 접하여 고정되도록 된 걸림부재(78)가 돌출형성된다.
상기한 걸림부재(78)의 양끝단에는 로커(40)의 후크부(54)가 걸림되도록 된 걸림돌기(80)가 형성되되, 이 걸림돌기(80)는 그 일측에 상기한 후크부(54)가 걸림돌기(80)를 용이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경사진 경사면(8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걸림부재(78)의 내측 중앙으로부터 결합홈(74)의 단부까지에는 상기한 로커(40)의 요홈(44)에 대응한 요홈(84)이 형성되어 로커(40)의 작동시 가이드핀(56)을 가이드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요홈(44,84)에 의해서 탄성부재(58)가 주변의 간섭을 받지 않고, 정위치상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된 공간이 확보됨과 더불어 이 탄성부재(58)의 작동시 이를 가이드하여 탄성부재(58)의 휨이나 굽힘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결합홈(74)의 가이드홈(76)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로커(40)의 가이드부(50)에는 이 가이드부(50)와 가이드홈(76) 사이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가이드부(50)의 슬라이드 이동시 가이드부(50)와 가이드홈(76) 사이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돌출부(52)가 가이드부(50)의 양면에 이 가이드부(50)의 길이에 대응하게 돌출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로커(40)는 로커(40)의 체결판(46)에 형성된 가이드핀(56)과 탄성부재(58)를 장착부(70)의 결합홈(74)에 형성된 요홈(84)에 일치시킨 후, 상기한 로커(40)의 안착판(42)과 체결판(46)을 장착부(70)의 안착홈(72)과 결합홈(74)에 삽입시키면, 체결판(46)의 후크부(54)가 결합홈(74)내로 삽입되어 결합홈(74)의 중앙부에 형성된 걸림돌기(80)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로커(40)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결합홈(74)내로 밀어 넣으면, 상기한 후크부(54)는 안착판(42)과 같이 그 자체의 탄력에 의해 걸림돌기(80)의 경사면(82)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 걸림돌기(80)의 후면부에 걸림되므로써 로커(40)의 장착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로커(40)가 장착부(70)내로 진입될 시에 상기한 가이드핀(56)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부재(58)는 로커(40)의 안착판(42)과 결합홈(74)에 각각 형성된 요홈(44,84)에 의해 결합홈(74)내로 가이드되면서 안정적으로 걸림부재(78)내에 그 일단이 접하여 고정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로커(40)가 장착된 휴대폰(2)의 후면에 배터리(4)를 결합시키면, 상기한 배터리(4)의 걸림턱(4a)이 로커(40)의 체결판(46)의 일단에 경사져 형성된 걸림부(48)를 누르면서 이 걸림부(48)를 결합홈(74)내로 밀어 진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이때 상기한 체결판(46)의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부(50)는 결합홈(74)의 가이드홈(76)에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 가이드부(50)의 일끝단에 형성된 후크부(54)는 걸림돌기(80)로부터 이격되면서 가이드부(50)와 같이 이동되며, 또한 상기한 가이드부(50) 사이의 가이드핀(56)은 걸림부재(78)와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58)를 압축시키면서 결합홈(74)내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가이드홈(76)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부(50)는 그 양면에 형성된 돌출부(52)에 의해서 가이드홈(76)과의 접촉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이동시에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한 가이드부(50)가 가이드홈(76)을 따라서 용이하게 결합홈(74)내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진입되고, 또한 상기한 가이드핀(56)은 결합홈(74)에 형성된 요홈(8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결합홈(74)내로 진입되며, 이 가이드핀(56)에 그 일단이 고정된 탄성부재(58)는 안착판(42)과 결합홈(74)에 각각 형성된 요홈(44,8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압축되므로써 이 탄성부재(58)의 압축시 휨이나 굽힘에 의한 탄성부재(58)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한 배터리(4)의 걸림턱(4a)이 체결판(46)의 걸림부(48)를 지나 휴대폰(2)에 장착되는 순간에, 로커(40)의 가이드핀(56)과 걸림부재(78) 사이에 압축된 탄성부재(58)의 탄발력에 의해 로커(4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그 일측의 걸림부(48)가 배터리(4)의 걸림턱(4a)에 걸림되어 배터리(4)를 휴대폰(2)에 장착.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로커(40)의 안착판(42)은 이에 대응한 장착부(70)의 안착홈(72)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판(46)과 같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후, 상기한 배터리(4)를 휴대폰(2)으로부터 분리할 시는 상기한 로커(40)의 안착판(42)을 장착부(70)의 안착홈(72) 전방으로 밀어 올린다. 그러면, 상기한 안착판(42)의 이동에 의해 체결판(46)의 가이드부(50)와 가이드핀(56)이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여 탄성부재(58)를 압축시키면서 이동되어 로커(40)의 걸림부(48)가 배터리(4)의 걸림턱(4a)으로부터 해제되게 되므로써 상기한 배터리(4)를 휴대폰(2)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로커의 장착구조에서는 종래의 휴대폰(2)의 하우징을 관통하는 가이드홀(16)과 삽입홀(18)이 없어지게 되므로써 이물질이 휴대폰(2)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로커(40)의 안착판(42)과 체결판(46) 사이에 종래와 같이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탄성부재(58)가 요홈(44,84)에 의해서 주변의 간섭을 받지 않고, 정위치상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된 공간이 확보됨과 더불어 이의 작동시 상기한 요홈(44,84)에 의해서 탄성부재(58)가 가이드되므로써 종래의 연결판(24)이 불필요하게 되어 연결판(24)의 높이만큼 로커(40)의 부피를 축소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휴대폰(2)의 장착부(70)의 부피를 축소할 수 있게 되어 휴대폰(2)의 전체적인 부피가 축소되므로써 휴대폰(2)을 슬림(Slim) 사이즈로 형성함에 유리한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는 로커가 장착되는 휴대폰의 장착부를 통해 이물질이 휴대폰내로 유입됨을 방지하여 휴대폰의 성능이 저하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커의 안착판과 체결판 사이에 종래와 같이 탄성부재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요홈에 의해서 탄성부재가 주변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작동되며, 상기한 탄성부재의 작동시는 이를 가이드하여 정위치상에서 안정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므로써 로커와 이 로커가 장착되는 휴대폰의 장착부의 부피를 축소할 수 있게 되어 휴대폰의 전체적인 부피가 축소되므로써 휴대폰을 슬림 사이즈로 형성함에 유리한 잇점이 있다.

Claims (3)

  1. 휴대폰(2)에 배터리(4)를 고정시키는 로커(40)가 구비된 휴대폰(2)에 있어서,
    그 일측에 형성된 안착판(42)과,
    상기 안착판(42)의 일면에 체결판(46)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판(46)은 그 일단에 배터리(4)의 걸림턱(4a)이 걸림되도록 된 걸림부(48)와,
    상기 걸림부(48)의 양단에 안착판(42)과 평행하도록 수직하게 돌출형성된 가이드부(50)와,
    상기 가이드부(50)의 일단에 수직하게 내향절곡되며, 안착판(42)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부(54)와,
    상기 가이드부(50) 사이의 체결판(46) 일측에 돌출형성된 가이드핀(56)과,
    상기 가이드핀(56)에 삽입되어 그 일단이 고정된 탄성부재(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로커(40)와;
    상기 로커(40)가 휴대폰(2)에 장착되도록 휴대폰(2)의 일측에 로커(40)에 대응한 형상의 장착부(70)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70)는 그 상단에 로커(40)의 안착판(42)이 구비되도록 이에 대응하게 형성된 안착홈(72)과,
    상기 안착홈(72)의 하단에 로커(40)의 체결판(46)이 구비되며, 그 양측에는 체결판(46)의 가이드부(50)를 가이드하도록 된 가이드홈(76)이 형성된 결합홈(74)과,
    상기 결합홈(74)의 일측에 탄성부재(58)의 일단이 접하여 고정되도록 돌출되어 절곡형성된 걸림부재(78)와,
    상기 걸림부재(78)의 양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로커(40)의 후크부(54)가 용이하게 걸림되도록 그 일측에 경사진 경사면(82)이 있는 걸림돌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70)의 가이드홈(76)에 가이드되는 로커(40)의 가이드부(50)에는 이 가이드부(50)와 가이드홈(76) 사이의 접촉면을 최소화하도록 된 돌출부(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40)의 안착판(42)과 이에 대응한 장착부(70)의 결합홈(74)에는 탄성부재(58)의 작동시 이 탄성부재(58)가 정위치상에서 작동되도록 가이드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요홈(44,84)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
KR2019990017292U 1999-08-20 1999-08-20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 KR200168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292U KR200168353Y1 (ko) 1999-08-20 1999-08-20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292U KR200168353Y1 (ko) 1999-08-20 1999-08-20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353Y1 true KR200168353Y1 (ko) 2000-02-15

Family

ID=1958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292U KR200168353Y1 (ko) 1999-08-20 1999-08-20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3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9253B2 (en) Battery cover fixing mechanism and battery cover and housing assembly
KR101025638B1 (ko) 커넥터
JP2000114740A (ja) 移動電話機用裏カバ―
US7381075B2 (en) Rigid structure with a latch mechanism for fastening a handheld device thereto
JP4048303B2 (ja) 携帯端末機のバッテリカバーロッキング装置
US20060019530A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JPH11273787A (ja) コネクタ
US5931707A (en) Connector with terminal hooking device
JP3667982B2 (ja) 小型電子機器の着脱装置
KR200168353Y1 (ko)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용 로커 장착구조
CN111834812A (zh) 连接器用托架和连接器
KR10059562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100681584B1 (ko) 카드가 배출된 후 카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카드커넥터
KR100514684B1 (ko) 평면캠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결합장치
US6692304B2 (en) Side spacer structure in connector
KR2006002596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US20040259398A1 (en) Card connector
KR19990040864U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자동분리장치
CN212784046U (zh) 用于锁止对配连接器的锁止件、连接器端盖及连接器
CN112873277B (zh) 一种快插隔板结构及机器人
CN217543670U (zh) 一种处理盒以及芯片安装装置
CN217363125U (zh) 电子组件及电子卡托盘
KR20040057327A (ko)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GB2251134A (en) Ejector-equipped c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