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418Y1 -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7418Y1 KR200167418Y1 KR2019990015965U KR19990015965U KR200167418Y1 KR 200167418 Y1 KR200167418 Y1 KR 200167418Y1 KR 2019990015965 U KR2019990015965 U KR 2019990015965U KR 19990015965 U KR19990015965 U KR 19990015965U KR 200167418 Y1 KR200167418 Y1 KR 20016741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sion
- fixed
- bracket
- strand
- gib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의 입설부재 위에 복수개의 횡설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각 횡설부재의 양측면 중간부에는 한 쌍의 새들의 본체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이 새들본체에는 하부에 삽입홈이 구비되어 강연선이 하측으로 삽입되어 걸쳐지고, 상기 횡설부재의 양측면 양단부에는 상기 강연선을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재 긴장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한 쌍 새들본체의 삽입홈에 중간부가 삽입되어 걸쳐진 강연선의 양단부가 바이트잭과 같은 인장기를 이용한 긴장재 긴장수단에 체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구조재의 보수, 보강방법 중 기존의 외부프리스트레싱 공법에서 사용하는 긴장방법을 개선한 것일 뿐아니라, 또, 긴장수단의 바이트잭에 의한 가력장치로서 구조재의 보수, 보강 중 기존의 가로보와 같은 횡설부재를 위한 외부프리스트레싱 작업시 가장 유용한 방법이며, 횡설부재에 손상을 주지 않고, 손상된 몰드물의 내하력을 복원 혹은 향상시켜 줌과 아울러, 또한, 보수, 보강작업에 의한 외부프리스트레싱량이 손실되었다고 판단될 때에는 많은 장비와 기계가 필요없이 수시로 요구되는 재긴장량을 자유자재로 간단한 방법으로 가력할 수 있으므로 구조재의 보수, 보강방법으로 매우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재 또는 강철재 교량의 교각 위에 설치되는 p.c몰드물 또는 강철빔과 같은 횡설부재의 양측면 중간부에 한 쌍의 새들을 고정하여 새들의 하부에 강연선과 같은 긴장재를 걸쳐 지지시키고, 횡설부재의 양측면 양단부에 설치한 긴장재 긴장수단에 긴장재의 양단부를 정착시켜, 긴장재 긴장수단의 바이트잭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구조재의 강성 및 내구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구조물이 종래에는 주로 RC(철근 콘크리트)로 설계 시공되어지고 현재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도 PC(프리스트레스)가 활발히 연구되고 다양하게 여러곳에서 응용되고 있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일반 건축물, 철도의 PC침목, 암반의 앵카고정물, 장대 교량, 해양 구조물, 댐, 원자력 설비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이 사용되고 있다.
PC가 RC에 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적용에 있어서 매우 유리하기 때문이이며, 이것은 제조할 때에 고강도 강재인 PC강재를 한 개 혹은 여러개의 묶음으로 해서 구조물의 양 끝단에 즉 한 쪽 끝은 쐐기식으로 고정하고 다른 쪽 끝은 인장잭을 이용하여 PC강재를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PC강재가 일반 강재에 비하여 여러 가지 재료적으로 유리하나 긴장 당시 손실(즉시손실)과 오랜 시간이 경과한 후의 손실(경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즉시 손실은 정착장치의 이동, 마찰, 콘크리트의 탄성수축에 기인되고, 경시 손실은 콘크리트의 크리프,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PC강재의 릴렉세이션 등으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관련 문헌에는 즉시 손실과 5년 후의 경시 손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수치로 표시하고 있다.
손 실 원 인 | 손실량(kg/cm2) | 손실율(%) | |
즉 시 손 실 | 정착장치 이동 | 0 | 0 |
마 찰 | 444 | 4 | |
콘크리트 탄성수축 | 0 | 0 | |
경 시 손 실 | 콘크리트 크리프 | 1124 | 10 |
건 조 수 축 | 896 | 8 | |
PC강재의 릴렉세이션 | 274 | 3 | |
계 | 25 |
즉, 긴장후 5년 정도 경과되면 위에서 언급된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약 25-30% 정도의 손실이 발생되기 때문에 PC 구조물은 다시 재긴장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PC강재를 이용한 신설 구조물은 콘크리트로 덮여있기 때문에 그 부위의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다시 긴장시킬 수 없기 때문에 PC구조물의 외부에서손실량 만큼 복원시켜 주는 것이 PC강재를 이용한 외부 프리스트레싱공법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추가 배치한 PC강재가 다시 손실되었을 때에는 수시로 재긴장을 해주어야 하는데 기존의 정착장치는 추가 배치할 당시 상황과 같이 번거로운 공정을 여러번 거치면서 또한 많은 장비를 필요로하게 되므로 시간과 경비가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콘크리트재 또는 강철재 교량의 교각 위에 설치되는 p.c몰드물 또는 강철빔과 같은 횡설부재의 양측면 중간부에 한 쌍의 새들을 고정하여 새들의 하부에 강연선과 같은 긴장재를 걸쳐 지지시키고, 횡설부재의 양측면 양단부에 설치한 긴장재 긴장수단에 긴장재의 양단부를 정착시켜, 긴장재 긴장수단의 바이트잭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구조재의 강성 및 내구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교량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정면도.
도 3은 긴장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도 4는 긴장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
도 5는 긴장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3의 A-A선, B-B선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장치의 작용을 보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설부재 20 : 횡설부재
30 : 새들 31 : 본체
32 : 삽입홈 40 : 긴장재 긴장수단
41 : 고정판 41a : 고정 브래키트
41b, 41c : 보강판 41d : 통공
42 : 안내판 42a : 안내홈
43 : 긴장 브래키트 43a : 베이스
43b : 직립판 43c : 보강판
43d : 통공 43f : 안내돌부
44 : 너트 50 : 조절수단
51 : 바이트잭 52 : 실린더
53 : 나사봉 53a : 육각부
53b, 53c : 나사부 w : 강연선
본 고안의 개요는 p.c강재(강연선)과 같은 긴장재의 연결방법 등에 있어서 기존 방법 보다 훨씬 개선되고 간편한 공법을 소개하고 구조재의 보수, 보강방법 중 기존의 외부프리스트레싱 공법에서 사용하는 긴장방법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익스터널 포스트 텐션닝방법 중 새들에서의 가력방법 및 그 장치는 구조재의 보수, 보강 중 기존의 p.c몰드물과 같은 횡설부재에 외부프리스트레싱 작업시 가장 유용한 방법이며, 위에서 언급한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 해결하고 기존 횡설부재에 손상을 주지 않고, 손상된 몰드물의 내하력을 복원 혹은 향상시켜 주는 공법이다. 또한, 보수, 보강작업에 의한 외부프리스트레싱량이 손실되었다고 판단될 때에는 많은 장비와 기계가 필요없이 수시로 요구되는 재긴장량을 자유자재로 간단한 방법으로 가력할 수 있으므로 구조재의 보수, 보강방법으로 매우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새들을 이용한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는 지층에 세워져 설치되는 콘크리트재 또는 강철재 교량과 같은 구조물의 입설부재와 같은 입설부재 위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교량 상판과 같은 구조재, 교량 상판을 지지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재 등의 콘크리트재 또는 강철재 횡설부재의 양측면 중간부에 한 쌍의 새들의 본체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이 새들본체에는 하부에 삽입홈이 구비되어 강연선이 하측으로 삽입되어 걸쳐지고, 상기 횡설부재의 양측면 양단부에는 상기 강연선을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재 긴장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한 쌍 새들본체의 삽입홈에 중간부가 삽입되어 걸쳐진 강연선의 양단부가 상기 긴장재 긴장수단에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긴장재 긴장수단은 상기 횡설부재의 양측면 양단부에 고정되고 고정 브래키트가 상면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위에 고정되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 위에 좌우로 미끄럼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강연선의 단부가 중간부에 고정되는 긴장 브래키트와, 상기 긴장 브래키트를 상기 고정 브래키트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켜 강연선의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브래키트는 고정판의 상면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강연선이 상기 고정 브래키트의 중간부 통공을 통하여 일정길이 만큼 인출됨과 아울러, 상기 긴장 브래키트는 베이스의 저면부에 한 쌍의 안내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판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직립판의 중간부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래키트의 통공을 통하여 인출된 강연선의 단부가 긴장 브래키트의 통공을 통하여 돌출되고 강연선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너트가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절수단에는 예컨데, 상기 고정판의 고정 브래키트에 대하여 상기 안내판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긴장 브래키트를 내,외측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브래키트와 긴장 브래키트 사이의 양쪽부에 강연선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바이트잭이 이용된다.
상기 바이트잭은 예를들어, 고정 브래키트와 긴장 브래키트의 대향면에 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실린더가 각각 고정되고, 육각부가 중간부에 형성된 나사봉의 양쪽에 나사부,가 상기 양쪽 실린더의 내경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와 나사봉의 나사는 양쪽 나사봉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긴장 브래키트가 상기 고정 브래키트에 대하여 멀어지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반대로 가까워지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교량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2에는 도 1의 부분 정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긴장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도 4에는 긴장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 도 5에는 긴장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도 3의 A-A선, B-B선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재 또는 강철재 교량의 교각과 같은 구조물의 입설부재(10) 위에 교량 상판을 지지시키기 위한 p.c구조재, 강철빔과 같은 복수개의 횡설부재(20)가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되어 있으며, 각 횡설부재(20)의 양측면 중간부에는 한 쌍의 새들(30)의 본체(31)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이 새들(30)의 본체(31)에는 하부에 삽입홈(32)이 구비되어 강연선(w)이 하측으로 삽입되어 걸쳐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횡설부재(20)의 양측면 양단부에는 긴장재 긴장수단(40)이 결합되고, 상기 한 쌍 새들(30)의 삽입홈(32)에 중간부가 삽입되어 걸쳐진 강연선(w)의 양단부가 상기 긴장재 긴장수단(40)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 강연선(w)의 단부를 고정하여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재 긴장수단(40)은 횡설부재(20)의 양측면 양단부에 고정되고 고정 브래키트(41a)가 상면에 고정된 고정판(41)과, 고정판(41) 위에 고정되는 안내판(42)과, 상기 안내판(42) 위에 좌우로 미끄럼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강연선(w)의 단부가 중간부에 고정되는 긴장 브래키트(43)와, 상기 긴장 브래키트(43)를 고정 브래키트(41a)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켜 강연선(w)의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는 고정판(41)의 상면 일단부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보강판(41b),(41c)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의 중간부에는 통공(41d)이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w)이 고정 브래키트(41a)의 중간부 통공(41d)을 통하여 일정길이 만큼 인출되어 있다.
상기 긴장 브래키트(43)는 베이스(43a)의 저면부에 한 쌍의 안내돌부(43a)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판(42)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42a)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베이스(43a)에는 직립판(43b)이 고정되고 복수개의 보강판(43c)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며, 상기 직립판(43b)의 중간부에는 통공(43d)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의 통공(41d)을 통하여 인출된 강연선(w)의 단부가 긴장 브래키트(43)의 통공(43d)을 통하여 돌출되고 강연선(w)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너트(44)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조절수단(50)은 상기 고정판(41)의 고정 브래키트(41a)에 대하여 안내판(42)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긴장 브래키트(43)를 내,외측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예컨데, 한 쌍의 바이트잭(51)이 이용되며, 이 바이트잭(51)은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와 긴장 브래키트(43) 사이의 양쪽부에 강연선(w)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각각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쪽 바이트잭(51)은 고정 브래키트(41a)와 긴장 브래키트(43)의 대향면에 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실린더(52)가 각각 고정되고, 육각부(53a)가 중간부에 형성된 나사봉(53)의 양쪽에 나사부(53b),(53c)가 상기 양쪽 실린더(52)의 내경부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실린더(52)와 나사봉(53)의 나사는 양쪽 나사봉(5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긴장 브래키트(43)가 고정 브래키트(41a)에 대하여 멀어지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반대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강연선(w)을 기준으로 양쪽에 배치되는 한 쌍 바이트잭(51)의 실린더(52)와 나사봉(53)은 예를들어 도 8을 기준으로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긴장 브래키트(43)가 고정 브래키트(41a)을 기준으로 멀어지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반대로 가까워지게 된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재 또는 강철재 교량의 교각과 같은 구조물의 입설부재(10) 위에 교량 상판을 지지시키기 위한 p.c구조재와 같은 복수개의 횡설부재(20)가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되어 있으며, 각 횡설부재(20)의 양측면 중간부에는 한 쌍의 새들(30)의 본체(31)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이 새들(30)의 본체(31)에는 하부에 삽입홈(32)이 구비되어 강연선(w)이 하측으로 삽입되어 걸쳐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횡설부재(20)의 양측면 양단부에는 긴장재 긴장수단(40)이 결합되고, 상기 한 쌍 새들(30)의 삽입홈(32)에 중간부가 삽입되어 걸쳐진 강연선(w)의 양단부가 상기 긴장재 긴장수단(40)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 강연선(w)의 단부를 고정하여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재 긴장수단(40)은 횡설부재(20)의 양측면 양단부에 고정되고 고정 브래키트(41a)가 상면에 고정된 고정판(41)과, 고정판(41) 위에 고정되는 안내판(42)과, 상기 안내판(42) 위에 좌우로 미끄럼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강연선(w)의 단부가 중간부에 고정되는 긴장 브래키트(43)와, 상기 긴장 브래키트(43)를 고정 브래키트(41a)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켜 강연선(w)의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는 고정판(41)의 상면 일단부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보강판(41b),(41c)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의 중간부에는 통공(41d)이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w)이 고정 브래키트(41a)의 중간부 통공(41d)을 통하여 일정길이 만큼 인출되어 있다.
상기 긴장 브래키트(43)는 베이스(43a)의 저면부에 한 쌍의 안내돌부(43a)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판(42)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42a)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베이스(43a)에는 직립판(43b)이 고정되고 복수개의 보강판(43c)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며, 상기 직립판(43b)의 중간부에는 통공(43d)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의 통공(41d)을 통하여 인출된 강연선(w)의 단부가 긴장 브래키트(43)의 통공(43d)을 통하여 돌출되고 강연선(w)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너트(44)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조절수단(50)은 상기 고정판(41)의 고정 브래키트(41a)에 대하여 안내판(42)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긴장 브래키트(43)를 내,외측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예컨데, 한 쌍의 바이트잭(51)이 이용되며, 이 바이트잭(51)은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와 긴장 브래키트(43) 사이의 양쪽부에 강연선(w)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각각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쪽 바이트잭(51)은 고정 브래키트(41a)와 긴장 브래키트(43)의 대향면에 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실린더(52)가 각각 고정되고, 육각부(53a)가 중간부에 형성된 나사봉(53)의 양쪽에 나사부(53b),(53c)가 상기 양쪽 실린더(52)의 내경부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실린더(52)와 나사봉(53)의 나사는 양쪽 나사봉(5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긴장 브래키트(43)가 고정 브래키트(41a)에 대하여 멀어지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반대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강연선(w)을 기준으로 양쪽에 배치되는 한 쌍 바이트잭(51)의 실린더(52)와 나사봉(53)은 예를들어 도 8을 기준으로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긴장 브래키트(43)가 고정 브래키트(41a)을 기준으로 멀어지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반대로 가까워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설부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횡설부재(20)의 양측면 중간부에 새들(30) 한 쌍씩을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볼트로 고정하며, 횡설부재(20)의 양측면 양단부에는 긴장재 긴장수단(40)을 볼트(41f)로 체결한 후, 상기 한 쌍 새들(30)의 본체(31)에 형성된 하부 삽입홈(32)에 강연선(w)을 삽입하여 도 1과 같이 걸치고, 강연선(w)의 양단부를 상기 횡설부재(20)의 양측면 양단부에 결합된 긴장재 긴장수단(40)에 삽입하고 양단부에 너트(44)를 체결하여 팽팽하게 연결한다.
이와 같이 설치한 후, 교량의 상판이 휨변형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보수, 보강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8과 같이, 상기 각 횡설부재(20)의 양측면 양단부에 설치된 긴장재 긴장수단(40)의 양쪽 나사봉(53)의 육각부(53a)를 유압렌치등으로 잡고 나사봉(5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긴장 브래키트(43)가 고정 브래키트(41a)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강연선(w)이 양쪽으로 인장되고, 이에 따라 횡설부재(20)에 스트레스가 가하여져 휨이 보정되고, 보강된다.
그리고, 교량을 장기간 사용한 후, 상기 교량의 상판, 횡설부재(20)에 다시 휨변형 등이 발생하고, 각 횡설부재(20)에 연결된 강연선(w)이 인장되면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재긴장이 필요한 량 만큼 횡설부재(20)의 상면에 표시된 눈금 표시판을 보면서 상기 긴장재 긴장수단(40)의 나사봉(53)을 다시 회전시켜 긴장 브래키트(43)를 더 벌림으로써 강연선(w)을 재인장시켜 휨을 간단히 보정하고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새들을 이용한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는 익스터널 포스트 텐션닝(external post tensioning)에 의한 보강효과를 이용한 강연선의 연결방법 등에 있어서 기존 방법 보다 훨씬 개선되고 간편한 공법이며, 구조재의 보수, 보강방법 중 기존의 외부프리스트레싱 공법에서 사용하는 긴장방법을 개선한 것일 뿐아니라, 또, 긴장수단의 바이트잭에 의한 가력장치로서 구조재의 보수, 보강 중 기존의 가로보와 같은 횡설부재를 위한 외부프리스트레싱 작업시 가장 유용한 방법이며, 횡설부재에 손상을 주지 않고, 손상된 몰드물의 내하력을 복원 혹은 향상시켜 줌과 아울러, 또한, 보수, 보강작업에 의한 외부프리스트레싱량이 손실되었다고 판단될 때에는 많은 장비와 기계가 필요없이 수시로 요구되는 재긴장량을 자유자재로 간단한 방법으로 가력할 수 있으므로 구조재의 보수, 보강방법으로 매우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Claims (5)
- 구조물의 입설부재(10) 위에 복수개의 횡설부재(20)가 배치되고, 상기 각 횡설부재(20)의 양측면 중간부에는 한 쌍의 새들(30)의 본체(31)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이 새들본체(31)에는 하부에 삽입홈(32)이 구비되어 강연선(w)이 하측으로 삽입되어 걸쳐지고, 상기 횡설부재(20)의 양측면 양단부에는 상기 강연선(w)을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재 긴장수단(40)이 결합되며, 상기 한 쌍 새들본체(31)의 삽입홈(32)에 중간부가 삽입되어 걸쳐진 강연선(w)의 양단부가 상기 긴장재 긴장수단(40)에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긴장수단(40)은 상기 횡설부재(20)의 양측면 양단부에 고정되고 고정 브래키트(41a)가 상면에 고정된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 위에 고정되는 안내판(42)과, 상기 안내판(42) 위에 좌우로 미끄럼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강연선(w)의 단부가 중간부에 고정되는 긴장 브래키트(43)와, 상기 긴장 브래키트(43)를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켜 강연선(w)의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는 고정판(41)의 상면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강연선(w)이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의 중간부 통공(41d)을 통하여 일정길이 만큼 인출됨과 아울러, 상기 긴장 브래키트(43)는 베이스(43a)의 저면부에 한 쌍의 안내돌부(43a)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판(42)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42a)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43a)에 고정된 직립판(43b)의 중간부에는 통공(43d)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의 통공(41d)을 통하여 인출된 강연선(w)의 단부가 긴장 브래키트(43)의 통공(43d)을 통하여 돌출되고 강연선(w)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너트(44)가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50)은 상기 고정판(41)의 고정 브래키트(41a)에 대하여 상기 안내판(42)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긴장 브래키트(43)를 내,외측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와 긴장 브래키트(43) 사이의 양쪽부에 강연선(w)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바이트잭(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잭(51)은 고정 브래키트(41a)와 긴장 브래키트(43)의 대향면에 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실린더(52)가 각각 고정되고, 육각부(53a)가 중간부에 형성된 나사봉(53)의 양쪽에 나사부(53b),(53c)가 상기 양쪽 실린더(52)의 내경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상기 실린더(52)와 나사봉(53)의 나사는 양쪽 나사봉(5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긴장 브래키트(43)가 상기 고정 브래키트(41a)에 대하여 멀어지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반대로 가까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5965U KR200167418Y1 (ko) | 1999-08-05 | 1999-08-05 |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5965U KR200167418Y1 (ko) | 1999-08-05 | 1999-08-05 |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67418Y1 true KR200167418Y1 (ko) | 2000-02-15 |
Family
ID=1958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5965U KR200167418Y1 (ko) | 1999-08-05 | 1999-08-05 |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7418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9991Y1 (ko) * | 2002-09-12 | 2003-01-06 | 신효섭 | 교량빔의 외부긴장보강장치 |
KR100455484B1 (ko) * | 2002-09-03 | 2004-11-06 | 조은진 | 거더교량의 상부구조 보강장치 |
KR100582563B1 (ko) | 2004-08-24 | 2006-05-23 |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 가설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 |
KR100629905B1 (ko) | 2004-08-24 | 2006-09-29 |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 기존 교량의 보강 시공방법 및 이 보강 시공방법으로제작된 교량 |
-
1999
- 1999-08-05 KR KR2019990015965U patent/KR20016741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5484B1 (ko) * | 2002-09-03 | 2004-11-06 | 조은진 | 거더교량의 상부구조 보강장치 |
KR200299991Y1 (ko) * | 2002-09-12 | 2003-01-06 | 신효섭 | 교량빔의 외부긴장보강장치 |
KR100582563B1 (ko) | 2004-08-24 | 2006-05-23 |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 가설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 |
KR100629905B1 (ko) | 2004-08-24 | 2006-09-29 |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 기존 교량의 보강 시공방법 및 이 보강 시공방법으로제작된 교량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3914B1 (ko) | 트러스교 또는 아치교의 보강구조 | |
KR100862248B1 (ko) | 앵커장치 및 이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 | |
US5762300A (en) | Tendon-receiving duct support apparatus | |
KR20100053847A (ko) |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긴장방법 | |
KR100949585B1 (ko) | 프리 스트레스 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 |
KR101482388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 |
KR20110095620A (ko) | 긴장 및 재긴장이 가능한 긴장장치 | |
KR200167418Y1 (ko) | 구조재 긴장 보강장치 | |
KR101203815B1 (ko) | 프리스트레싱 강판을 이용한 거더 보강방법 | |
KR0173153B1 (ko) | 교량 빔 보강공법 및 그 장치 | |
KR101501154B1 (ko) | 기어식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그 방법 | |
KR100261556B1 (ko) |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 |
KR100400980B1 (ko) | 강선을 이용한 교각 보강공법 및 그 장치 | |
KR101998247B1 (ko) | 빔 보강공법 및 빔 보강장치 | |
JP3108619B2 (ja) | コンクリート桁の外ケーブル定着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への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 |
KR20100057446A (ko) | 수직 구조체 전도 방지 장치 | |
KR200302128Y1 (ko) |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 |
KR102391522B1 (ko) | 이중쐐기 정착구와 편심조절 새들을 구비한 외부강선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강선 보강 방법 | |
KR200169802Y1 (ko) | 새들을이용한콘크리트구조물보강장치 | |
KR20170091553A (ko) |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축력 도입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교량 시공방법 | |
KR20010068055A (ko) | 정착구 설치용 슬리브가 구비된 psc 거더 및 그 거더의보강방법 | |
KR100616533B1 (ko) |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 | |
KR20000004021U (ko) |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 |
KR200240385Y1 (ko) | 정착구 설치용 슬리브가 구비된 psc 거더 | |
JP2722322B2 (ja) | 橋梁用プレキャスト床版の連結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