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748Y1 - 낚시바늘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낚시바늘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748Y1
KR200166748Y1 KR2019990013133U KR19990013133U KR200166748Y1 KR 200166748 Y1 KR200166748 Y1 KR 200166748Y1 KR 2019990013133 U KR2019990013133 U KR 2019990013133U KR 19990013133 U KR19990013133 U KR 19990013133U KR 200166748 Y1 KR200166748 Y1 KR 200166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hook
fishing needle
fish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백림
Original Assignee
이백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백림 filed Critical 이백림
Priority to KR2019990013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7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8Accessories for angling for removing fish-hooks from th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바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낚시나 주낚으로 물고기를 잡을 때 물고기의 목구멍에 걸려 있는 낚시바늘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뽑아져 제거되고, 낚시바늘 제거시 물고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낚시바늘 제거장치는, 소정길이를 갖는 손잡이부(101); 손잡이부(10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바형상을 갖는 몸체부(102); 몸체부(102)의 단부에 형성되어 물고기에 박혀 있는 낚시바늘(115)을 걸수 있는 걸림고리(110); 및 몸체부(102)를 둘러싸서 몸체부(10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덮개(104)를 포함하여, 걸림고리(110)에 낚시바늘(115)이 걸린상태에서 덮개가 걸림고리(11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이동덮개(104)의 단부가 걸림고리(110)에 걸린 낚시바늘(115)을 밀어서 낚시바늘(115)을 상기 물고기로부터 탈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바늘 제거장치{appratus for removing fishing needle}
본 고안은 낚시바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나 그물로 물고기를 잡을 때 물고기의 목구멍에 걸려 있는 낚시바늘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뽑아서 제거할 수 있고, 낚시바늘 제거시 물고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낚시바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대를 사용하여 물고기를 잡을 때는, 물고기의 목구멍에 걸려 있는 낚시바늘을 제거하기 위해, 낚시꾼은 손으로 낚시바늘을 잡아서 빼내게 된다. 낚시꾼이 손으로 낚시바늘을 빼낼 때, 물고기가 잘 빠질 수 없도록 만든 낚시미늘 및 낚시품 때문에, 한번에 잘 뽑아지지 않으며, 낚시바늘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낚시바늘을 뽑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물고기가 상처를 입게 되어 물고기가 빨리 죽고 특히 낚시바늘을 잘 뽑혀지지 않는 상태에서 낚시바늘을 뽑기 위해 여러번 반복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낚시바늘을 제거도구들이 많이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바늘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낚시바늘 제거장치는, 소정길이를 갖는 바형상을 갖는 손잡이(1)와, 손잡이(1)의 단부에 설치되어 물고기의 목구멍에 걸려 있는 낚시바늘(15)을 걸수 있는 걸림부(2)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1)의 단부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걸림턱(3)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턱(3)의 중앙부분에는 바늘제거부(10)가 형성된다.
바늘제거부(10)는 걸림턱(3)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연장되는 돌출대(11)와, 돌출대(11) 상에 형성되는 갈고리형 탄성편(12), 갈고리형 탄성편(12)과 함께 걸림고리를 형성하는 보조갈고리(13)로 구성된다. 보조갈고리(13)의 상단부는 갈고리형 탄성편(12) 측으로 내향절곡되어 내향절곡부를 형성하고 있어, 낚시바늘(15)이 걸림고리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낚시바늘 제거도구를 사용하여, 포획된 물고기의 목구멍에 걸려 있는 낚시바늘(15)을 뽑을려고 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꾼은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바늘제거부(10)를 물고기의 입속으로 집어넣게 된다. 그리고, 물고기의 목 속에 박혀 있는 낚시바늘(15)이 바늘제거부(10)의 걸림고리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낚시바늘(15)은 물고기의 목구멍에 박혀 있는 상태에서 바늘제거부(10)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낚시꾼은 손잡이(1)를 당기게 됨으로써, 낚시바늘(15)이 물고기의 목구멍으로부터 뽑혀져 제거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낚시바늘 제거도구를 사용하여, 낚시바늘(15)을 제거할 때, 물고기의 목구멍에 박혀 있는 낚시바늘(15)의 갈고리가 강제적으로 뽑아지게 됨으로써, 낚시바늘(15)에 의해 물고기의 목구멍 부분이 손상을 입게 됨으로써, 포획된 물고기가 빨리 죽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물고기의 목구멍에 비교적 깊숙히 박혀 있는 낚시바늘(15)을 제거할 때에는, 낚시바늘(15)의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낚시바늘(15)을 강제적으로 당기게 됨으로써, 낚시바늘(15)을 제거하기가 힘들고, 낚시바늘 제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낚시나 그물로 물고기를 잡을 때 물고기의 목구멍에 걸려 있는 낚시바늘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뽑아서 제거할 수 있고, 낚시바늘 제거시 물고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낚시바늘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 종래의 낚시바늘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 - 도 1의 단면도.
도 3 - 도 1의 제거장치를 사용하여 물고기에 걸려있는 낚시바늘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낚시바늘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 - 도 4의 조립도.
도 6 - 도 4의 이동덮개의 측면도.
도 7 - 도 4의 걸림고리 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8 - 도 7의 반대부분에서 본 사시도.
도 9 - 도 4의 정면도.
도 10 - 도 4의 제거장치를 사용하여 물고기에 걸려있는 낚시바늘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손잡이부 102 : 몸체부
104 : 이동덮개 105 : 유도홈
106 : 가이드돌기 107 : 손잡이돌기
110 : 걸림고리 111 : 주고리
112 : 부고리 115 : 낚시바늘
116 : 낚시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낚시바늘 제거장치는, 소정길이를 갖는 손잡이부; 손잡이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바형상을 갖는 몸체부;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물고기에 박혀 있는 낚시바늘을 걸수 있는 걸림고리; 및 몸체부를 둘러싸여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덮개를 포함하여, 걸림고리에 낚시바늘이 걸린상태에서 이동덮개가 걸림고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이동덮개의 단부가 걸림고리에 걸린 낚시바늘을 밀어서 낚시바늘을 물고기로부터 탈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몸체부 상에는 유도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동덮개의 내측벽 상에 내향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돌기가 유도홈에 삽입됨으로써, 이동덮개는 가이드돌기에 의해 가이드되어 유도홈의 길이만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덮개 상에는 손잡이 돌기가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돌기를 손가락으로 밀어올려 이동덮개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걸림고리는 주고리와 주고리와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부고리로 형성되어, 낚시줄이 걸림고리내부에 진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걸림고리 상단부와 이동덮개 상단부가 아가미속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선형 모양으로 납작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낚시나 그물로 물고기를 잡을 때 물고기의 목구멍에 걸려 있는 낚시바늘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뽑아져 제거되고, 낚시바늘 제거시 물고기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바늘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도이다. 이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바늘 제거장치는, 소정길이 갖는 손잡이부(101), 손잡이부(10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바형상을 갖는 몸체부(102), 몸체부(102)의 단부에 형성되어 물고기에 박혀 있는 낚시바늘(115)을 걸수 있는 걸림고리(110), 및 몸체부(102)를 둘러싸서 몸체부(10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덮개(104)로 구성되어, 걸림고리(110)에 낚시바늘(115)이 걸린상태에서 이동덮개(104)가 걸림고리(11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이동덮개(104)의 단부가 걸림고리(110)에 걸린 낚시바늘(115)을 밀어서 낚시바늘(115)을 물고기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몸체부(102) 상에는 유도홈(10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덮개(104)의 내측벽 상에 내향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돌기(106)가 유도홈(105)에 삽입됨으로써, 이동덮개(104)는 가이드돌기(106)에 의해 가이드되어 유도홈(105)의 길이만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몸체부(102)와 이동덮개(104)의 분리를 방지한다. 그리고, 이동덮개(104) 상에는 손잡이돌기(107)가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돌기(107)를 손가락으로 밀어올려 이동덮개(104)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걸림고리(110)는,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고리(111)와 주고리(111)와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부고리(112)로 형성되어, 낚시바늘(115)이 걸림고리(110)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손잡이부(101), 몸체부(102) 및 이동덮개(104) 등은 비교적 납작하게 만들어져, 물고기의 아가미 속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림고리(110) 상단부와 이동덮개(104) 상단부가 아가미속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선형 모양으로 납작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낚시바늘 제거장치의 작동과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물고기가 낚시에 걸릴 때, 낚시바늘(115)은 물고기의 목구멍 속에 깊숙하게 박히게 된다. 통상적으로, 물고기의 입과 아가미는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낚시바늘 제거장치를 사용하여 낚시바늘(115)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아가미 속으로 낚시바늘 제거장치를 집어넣게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바늘 제거장치의 걸림고리(110) 부분을 아가미 속으로 집어 넣고, 걸림고리(110)에 낚시줄(116)이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부(101)를 잡고 낚시바늘 제거장치 전체를 아가미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낚시줄(116)이 당겨지면서 물고기의 목구멍에 박혀 있는 낚시바늘(115)의 방향이 전환되어, 낚시바늘(115)이 삽입반대방향으로 약간 이격된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돌기(107)를 엄지손가락으로 밀어올리게 되면, 이동덮개(104)는 몸체부(102)의 외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상향이동하게 되고, 이동덮개(104)의 단부가 낚시바늘(115)에 걸리게 되고, 사용자가 이동덮개(104)를 밀어올리게 되면, 낚시바늘(115)은 삽입반대방향으로 이격되면서 낚시바늘(115)은 간단하게 물고기의 목구멍으로부터 뽑혀지게 된다.
낚시바늘(115)이 이격되는 방향은, 낚시바늘(115)이 물고기의 목구멍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이기 때문에, 낚시바늘(115) 제거시, 물고기는 큰 손상을 입지 않게 된다.
낚시바늘(115)이 물고기로부터 제거되면, 낚시바늘(115)은 이동덮개(104)의 단부에 걸려 있는 상태로 된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돌기(107)를 엄지손가락으로 당시 당겨서 이동덮개(104)가 원래의 위치로 오도록 함으로써, 낚시바늘(115)은 걸림고리(110)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걸림고리(110)에 걸려 있는 낚시바늘(115)을 걸림고리(110)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함으로서, 낚시바늘(115)을 낚시바늘 제거장치로부터 완전 이탈시키게 된다.
그리고, 물고기의 아가미 속으로 밀어 넣었던 낚시바늘 제거장치를 당겨서 아가미로부터 빼내게 되면, 낚시바늘 제거작업이 완전 종료된다.
상기한, 낚시바늘 제거작업은 사용자가 낚시바늘 제거장치를 물고기의 아가미 속으로 넣은 다음, 이동덮개(104)를 손가락으로 밀어서 움직이는 아주 간단한 작업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낚시바늘(115)이 아주 간단하고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낚시나 주낚으로 물고기를 잡을 때 물고기의 목구멍에 걸려 있는 낚시바늘(115)이 신속하게 용이하게 뽑아져 제거되고, 낚시바늘(115) 제거시 물고기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예에서는, 이동덮개(104)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덮개(104) 상에 손잡이돌기(107)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에 따른 낚시바늘 제거장치는 이에 한하지 아니하고, 손잡이 부분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바늘 제거장치에 의하면, 낚시나 주낚으로 물고기를 잡을 때 물고기의 목구멍에 걸려 있는 낚시바늘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뽑아져 제거되고, 낚시바늘 제거시 물고기가 손상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낚시바늘 제거장치에 있어서,
    소정길이를 갖는 손잡이부(101);
    상기 손잡이부(10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바형상을 갖는 몸체부(102);
    상기 몸체부(102)의 단부에 형성되어 물고기에 박혀 있는 낚시바늘(115)을 걸 수 있는 걸림고리(110); 및
    상기 몸체부(102)를 둘러싸서 상기 몸체부(10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덮개(104)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고리(110)에 상기 낚시바늘(115)이 걸린상태에서 상기 이동덮개(104)가 상기 걸림고리(11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이동덮개(104)의 단부가 상기 걸림고리(110)에 걸린 상기 낚시바늘(115)을 밀어서 상기 낚시바늘(115)을 상기 물고기로부터 탈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2) 상에는 유도홈(10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덮개(104)의 내측벽 상에 내향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돌기(106)의 상기 유도홈(10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부(102)와 상기이동덮개(104)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이동덮개(104)는 상기 가이드돌기(106)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유도홈(105)의 길이만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제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덮개(104) 상에는 손잡이돌기(107)가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돌기(107)를 손가락으로 밀어올려 상기 이동덮개(104)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낚시바늘 제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110)는 주고리(111)와 상기 주고리(111)와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부고리(11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제거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110) 상단부와 상기 이동덮개(104) 상단부가 아가미속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선형 모양으로 납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제거장치.
KR2019990013133U 1999-07-06 1999-07-06 낚시바늘제거장치 KR200166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133U KR200166748Y1 (ko) 1999-07-06 1999-07-06 낚시바늘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133U KR200166748Y1 (ko) 1999-07-06 1999-07-06 낚시바늘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748Y1 true KR200166748Y1 (ko) 2000-02-15

Family

ID=1957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133U KR200166748Y1 (ko) 1999-07-06 1999-07-06 낚시바늘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7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7830B2 (ja) ナイフ保持具
US6397512B1 (en) Fishhook-extracting device
US2294758A (en) Fishhook extractor
US2797523A (en) Fishhook extractor
US3001320A (en) Fish hook extractor
US3835574A (en) Fishhook extractor
KR200166748Y1 (ko) 낚시바늘제거장치
US6272788B1 (en) Fish hook removing device
US3888038A (en) Fishing hook remover
US2862327A (en) Fish hook remover
USRE24902E (en) Dillard
JP3171622U (ja) 釣り針外し具
KR20190101271A (ko) 베이트 홀더 및 홀더 유닛
US3388496A (en) Fish lure
JP2502694Y2 (ja) 釣り針外し具
JP2011205996A (ja) 玉網の柄
JPH0713504Y2 (ja) 釣り針抜き具
CN219939425U (zh) 钓鱼用鱼钩取钩器
JP3074480U (ja) 釣針外し具
US2777244A (en) Fishhook extractor
JP3110748U (ja) 釣針外し具
JP2531619Y2 (ja) 釣餌取付け具
KR910002366Y1 (ko) 낚시바늘 인출기
JP2001161246A (ja) 釣針の外し具
JP3028926U (ja) 釣針外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