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683Y1 -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683Y1
KR200165683Y1 KR2019960060009U KR19960060009U KR200165683Y1 KR 200165683 Y1 KR200165683 Y1 KR 200165683Y1 KR 2019960060009 U KR2019960060009 U KR 2019960060009U KR 19960060009 U KR19960060009 U KR 19960060009U KR 200165683 Y1 KR200165683 Y1 KR 200165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at belt
locking
shaft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854U (ko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0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683Y1/ko
Publication of KR19980046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6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벨트의 풀림 및 감김시 함께 회전가능하게 하여 벨트의 장력을 직접 받을 수 있게 하고, 장력이 작용하면 탄성 유동되면서 치형 물림수단을 이용하여 벨트를 잠궈줄 수 있게 함으로써, 벨트의 잠금작동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하여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하고, 미세한 충격에도 즉각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하여 더욱 넓은 작동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벨트의 장력을 직접 받아 탄성 유동되는 치형 물림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잠금작동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하게 하고, 미세한 충격에도 즉각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충돌시에는 시트 벨트가 잠겨지면서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시트 벨트의 잠금장치는 첨부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축(10)과 일체로 회전하는 발톱(11) 및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공전되는 동시에 핀(12)에 의해 연동되는 휠(13)과, 상기 발톱(11)이 걸려지는 래칫(14) 및 이것을 고정시켜 주는 브라켓(1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격 검지수단(16)에 의해 휠(13)이 마찰 간섭을 받으면 이것과 연동되는 발톱(11)이 당겨지면서 래칫(14)에 맞물리게 되므로서, 시트 벨트가 잠겨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잠금장치는 충격을 검지하는 순간부터 벨트가 잠겨지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잠금장치가 갖는 응답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잠금장치가 효과적으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진동 검지수단의 볼 움직임을 통해 충격을 검지하기 때문에 미세한 충격은 검지할 수 없는 취약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벨트의 풀림 및 감김시 함께 회전가능하게 하여 벨트의 장력을 직접 받을 수 있게 하고, 장력이 작용하면 탄성 유동되면서 치형 물림수단을 이용하여 벨트를 잠궈줄 수 있게 함으로써, 벨트의 잠금작동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하여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하고, 미세한 충격에도 즉각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하여 더욱 넓은 작동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2는 도 1에서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B-B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벨트 축11: 발톱
12: 핀 13: 휠
14: 래칫 15: 브라켓
16: 충격 검지수단17: 잠금체
18: 고정체 19: 축구멍
20: 축 21: 압착판
22: 스프링23: 치형 걸림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벨트의 감김/풀림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잠금체(17)과, 상기 잠금체(17)와 선택적으로 맞걸려지는 고정체(18)로 이루어지되, 상기 잠금체(17)는 축구멍(19)이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장공형태로 성형되는 동시에 이곳에 축(20)에 밀착되는 압착판(21)을 가지면서 일단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스프링(22)에 의해 탄성 유동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잠금체(17)와 고정체(18)는 각각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갖고 있는 치형 걸림부(23)를 이용하여 서로 맞걸려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판(21)은 축(20)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판으로 되어 있어 축(20)의 바깥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18)가 갖는 치형 걸림부(23)는 내주 전구간의 적어도 1/4 이상의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벨트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7 은 잠금체를 나타낸다.
상기 잠금체(17)는 원판형 몸체와 테두리의 치형 걸림부(23) 즉, 기어 이빨모양의 걸림돌기를 갖고 있으며, 시트 권취부 상에 고정되는 축(20)에 그 중심이 끼워지면서 벨트 인출 및 수납에 따라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잠금체(17)의 축구멍(19)은 원판 중심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도록 성형된 장공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멍 안쪽에는 일단의 압착판(21)을 이용하여 축(20)의 일부 외주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다른 일단을 잠금체 몸체에 일체 연결되는 스프링(22)이 설치됨에 따라 잠금체(17)가 스프링(22)의 탄성을 받으면서 벨트의 인출방향 즉, 축선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미소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압착판(21)은 축(20)이 갖는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판형태로 되어 있어 축(20)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되며, 이때의 밀착면이 잠금체 회전시 지지면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8 은 고정체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체(18)는 일종의 링 기어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주면 일부 구간에 형성되는 치형 걸림부(23) 즉, 기어 이빨모양의 걸림홈을 이용하여 상기 잠금체(17)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체(18)는 잠금체(17)의 주위에 일부 편중된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면서 시트 권취부 상에 고정되는 브라켓(15)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차량 충돌시 운전자의 상체가 앞쪽으로 쏠림에 따라 벨트가 순간적으로 당겨지게 되면, 즉 벨트에 순간 장력이 형성되면, 이와 동시에 잠금체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기면서 벨트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것의 치형 걸림부가 고정체의 치형 걸림부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운전자의 몸을 포함하여 벨트가 잠겨질 수 있게 된다.
즉, 충돌시의 관성에 의해 상체가 앞쪽으로 쏠림과 동시에 벨트가 당겨지면서 신속하게 잠겨질 수 있게 되므로서, 운전자의 상체를 약간의 쏠림이나 흔들림도 없이 안전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잠금장치에서는 잠금체의 유동을 제한하고 있는 스프링의 탄성을 벨트에 형성되는 장력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게 되면, 잠금체를 미세한 충격에도 민감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즉 잠금체의 작동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게 되므로서, 잠금체가 발휘하는 잠금효과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벨트와 직접 연동되면서 벨트가 당겨지면 신속하게 잠궈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상체가 앞쪽으로 쏠리면서 입는 부상의 우려를 말끔히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벨트의 감김/풀림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잠금체(17)과, 상기 잠금체(17)와 선택적으로 맞걸려지는 고정체(18)로 이루어지되, 상기 잠금체(17)는 축구멍(19)이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장공형태로 성형되는 동시에 이곳에 축(20)에 밀착되는 압착판(21)을 가지면서 일단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스프링(22)에 의해 탄성 유동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체(17)와 고정체(18)는 각각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갖고 있는 치형 걸림부(23)를 이용하여 서로 맞걸려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21)은 축(20)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판으로 되어 있어 축(20)의 바깥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8)가 갖는 치형 걸림부(23)는 내주 전구간의 적어도 1/4 이상의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
KR2019960060009U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 KR200165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009U KR200165683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009U KR200165683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854U KR19980046854U (ko) 1998-09-25
KR200165683Y1 true KR200165683Y1 (ko) 2000-01-15

Family

ID=1948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009U KR200165683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6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854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9554B1 (en) Seat belt retractor
JPH082362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H01309849A (ja) 安全ベルト用の引き締め機構
KR20080101564A (ko) 안전벨트 리트랙터
KR880012410A (ko) 자동 되감기식 안전벨트 리트랙터
US6871813B2 (en) Vehicular seatbelt retractor
US4817885A (en) Automatic-emergency locking retractor for seat belts
JPH02256549A (ja) 安全ベルト装置
EP0261006B1 (fr) Tendeur de rappel pour enrouleur de sangle de ceinture de sécurité,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JPH039245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におけるプリテンショナー
KR200165683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잠금장치
JP2000177537A (ja) ベルトリトラクタ―用のセンサ
US4991874A (en) Webbing retractor
KR101005702B1 (ko) 단부 고정식 인장기
EP0680855B1 (en) Tension reducing retractor with an energy absorbing device
US4905928A (en) Locking apparatus for webbing retractor
US8028950B2 (en) Coupling system between pre-tensioning wheel and seat belt retainer spool
JPH0427717Y2 (ko)
US5692697A (en) Automatic locking retractor with alignment structure for assembly
US5535959A (en) Tension reducing retractor with reduced velocity ratchet
JPH0880806A (ja) リトラクタ装置
JPH0234122Y2 (ko)
JPH0245087Y2 (ko)
KR200440314Y1 (ko) 자동차 안전벨트용 캡
JPH024737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