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957Y1 -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957Y1
KR200164957Y1 KR2019970009544U KR19970009544U KR200164957Y1 KR 200164957 Y1 KR200164957 Y1 KR 200164957Y1 KR 2019970009544 U KR2019970009544 U KR 2019970009544U KR 19970009544 U KR19970009544 U KR 19970009544U KR 200164957 Y1 KR200164957 Y1 KR 200164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terminal
clip
plug terminal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837U (ko
Inventor
마석근
Original Assignee
마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석근 filed Critical 마석근
Priority to KR2019970009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95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4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8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9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20V전용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랜스(3)의 보빈(31) 일측에 고정된 입력 연결단자(5)의 일측면에는 파이프를 절결시킨 형상을 갖는 클립형 고정구(51)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51)의 중간부에서 내주면측으로는 걸림돌기(511)를 돌출 형성하고, 몸체(1)의 수납홈(11)상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220V 플러그 단자(4)의 단부에는 상기 클립형 고정구(51)에 억지로 끼워지도록 비교적 지름이 작은 삽입부(41)를 형성시키되, 상기 삽입부(41)의 중간부에는 상기 고정구(51)의 걸림돌기(511)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홈(411)을 형성시켜 주므로써, 트랜스와 220V용 플러그 단자를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
제1도는 본 고안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어댑터의 220V용 플러그 단자와 트랜스 연결단자간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어댑터의 220V용 플러그 단자와 트랜스 연결단자간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종래 어댑터외 220V용 플러그 단자와 트랜스 연결단자간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뚜껑체
3 : 트랜스 4 : 220V 플러그 단자
5, 6 : 입출력 연결단자 11 : 수납홈
41 : 삽입부 51 : 클립형 고정구
411 : 걸림홈 511 : 걸림돌기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소정의 교류전압(220V)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랜스의 보빈에는 그 내부에 걸림돌기를 구비한 원통체 형상의 클립형 고정구를 설치하고, 220V용 플러그 단자의 단부에는 상기 클립형 고정구의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걸림홈을 형성시켜 트랜스와 220V용 플러그 단자를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220V전용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어댑터는 제4도외 220V 전용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속이빈 사각함체의 형상을 갖고 뚜껑체(2)에 의해 상부의 개구부가 막혀지는 몸체(1)의 바닥부 일측에 220V 플러그 단자 어세이 수납홈(11)을 사출 성형하고, 한쌍의 220V 플러그 단자(4)는 사출 고정물(7)을 통해 일정간격을 유지토록 하여 상기 몸체(1)의 수납홈(11)에 착탈 가능하게 스크류로 고정설치하며, 1,2차 코일(32,33)이 권취된 보빈(31)의 상,하면 일측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입출력 연결단자(5,6)를 설치하여 트랜스(3)를 형성하되, 상기 트랜스(3)는 몸체(1)의 내부에 삽입하여 입력 연결단자(5)와 220V 플러그 단자(4)는 납땜을 통해 상호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상기 트랜스(3)의 입력 연결단자(5)와 220V 플러그 단자(4)를 연결할시에는 어댑터 몸체(1)내에 트랜스(3)를 장착하기에 앞서 상기 220V 플러그 단자(4)를 트랜스(3)의 입력 연결단자(5)에 납땜 고정한 후, 220V 플러그 단자(4)가 몸체(1)의 수납홈(11)에 끼워지도록 하는 상태에서 몸체(1)내에 트랜스(3)를 안착시켜야 하므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매우 나쁘다.
또, 상기 220V 플러그 단자(4)를 몸체(1)의 수납홈(11)에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는 트랜스(3)의 입력 연결단자(5)에 납땜 고정시키기가 매우 곤란하므로, 결국 몸체(1)를 성형하는 사출금형과 별도로 제작된 사출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사출 고정물(7)을 통해 상기한 한쌍의 220V 플러그 단자(4)가 일정간격을 유지토록 고정시켜야 하므로 제품의 생산원가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의 목적은, 트랜스의 일차코일과 연결되는 입력 연결단자에 걸림돌기를 구비한 원통체 형상의 클립형 고정구를 일체로 형성시키고, 몸체의 수납홈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220V용 플러그 단자의 단부에는 상기 클립형 고정구의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걸림홈을 형성시켜 트랜스를 몸체내에 장착하면 220V 플러그 단자가 트랜스의 입력 연결단자에 자동으로 고정되게 하여,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고안의 구성]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스를 포함하여 정류회로기판등이 충분히 수납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고 220V 플러그단자(4)가 고정되는 수납홈(11)이 형성된 사각함체형 몸체(1)와, 상기 몸체(1)와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속이빈 사각 함체형 뚜껑체(2)와, 1,2차 코일(32,33)이 권취된 보빈(31)의 상,하면 일측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가이드홈(34)에 입출력 연결단자(5,6)를 각각 설치하여 220V의 교류전압을 낮은 접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트랜스(3)로 구성된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입력 연결단자(5)의 일측면에 파이프를 절결시킨 형상을 갖는 클립형 고정구(51)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51)의 중간부에서 내주면측으로는 걸림돌기(51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몸체(1)의 수납홈(11)상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220V 플러그 단자(4)의 단부에는 상기 클립형 고정구(51)에 억지로 끼워지도록 비교적 지름이 작은 삽입부(41)를 형성시키되, 상기 삽입부(41)의 중간부에는 상기 고정구(51)의 걸림돌기(511)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홈(411)을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20V의 교류전압을 저전압으로 다운시켜 주는 트랜스(3)의 보빈(31)을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할 때, 상기 보빈(31)의 상하면 일측부에는 수개의 가이드홈(34)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시켜 판형상을 갖는 입출력 연결단자(5,6)를 착탈 가능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입출력 연결단자(5,6) 중 입력 연결단자(5)의 일측면에는 파이프를 반으로 절결시킨 상태에서 약간 내측으로 오므려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클립형 고정구(51)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51)의 중간부에는 내주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511)를 형성하여 준다.
또한, 트랜스를 포함하여 정류회로기판등이 충분히 수납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고 바닥부의 일측에는 수납홈(11)이 형성된 속이빈 사각함체형몸체(1)를 사출 성형할시 한쌍의 220V 플러그 단자(4)가 상기 수납홈(11)의 바닥면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도록 하므로써, 종래와 같이 상기 220V 플러그 단자(4)를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사출 고정물이 필요없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220V 플러그 단자(4)의 단부에는 상기 클립형 고정구(51)에 억지로 끼워질 수 있도록 220V 플러그 단자(4)의 지름보다 비교적 작은 지름을 갖는 삽입부(41)를 형성시키되, 상기 삽입부(41)의 중간부에는 상기 고정구(51)에 삽입부(41)가 끼워졌을시 그의 걸림돌기(511)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홈(411)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트랜스(3)를 몸체(1)내에 장착하기 위해 몸체(1)의 바닥부에 상기 트랜스(3)를 올려놓고 그 상면을 강하게 누르면 상기 220V 플러그 단자(4)의 삽입부(41)가 트랜스(3)에 설치된 입력 연결단자(5)의 클립형 고정구(51)에 억지로 끼우짐과 동시에 상기 고정구(51)의 내측 걸림돌기(511)가 220V 플러그 단자(4) 삽입부(41)의 걸림홈(411)에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220V 플러그 단자(4)와 트랜스(3)의 입력 연결단자(5)는 전기적으로 상호 단락된 상태에서 완벽한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220V 플러그 단자(4)의 삽입부(41)가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입력 연결단자(5)의 고정구(51)에 끼워져 걸려지게 되므로 별도의 납땜작업을 실시하지 않더라도 양자의 고정상태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 조립시 공구등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조립성이 좋아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물론, 어댑터의 사용 중 트랜스(3) 등이 소손되어 상기 트랜스(3)를 220V 플러그 단자(4)로 부터 분리시켜야 할 경우에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트랜스(3)와 몸체(1)를 잡고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상호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서비스성도 매우 좋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트랜스의 보빈에는 그 내부에 걸림돌기를 구비한 원통체 형상의 클립형 고정구를 설치하고, 220V용 플러그 단자의 단부에는 상기 클립형 고정구의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삽입부와 걸림홈을 형성시켜 주므로써, 트랜스와 220V용 플러그 단자를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트랜스를 포함하여 정류회로기판등이 충분히 수납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고 220V 플러그 단자(4)가 고정되는 수납홈(11)이 형성된 사각함체형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속이빈 사각 함체형 뚜껑체(2)와, 1,2차 코일(32,33)이 권취된 보빈(31)의 상,하면 일측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가이드홈(34)에 입출력 연결단자(5,6)를 각각 설치하여 220V의 교류전압을 낮은 접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트랜스(3)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입력 연결단자(5)의 일측면에 파이프를 절결시킨 형상을 갖는 클립형 고정구(51)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51)의 중간부에서 내주면측으로는 걸림돌기(51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몸체(1)의 수납홈(11)상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220V 플러그 단자(4)의 단부에는 상기 클립형 고정구(51)에 억지로 끼워지도록 비교적 지름이 작은 삽입부(41)를 형성시키되, 상기 삽입부(41)의 중간부에는 상기 고정구(51)의 걸림돌기(511)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홈(411)을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
KR2019970009544U 1997-04-30 1997-04-30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 KR200164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544U KR200164957Y1 (ko) 1997-04-30 1997-04-30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544U KR200164957Y1 (ko) 1997-04-30 1997-04-30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837U KR19980064837U (ko) 1998-11-25
KR200164957Y1 true KR200164957Y1 (ko) 2000-01-15

Family

ID=1950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544U KR200164957Y1 (ko) 1997-04-30 1997-04-30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9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784A (ko) * 1999-12-08 2001-07-02 이형도 어댑터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837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3406A (en) Electrical cord adapter
KR200164957Y1 (ko)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
US5176532A (en) Threaded receptacle method and device
US5241746A (en) Threaded receptacle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mounting of electrical contact members within the receptacle
US5797766A (en) Lamp mounting device
CN215170893U (zh) 风扇
CN210779172U (zh) 电源线插接头固定组件和电子设备
JP2004146277A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る照明器具
KR200282583Y1 (ko) 어댑터 연결단자
JP2571506Y2 (ja) 電気接続箱
KR200232261Y1 (ko)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
JPS623909Y2 (ko)
JPH0548379Y2 (ko)
CN213395224U (zh) 组合式低压变压供电组件
CN219036733U (zh) 一种连接组件及集成厨灶
CN214249494U (zh) 一种注塑成型灯座结构
CN219205010U (zh) 电源适配器
TW202414906A (zh) 小功率信號螺絲與快鎖兼容結構
WO1990007208A1 (en) Adapter for a compact discharge lamp
CN211176681U (zh) 一种汽车内部l型灯泡座
JP2595752Y2 (ja) コネクタ
WO2024041374A1 (zh) 小功率信号螺丝与快锁兼容结构
KR0127312Y1 (ko) 형광등용 컨넥터
KR200151942Y1 (ko) 110v/220v겸용 어댑터
KR200387831Y1 (ko)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000058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20731

Effective date: 200209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000058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20731

Effective date: 2002090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404

Effective date: 2002062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404

Effective date: 200206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200004798;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200004798;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20731

Effective date: 20020905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20731

Effective date: 2002090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