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942Y1 - 110v/220v겸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110v/220v겸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942Y1
KR200151942Y1 KR2019960041520U KR19960041520U KR200151942Y1 KR 200151942 Y1 KR200151942 Y1 KR 200151942Y1 KR 2019960041520 U KR2019960041520 U KR 2019960041520U KR 19960041520 U KR19960041520 U KR 19960041520U KR 200151942 Y1 KR200151942 Y1 KR 200151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ug
transformer
adap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504U (ko
Inventor
마석근
Original Assignee
마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석근 filed Critical 마석근
Priority to KR2019960041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942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5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9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110V/220V겸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랜스를 포함하여 정류회로기판 등이 수납되는 본체(1)와; 110V용 플러그 단자(21)와 220V용 단자 통과공(22) 및 220V 플러그 고정홈(23)을 구비하고 본체(1)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체(2)와; 보빈(31)의 상면에 형성시킨 안치홈(32)에 공통단자(33)와 110V용 단자(34) 및 220V용 단자(35)가 설치된 트랜스(3)와; 2개의 220V용 플러그 단자(41)와 간격유지구(42), 반달형 접속구(43), 탄성접속편(44), 몸체(45) 및 마개체(46)로 이루어진 220V용 플러그(4)로 구성하여 110V용 플러그 단자는 본체와 뚜껑체의 결합시 전선을 사용하지 않더라고 자동으로 연결되고 220V용 플러그를 상기 110V용 플러그 단자에 연결시키면 공통단자와 220V용 단자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므로써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또 220V용 플러그를 110V용 플러그 단자에 연결시킬시 별도로 스위치를 실시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어댑터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110V/220V겸용 어댑터
제1도는 본 고안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어댑터를 110V용으로 사용할 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어댑터에 110V용 플러그를 결합시켜 사용할 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뚜껑체
3 : 트랜스 4 : 220V용 플러그
21 : 110V용 플러그 단자 22 : 220V용 단자 통과공
23 : 220V 플러그 고정홈 31 : 보빈
32 : 안치홈 33 : 공통단자
34 : 110V용 단자 35 : 220V용 단자
41 : 220V용 플러그 단자 42 : 간격유지구
43 : 반달형 접속구 44 : 탄성접속편
45 : 몸체 46 : 마개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소정의 교류전압(110V/220V)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110V/220V겸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랜스의 보빈에 3개의 플러그 단자편을 설치하여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110V 및 220V 전환용 콘센트 단자들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110V/220V겸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의 어댑터에서는 몸체내에 공통 단자편, 110V용 단자편 및 220V용 단자편을 돌출 설치하여 트랜스의 일차코일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뚜껑체에는 110V용 플러그 단자를 설치하되 상기 단자편들과 110V용 플러그 단자 사이에는 110V/220V 전환용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전압이 110V인 경우는 상기 어댑터의 뚜껑체에 설치된 110V용 플러그 단자를 110V용 콘센트에 직접 꼽아 사용한다.
그리고, 사용전압이 220V인 경우는 상기 110V/220V 전환용 스위치를 220V로 전환시키고 상기 110V용 플러그 단자에 220V용 플러그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220V용 콘센트에 꼽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공통단자편, 110V용 단자편 및 220V용 단자편을 트랜스의 보빈과 무관하게 어댑터의 몸체에 별도로 설치한 110V/220V 전환용 스위치와 뚜껑체에 설치한 110V용 플러그 단자에 각각 전선을 통해 납땜 등의 공정을 거쳐 연결시켜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110V 플러그 단자에 220V용 플러그를 결합시킨 후 사용자가 실수로 110V/220V 전환용 스위치를 220V로 전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220V 콘센트에 꼽을 경우 어댑터 자체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전압에 따라 110V/220V 전환용 스위치를 필히 확인한 후 콘센트에 꼽아 사용해야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클 뿐만 아니라, 부주의로 110V/220V 전환용 스위치의 전환을 잘못시킨 경우 어댑터 자체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의 목적은, 트랜스의 일차코일과 연결되는 공통단자, 110V용 단자 및 220V용 단자를 각각 클립형태로 형성시켜 110V용 플러그 단자는 본체와 뚜껑체의 결합시 전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220V용 플러그를 상기 110V용 플러그 단자에 연결시키면 공통단자와 220V용 단자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110V/220V겸용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역별로 서로 다른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어댑터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옵션으로 제공하는 220V용 플러그를 110V용 플러그 단자에 연결시킬시 별도로 스위치를 실시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어댑터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110V/220V겸용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고안의 구성]
본 고안의 어댑터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스를 포함하여 정류회로기판 등이 충분히 수납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고 상면이 트여진 사각함체 형상의 본체(1)와; 110V용 플러그 단자(21)가 소정거리를 두고 수직상태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110V용 플러그 단자(21)의 양측으로 220V용 단자 통과공(22)과 220V 플러그 고정홈(23)이 각각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본체(1)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체(2)와; 1,2차 코일(311,312)이 권취된 보빈(31)이 상면 일측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수개의 안치홈(32)을 형성하여, 이들의 고정홈에 N자 형상을 갖는 공통단자(33)와 110V용 단자(34) 및 걸고리 형상의 220V용 단자(35)를 각각 설치한 구성을 갖는 트랜스(3)와; 220V용 플러그 단자(41)의 일부를 절연시켜 줌과 동시에 이들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구(42)와, 상기 간격유지구(42)의 일측부에 매립된 상태에서 220V용 플러그 단자(41) 중 일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트랜스(3)의 보빈(31)에 설치된 220V용 단자(35)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반달형 접속구(43), 상기 220V용 플러그 단자(41)의 타측단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랜스(3)의 공통단자(33)와 접속된 상태에 있는 110V용 플러그 단자(21) 중 일측단자를 220V용 플러그 단자(41)에 탄력적으로 접속시켜 주는 탄성접속편(44)과; 상면 막힘부에 상기 220V용 플러그 단자(41) 통과공(451)이 뚫어진 구성을 갖고 플러그의 부속품들을 감싸주는 플러그 몸체(45)와; 상기 110V용 플러그 단자(21)가 통과되는 안내공(461)이 소정거리를 두고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공(461)의 양측에서 저부로 220V용 단자 통과공(22)과 220V 플러그 고정홈(23)에 각각 끼워지는 접속구 지지돌기(462) 및 고정돌기(463)가 일체로 돌출된 구성을 갖고 상기 몸체(45)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체(46)로 이루어진 220V용 플러그(4)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36은 N자 형상을 갖는 공통단자(33)와 110V용 단자(34) 및 걸고리 형상의 220V용 단자(35)에 각각 형성되어 각각의 단자들이 안치홈(32)으로부터 자유스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걸림편이고, 462A는 상기 반달형 접속구(43)와 220V용 단자(35)가 동시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호 접속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도록 상기 접속구 지지돌기(462)에 천공된 지지홈이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10V 또는 220V의 교류전압을 저전압으로 다운시켜 주는 트랜스(3)의 보빈(31)을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할 때, 상기 보빈(31)의 상면 일측부에 수개의 안치홈(32)을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시켜 공통단자(33)와 110V용 단자(34) 및 220V용 단자(35)를 각각 설치하여 주므로써, 기존의 어댑터에서와 같이 본체(1) 및 뚜껑체(2)에 설치된 콘센트용 접속용 플러그 단자들과 트랜스의 1차측을 연결시키는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트랜스(3)의 1차측 코일 자유단부들은 상기 공통단자(33)와 110V용 단자(34) 및 220V용 단자(35)에 직접 고정시켜 준다.
이때, 상기 보빈(31)의 안치홈(32) 중 일측과 중간부에 위치된 고정홈에 설치되는 공통단자(33)와 110V용 단자(34)는 N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시키고, 타측의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220V용 단자(35)는 걸고리 형상을 갖도록 형성시켜 준다.
또한, 트랜스를 포함하여 정류회로기판 등이 수납되는 사각함체 형상의 본체(1)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체(2)에는 110V용 플러그 단자(21)를 수직 상태로 설치하고, 또 상기 110V용 플러그 단자(21)의 양측으로는 상기 트랜스(3)에 설치된 220V용 단자(35)가 통과되는 통과공(22)과 220V 플러그(4)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23)을 형성시켜 준다.
따라서, 차후 상기 트랜스(3)를 본체(1)의 내부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뚜껑체(2)를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뚜껑체(2)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110V용 플러그 단자(21) 내단부가 제2도와 같이 트랜스(3)의 N자형 공통단자(33)와 110V용 단자(34)에 각각 결합되고, 걸고리형 220V용 단자(35)의 상단부는 뚜껑체(2)의 통과공(22)에 위치하게 된다.
즉, 트랜스(3)의 공통단자(33)와 110V용 단자(34)를 뚜껑체(2)의 110V용 플러그 단자(21)에 전선으로 연결시키지 않더라도 본체(1)에 뚜껑체(2)를 결합시키는 동작만으로 상호 자동 연결되므로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전압이 220V인 경우 상기 110V용 플러그 단자(21)에 결합시켜 사용하는 220V 플러그(4)는 2개의 220V용 플러그 단자(41)와 간격유지구(42), 반달형 접속구(43), 탄성접속편(44), 몸체(45) 및 마개체(4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구(42)는 2개의 220V용 플러그 단자(41)의 일부를 절연시켜 줌과 동시에 이들의 간격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반달형 접속구(43)는 간격유지구(42)의 일측부에 매립된 상태에서 220V용 플러그 단자(41) 중 일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어댑터에 220V 플러그(4)를 결합시켰을시 상기 트랜스(3)의 보빈(31)에 설치된 220V용 단자(35)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상기 220V용 플러그 단자(41)의 타측단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탄성접속편(44)은 어댑터에 220V 플러그(4)를 결합시켰을시 트랜스(3)의 공통단자(33)에 연결되어 있는 일측의 110V용 플러그 단자(21)가 타측의 220V용 플러그 단자(41)에 제3도와 같이 완벽히 접촉되도록 한다.
또한, 상면 막힘부에 상기 220V용 플러그 단자(41) 통과공(451)이 천공된 플러그 몸체(45)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체(46)에는 어댑터에 220V 플러그(4)를 결합시킬시 110V용 플러그 단자(2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안내공(461)을 천공시켜 주고, 이들 안내공(461)의 양측에는 상기 어댑터 뚜껑체(2)에 형성된 220V용 단자 통과공(22)과 220V 플러그 고정홈(23)에 각각 끼워지는 접속구 지지돌기(462) 및 고정돌기(463)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켜 주므로써, 어댑터에 220V 플러그(4)를 결합시켰을시 상호 분리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속구 지지돌기(462)에는 반달형 접속구(43)와 220V용 단자(35)가 동시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호 접속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도록 지지홈(462A)을 형성시켜 주므로써, 어댑터에 220V 플러그(4)를 결합시킴으로 인해 어댑터 뚜껑체(2)의 220V용 단자 통과공(22)에 상기 접속구 지지돌기(462)가 끼워졌을시 220V용 단자(35)가 지지홈(462A)을 통해 끼워져 일측의 220V용 플러그 단자(41)와 전기적으로 연결상태에 있는 반달형 접속구(43)가 제3도와 같이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물론, 상기 220V 플러그(4)를 어댑터에 결합시켰을시 상기 트랜스(3)의 110V용 단자(34)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 타측 110V용 플러그 단자(21)는 220V 플러그(4) 마개체(46)의 안내공(461)에 끼워진체 전기적으로 단선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220V용 플러그 단자(41)를 벽등지에 설치된 콘센트에 꼽게 되면 트랜스(3)의 공통단자(33)와 220V용 단자(35)에만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상용자의 실수로 유발될 수 있는 어댑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110V용 플러그 0단자는 본체와 뚜껑체의 결합시 전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연결되고 220V용 플러그를 상기 110V용 플러그 단자에 연결시키면 공통단자와 220V용 단자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므로써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또 220V용 플러그를 110V용 플러그 단자에 연결시킬시 별도로 스위치를 실시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어댑터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트랜스를 포함하여 정류회로기판 등이 충분히 수납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고 상면이 트여진 사각함체 형상의 본체(1)와; 110V용 플러그 단자(21)가 소정거리를 두고 수직상태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110V용 플러그 단자(21)의 양측으로 220V용 단자 통과공(22)과 220V 플러그 고정홈(23)이 각각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본체(1)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체(2)와; 1,2차 코일(311,312)이 권취된 보빈(31)이 상면 일측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수개의 안치홈(32)을 형성하여, 이들의 고정홈에 N자 형상을 갖는 공통단자(33)와 110V용 단자(34) 및 걸고리 형상의 220V용 단자(35)를 각각 설치한 구성을 갖는 트랜스(3)와; 220V용 플러그 단자(41)의 일부를 절연시켜 줌과 동시에 이들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구(42)와, 상기 간격유지구(42)의 일측부에 매립된 상태에서 220V용 플러그 단자(41) 중 일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트랜스(3)의 보빈(31)에 설치된 220V용 단자(35)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반달형 접속구(43), 상기 220V용 플러그 단자(41)의 타측단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랜스(3)의 공통단자(33)와 접속된 상태에 있는 110V용 플러그 단자(21) 중 일측단자를 220V용 플러그 단자(41)에 탄력적으로 접속시켜 주는 탄성접속편(44)과; 상기 상면 막힘부에 상기 220V용 플러그 단자(41) 통과공(451)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플러그의 부속품들을 감싸주는 플러그 몸체(45)와; 상기 110V용 플러그 단자(21)가 통과되는 안내공(461)이 소정거리를 두고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공(461)의 양측에서 저부로 220V용 단자 통과공(22)과 220V 플러그 고정홈(23)에 각각 끼워지는 접속구 지지돌기(462) 및 고정돌기(463)가 일체로 돌출된 구성을 갖고 상기 몸체(45)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체(46)로 이루어진 220V용 플러그(4)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0V/220V겸용 어댑터.
KR2019960041520U 1996-11-22 1996-11-22 110v/220v겸용 어댑터 KR200151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520U KR200151942Y1 (ko) 1996-11-22 1996-11-22 110v/220v겸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520U KR200151942Y1 (ko) 1996-11-22 1996-11-22 110v/220v겸용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504U KR19980028504U (ko) 1998-08-05
KR200151942Y1 true KR200151942Y1 (ko) 1999-07-15

Family

ID=1947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520U KR200151942Y1 (ko) 1996-11-22 1996-11-22 110v/220v겸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9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504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6395A (en) Power transformer
JP3066808B2 (ja) 電気接続端子
US4828513A (en) Electrical housing assembly for removable placement on a table top
JP3688338B2 (ja) 電気的な接続兼結合端子
KR20010072402A (ko) 여러 국가에서 사용가능한 어댑터 플러그용 프롱
US8226444B2 (en) Modular power strip
KR200151942Y1 (ko) 110v/220v겸용 어댑터
KR101484010B1 (ko) 절전형 멀티탭
US20120171891A1 (en) Plug
CA2506864C (en) Receptacle retainer for snap-in style receptacles
RU2496195C2 (ru) Розеточный блок
KR200185369Y1 (ko)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CN212062723U (zh) 一种轨道灯轨道电源连接组件
KR101973090B1 (ko) 다단 조립식 콘센트
CN220253505U (zh) 变频器用的多机联动端子组
KR860000539Y1 (ko) 110v/220v 절환장치
KR200185346Y1 (ko) 전원 플러그용 소켓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KR960001785Y1 (ko) 2개 이상의 전원소켓을 장착한 카셋트 레코드
KR20090012519U (ko) 전선걸이구용 멀티탭
KR200161968Y1 (ko) 전원공급장치
KR890005553Y1 (ko) 전원 절환용 콘센트
KR200164957Y1 (ko)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
KR900004532Y1 (ko) 100v/200v겸용 전압절환장치
KR860002162Y1 (ko) 110v/220v 절환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