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261Y1 -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2261Y1 KR200232261Y1 KR2020010004007U KR20010004007U KR200232261Y1 KR 200232261 Y1 KR200232261 Y1 KR 200232261Y1 KR 2020010004007 U KR2020010004007 U KR 2020010004007U KR 20010004007 U KR20010004007 U KR 20010004007U KR 200232261 Y1 KR200232261 Y1 KR 2002322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terminal
- transformer
- input terminal
- bobbi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20V의 높은 교류고전압을 12V의 낮은 직류저전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 플러그의 내부 구성 중 특히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 단자와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트랜스의 입력단자와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입력단자를 트랜스에 구성함에 있어서 간단한 끼움구성에 의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 하우징을 가진 케이싱의 상기 전방 하우징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콘센트에 접속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트랜스를 구성하는 보빈의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입력단자로 이루어진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빈(20)의 상단부 전방 양측에 돌출된 삽입부(21)는,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고 후방 양측에 가이드홈(21a)이 나란히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21)에 삽입되는 입력단자(40)는, 채널부(41)와 후면부 양측 상/하단부에 돌출된 리드(42)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위쪽으로 연장된 파지부(4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220V의 높은 교류고전압을 12V의 낮은 직류저전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 플러그의 내부 구성 중 특히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 단자와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트랜스의 입력단자와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입력단자를 트랜스에 구성함에 있어서 간단한 끼움구성에 의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위 어댑터라 불리는 변압플러그는, 전/후방 하우징을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전방 하우징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콘센트에 접속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와, 그리고 상기 케이싱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보빈, 이 보빈에 권치되는 1,2차 코일, 상기 1차코일에 연결됨과 아울러 보빈의 전방에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들과 고정되는 한 쌍의 입력단자 및 상기 2차코일에 연결됨과 아울러 보빈의 후방에 고정되어 케이싱의 외부 인출선과 연결되는 한 쌍의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압플러그에 있어서, 플로그단자들과 입력단자들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구조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 제98-64837호로 공개된 것을 들 수있다. 즉, 선행기술에 따르면, 플러그 단자의 접속단부는 원형봉 형태로 형성되고, 이 플러그 단자의 접속단부와 대응하여 입력단자는, 그 일측에 상기 플러그단자의 접속단부가 삽입되어 입력단자와 접속될 수 있도록 파이프형 고정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속단부의 직경은 상기 파이프형 고정구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원형봉 형태의 플러그단자와 파이프형 고정구를 가진 입력단자가 채용될 경우에는 특히 파이프형 고정구를 가진 입력단자를 성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생산성이 저하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속단부의 직경은 상기 파이프형 고정구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입력단자가 가이드홈의 제위치로부터 벗어날 경우에는 상기 플러그단자가 입력단자의 파이프형 고정구에 잘 삽입되지 않으므로 변압플러그의 조립성도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경우 억지로 플러그단자를 파이프형 고정구에 삽입하기 위하여 힘을 가하면 입력단자가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찌그러지기 쉽고 이 때에는 상기 플러그단자가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하더라도 접촉불량이 발생하여 저항이 커지므로 원하는 전압 변환을 도모할 수 없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출원 제 2000-5732호로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를 안출한 바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 하우징(11)(12)을 가진 케이싱(10)의 상기 전방 하우징(11)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콘센트에 접속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30)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트랜스를 구성하는 보빈(20)의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입력단자(90)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90)는 채널부, 상기 채널부의 양쪽 플랜지로부터 바깥쪽으로 굴곡되는 양쪽 가이드리브 및 상기 가이드리브 중 일측 가이드리브의 상단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상기 트랜스의 보빈에 권치되는 1차코일과 접속되는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보빈의 상단부 전방 양쪽에는 상기 입력단자의 채널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전방이 개방된 한 쌍의 사각형 삽입홈이 보빈과 일체로 돌출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단자의 후방 접속단부는 상기 입력단자의 채널부에 삽입되어 채널부의 면과 평면 접촉하도록 상기 채널부와 대응하여 납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지닌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는, 입력단자와 접속되는 플러그단자의 접속단부를 납작하게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여 플러그단자와 접속되는 입력단자의 접속부가 채널부로 이루어져 있어 접속단부가 상기 채널부에 삽입되면 이들의 평면 접촉에 의해 접촉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불량률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플러그단자와 입력단자의 접속과정에서 상기 입력단자가 찌그러지는 형상을 방지하게 되어 변압플러그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빈(20)의 상단부 전방 양쪽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삽입부(22)(22)에 끼워지는 입력단자(90)가, 상기 삽입부(22)(22)의 전방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끼움 구성됨에 따라, 변압플러그의 장기간 사용에 의해 이 입력단자(90)가 상기 삽입부(22)(22)의 전방측으로 이탈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로인해 상기 입력단자에 접속되는 플러그단자(30)의 접속단부와 상기 입력단자의 접속률이 저하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빈의 전방 양측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부의 형상을 전방 및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의 후방측에 별도의 가이드홈을 더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 삽입부에 끼움 구성되는 입력단자의 후면부 상/하 양측단에 연장되는 리드를 돌출 형성하고 그 중앙부에는 파지부를 더 형성하여, 입력단자가 상기 삽입부에 견고하게 끼워 질 뿐만 아니라, 삽입부의 전방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을 물론, 형성된 파지부에 의해 쉽게 조립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의 구성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개량형 변압플러그 단자 접속구조의 구성요부인 입력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용신안출원 제 2000-5732호인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싱 11 : 전방하우징
12 : 후방하우징 20 : 보빈
21 : 삽입부 21a : 가이드홈
30 : 플러그단자 40 : 입력단자
41 : 채널부 42 : 리드
43 : 파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는, 전/후방 하우징을 가진 케이싱의 상기 전방 하우징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콘센트에 접속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트랜스를 구성하는 보빈의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입력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단자는 채널부와 이 채널부의 양쪽 플랜지로부터 바깥쪽으로 굴곡되는 양쪽 가이드리브 및 상기 가이드리브 중 일측 가이드리브의 상단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상기 트랜스의 보빈에 권치되는 1차코일과 접속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보빈의 상단부 전방 양쪽에는 상기 입력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사각형 삽입부가 보빈과 일체로 돌출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단자의 후방 접속단부는 상기 입력단자의 채널부에 삽입되어 채널부의 면과 평면 접촉하도록 상기 채널부와 대응하여 납작하게 형성된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단부 전방 양측에 돌출된 삽입부는,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고 후방 양측에 가이드홈이 나란히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입력단자는, 후면부 양측 상/하단부에 돌출된 리드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위쪽으로 연장된 파지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의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 하우징(11)(12)으로 이루어진 케이싱(10)내에 구성되는 보빈(20)과, 상기 전방하우징(11)의 상단에 이 전방하우징(11)을 관통하여 구성된 한 쌍의 플러그단자(30)와, 이 플러그단자의 후방에 연장되어 이루어진 평면형상의 접속단부(31)와, 상기 케이싱(10)내에 구성된 보빈(20)의 전방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삽입부(21)와, 이 삽입부(21)에 끼움 구성된 입력단자(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21)는,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고, 후방의 양측에 가이드홈(21a)이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 삽입부(21)에 삽입되는 상기 입력단자(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단자(30)의 후방에 연장된 접속단부(31)가 끼워지는 채널부(41)와 후면부 상/하 양측단에 각각 연장된 리드(42)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상기 입력단자(40)를 삽입부(21)에 끼움 구성하기 용이하도록 파지부(43)가 더 위쪽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는, 상기 입력단자(40)를 보빈(20)의 전방 양측 상단에 형성된 삽입부(21)에 끼움 구성하기가 용이하다. 즉, 상기 입력단자(40)의 후면부 중앙에 형성된 파지부(43)를 잡고 상기 삽입부(21)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입력단자(40)를 끼움 구성하면 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삽입부(21)의 후면부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2la)에, 상기 입력단자(40)의 후면부 상/하 양측단에 연장된 리드(42)를 맞춘 후, 그대로 아래로 밀어 넣으면 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단자(40)의 리드(42)와 상기 삽입부(21)의 가이드홈(21a)만 맞춘 상태에서 그대로 상기 입력단자(40)를 삽입부(21) 아랫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되는 것으로, 종래의 입력단자를 삽입부의 전방측으로부터 억지끼움 하는 작업함에 따른 조립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한다.
상기와 같이 삽입부(21)의 상부측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입력단자(40)는, 이 입력단자(40)의 후면부 상/하 양측단에 형성된 리드(42)가 상기 삽입부(21)의 후면부에 나란히 형성된 가이드홈(2la)에 끼움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단자를 콘센트에 수시로 뺐다가 넣어도 이 입력단자(40)가 상기 삽입부(21)로부터 이탈되지않아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위 어댑터라 불리는 변압플러그를 장기간 사용함에 전혀 무리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에 의하면, 삽입부에 삽입되어 플러그단자의 접속단부가 끼워지는 입력단자가 상기 삽입부의 상부측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끼움 구성되고, 더욱이 이 입력단자의 후변부 상/하 양측단에 연장된 리드가 상기 삽입부의 후면부에 나란히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움 구성되기 때문에, 이 입력단자가 상기 삽입부의 전방측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하여 변압플러그를 장기간 동안 사용하는 데에 전혀 무리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입력단자의 후면부 중앙에 위쪽으로 돌설된 파지부에 의해 이 입력단자를 상기 삽입부에 조립하는 작업이 수월하여 조립작업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결과를 가져온다.
Claims (1)
- 전/후방 하우징을 가진 케이싱의 상기 전방 하우징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콘센트에 접속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트랜스를 구성하는 보빈의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입력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단자는 채널부와 이 채널부의 양쪽 플랜지로부터 바깥쪽으로 굴곡되는 양쪽 가이드리브 및 상기 가이드리브 중 일측 가이드리브의 상단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상기 트랜스의 보빈에 권치되는 1차코일과 접속되는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보빈의 상단부 전방 양쪽에는 상기 입력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사각형 삽입부가 보빈과 일체로 돌출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단자의 후방 접속단부는 상기 입력단자의 채널부에 삽입되어 채널부의 면과 평면 접촉하도록 상기 채널부와 대응하여 납작하게 형성된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에 있어서,상기 보빈(20)의 상단부 전방 양측에 돌출된 삽입부(21)는,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고 후방 양측에 가이드홈(21a)이 나란히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21)에 삽입되는 입력단자(40)는, 채널부(41)와 후면부 양측 상/하단부에 돌출된 리드(42)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위쪽으로 연장된 파지부(4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4007U KR200232261Y1 (ko) | 2001-02-16 | 2001-02-16 |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4007U KR200232261Y1 (ko) | 2001-02-16 | 2001-02-16 |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32261Y1 true KR200232261Y1 (ko) | 2001-09-29 |
Family
ID=7309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04007U KR200232261Y1 (ko) | 2001-02-16 | 2001-02-16 |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226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8984B1 (ko) * | 2002-07-15 | 2005-05-11 | 주식회사 아프로닉스 | 어댑터 내장 플러그 |
-
2001
- 2001-02-16 KR KR2020010004007U patent/KR20023226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8984B1 (ko) * | 2002-07-15 | 2005-05-11 | 주식회사 아프로닉스 | 어댑터 내장 플러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036315A1 (en) | Resolver External Conductor Fixing Structure | |
JP3476077B2 (ja) | カレントトランス用コイルボビ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4962361A (en) | Ignition coil for engine | |
CN210156215U (zh) | 一种开合式电流互感器 | |
CA2565946C (en) | Contact termination member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 |
KR200232261Y1 (ko) | 개량형 변압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 | |
KR20220000389U (ko) | 플랫 타입 트랜스포머 | |
WO2022121313A1 (zh) | 插接组件及插座 | |
CN217589663U (zh) | 触头盒及固定结构及电力柜 | |
KR200191311Y1 (ko) | 변압 플러그의 단자 접속구조 | |
CN110459381B (zh) | 一种开合式电流互感器 | |
KR200333806Y1 (ko) | 어댑터의 단자접속구조 | |
KR200164957Y1 (ko) | 어댑터의 단자 연결구조 | |
WO2020183676A1 (ja) | コイ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らに用いられるコイル用ボビン | |
JPH11260511A (ja) | ウェッジベースバルブ用端子金具 | |
CN221097651U (zh) | 电磁阀 | |
CN220232897U (zh) | 一种双端输出cop点火线圈的低压插接结构 | |
CN213988745U (zh) | 一种高压直流继电器的线圈引出结构 | |
CN220420940U (zh) | 一种矩形插孔及大电流连接器 | |
CN219040797U (zh) | 一种装配紧固的插头端子组件及插头 | |
CN112242613B (zh) | 连接器 | |
WO2024114759A1 (zh) | 继电器 | |
CN215418025U (zh) | 一种继电器的线圈引出结构 | |
CN201252054Y (zh) | 一种小型大功率继电器 | |
CN214255929U (zh) | 定子骨架组件、定子组件和包括其的步进电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11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