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853Y1 -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853Y1
KR200164853Y1 KR2019940029248U KR19940029248U KR200164853Y1 KR 200164853 Y1 KR200164853 Y1 KR 200164853Y1 KR 2019940029248 U KR2019940029248 U KR 2019940029248U KR 19940029248 U KR19940029248 U KR 19940029248U KR 200164853 Y1 KR200164853 Y1 KR 2001648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control
tape recorder
television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9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774U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40029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853Y1/ko
Publication of KR960018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8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8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에는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입출력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별도의 기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유저가 매번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본체를 분해하고 내부회로를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텔레비젼의 내부에 간단한 보조회로를 추가하고, 외부에서 보조회로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Description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
제1a도는 일반적인 텔레비젼과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텔레비젼과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1b도는 제1a도에 있어서 영상반주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제2a도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내부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2b도는 제2a도에 있어서 영상반주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도.
제4a도 내지 제4c도는 제3도에 도시된 온-오프 제어부의 실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6 : 텔레비젼 2, 5 :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3 : 영상반주기 4, 7 :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
8 : 원격 제어신호 수신부 9, 15 : 슬라이드 스위치
10 : 온-오프 제어부 11, 12, 13 : 제1, 제2, 제3스위치
14 : 정전압원 16 : 디-플립플롭
17 : 구동소자 18 : 키 메트릭스
19 : 마이크로 컴퓨터
본 고안은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Video Tape Recorder:이하, "VTR"이라 약칭함)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VTR 일체형 텔레비젼의 내부회로에 간단한 보조회로를 추가 구성하여 영상반주기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VTR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반주기가 대중에게 급속도로 보급 및 확산됨에 따라 각 가정에서도 가정용 텔레비젼과 VTR에 영상반주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이때, 일반적으로 텔레비젼과 VTR 및 노래방기기는 각각 별도의 기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입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각각의 입출력단자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저는 텔레비젼과 VTR 및 노래방기기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9있게 된다.
즉,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젼(1)과 VTR(2)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VTR(2)의 비데오신호 출력단자(ⓐ)가 텔레비젼(1)의 비데오신호 입력단자(ⓑ)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의 비데오신호 입출력단자(ⓐ, ⓑ)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반주기(3)를 추가로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VTR(2)의 비데오신호 출력단자(ⓐ)에 영상반주기(3)의 비데오신호 입력단자(ⓒ)를 연결하고, 영상반주기(3)의 비데오신호 출력단자(ⓓ)에 텔레비젼(1)의 비데오신호 입력단자(ⓑ)를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경우, VTR(2)에서 출력된 문자신호가 포함된 비데오신호는 영상반주기(3)에 입력되어 영상반주기(3)내의 반주신호와 동기된 후 텔레비젼(1)에 출력되므로 텔레비젼(1)과 VTR(2) 및 영상반주기(3)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VTR 일체형 텔레비젼(4)의 경우에는 VTR(5)의 비데오신호 출력단자(ⓐ)와 텔레비젼(6)의 비데오신호 입력단자(ⓕ)가 VTR 일체형 텔레비젼(4) 내부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VTR 일체형 텔레비젼(4)의 본체를 분해하여 VTR(5)의 비데오신호 출력단자(ⓔ)와 텔레비젼(6)의 비데오신호 입력단자(ⓕ)를 연결하는 배선을 절단한 후 이 배선을 연장하여 VTR(5)의 비데오신호 출력단자(ⓔ)와 외부에 구성된 영상반주기(3)의 비데오신호 입력단자(ⓒ)를 연결하고, 영상반주기(3)의 비데오신호 출력단자(ⓓ)와 VTR 일체형 텔레비젼(4)의 내부에 구성된 텔레비젼(6)의 비데오신호 입력단자(ⓕ)를 연결하여야만 하였다.
이러한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VTR 일체형 텔레비젼의 본체를 분해하여 VTR 일체형 텔레비젼 내부에 연결되어 있는 배선을 절단한 후, 이를 영상반주기에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VTR 일체형 텔레비젼의 구조를 변경함으로 인하여 유저에게 외관상의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VTR 일체형 텔레비젼의 내부회로에 간단한 보조회로를 추가 구성함으로써, 유저가 VTR 일체형 텔레비젼에 영상반주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유저의 요구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저에게 외관상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한 VTR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텔레비젼과 비데오테이프 레코더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모드전환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모드전환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모든전환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인가된 모드전환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 제어수단과, 상기 온-오프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로부터 텔레비젼에 출력되는 비데오신호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수단과, 상기 온-오프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로부터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 인가되는 비데오신호를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수단과, 상기 온-오프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로부터 텔레비젼에 직접 인가되는 비데오신호를 스위칭하는 제3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전술한 모드전환신호 수신수단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원격 제어신호 수신수단과, 외부에서 유저가 직접 조작이 가능한 제4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온-오프 제어수단은, 소정전압을 제공하는 정전압 발생수단과, 상기 모드전환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인가된 모드전환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5 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온-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정전압 발생수단과, 상기 제5스위칭수단과, 상기 제5스위칭수단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상기 정전압 발생수단으로부터 정전압을 인가받아 후단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플립플롭과, 상기 디-플립플롭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소정크기로 증폭하여 상기 제1, 제2, 제3스위칭수단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온-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제4스위칭수단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키 메트릭스와, 상기 키 메트릭스와 상기 원격 제어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인가된 모드전환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제2, 제3스위칭수단을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소정크기로 증폭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VTR 일체형 텔레비젼의 내부에 전술한 보조회로를 추가하여 정상모드와 외부기기 연결모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VTR 일체형 텔레비젼에 외부기기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저의 편리를 증대시킬 수 있고, VTR 일체형 텔레비젼의 외부형상이 변경되지 않으므로 안정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VTR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VTR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는, VTR 일체형 텔레비젼(7)의 전면에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원격 제어신호 수신부(8)와 유저에 의해 직접 조작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스위치(9)가 장착되어 있고, 전술한 원격 제어신호 수신부(8)와 슬라이드 스위치(9)는 온-오프 제어부(10)에 연결되어 유저의 조작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VTR 일체형 텔레비젼(7) 내부에 구성된 VTR(5)의 비데오신호 출력단자(ⓔ)와 텔레비젼(6)의 비데오신호 입력단자(ⓕ) 사이에는 제1스위치(11)가 장착되어 온-오프 제어부(10)로부터 제1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온-오프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VTR 일체형 텔레비젼(7)의 후면에 형성된 외부 비데오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VTR(5)의 비데오신호 입력단자(ⓗ)와 VTR 일체형 텔레비젼(7)의 후면에 형성된 외부 비데오신호 입력단자(ⓘ) 사이에는 제2스위치(12)가 장착되어 온-오프 제어부(10)로부터 제2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온-오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텔레비젼(6)의 비데오신호 입력단자(ⓕ)와 전술한 외부 비데오신호 입력단자(ⓘ) 사이에는 제3스위치(13)가 장착되어 온-오프 제어부(10)로부터 제3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온-오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먼저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즉, 영상반주기가 연결되어 있고 VTR(5)과 텔레비젼(6)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를 보면, 외부에서 인가된 모드전환신호(원격 제어신호 또는 유저의 조작신호)는 원격 제어신호 수신부(8)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9)를 통하여 온-오프 제어부(10)에 입력되고, 온-오프 제어부(10)는 외부에서 인가된 모드전환신호에 따라 제1제어신호("하이"상태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온-오프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된 제1제어신호("하이"상태의 제어신호)는 제1, 제2, 제3스위치(11, 12, 13)에 각각 인가되어 제1, 제2스위치(11, 12)를 턴-온시킴과 동시에 제3스위치(13)를 턴-오프시킨다.
제1, 제2스위치(11, 12)가 턴-온되고 제3스위치(13)가 턴-오프되면, 비데오신호는 VTR 일체형 텔레비젼(7)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비데오신호 입력단자(ⓘ)와 VTR(5)의 루프를 통하여 텔레비젼(6)과 전술한 외부 비데오신호 출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외부에서 영상반주기(도시되지 않았음)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비데오신호는 VTR(5)에서 직접 텔레비젼(6)에 인가된다. 한편, 외부에서 영상반주기(도시되지 않았음) 이외의 다른 기기 즉 캠코더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외부에서 인가된 외부 비데오신호를 VTR(5)에서 녹화한 후 유저의 요구에 따라 출력할 수도 있게 된다.
다음으로 영상반주기(도시되지 않았음)을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를 보면, 외부에서 인가된 모드전환신호(원격 제어신호 또는 유저의 조작신호)는 원격 제어신호 수신부(8)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9)를 통하여 온-오프 제어부(10)에 입력되고, 온-오프 제어부(10)는 외부에서 인가된 모드전환신호에 따라 제2 제어신호("로우"상태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온-오프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된 제2제어신호("로우"상태의 제어신호)는 제1, 제2, 제3스위치(11, 12, 13)에 각각 인가되어 제1, 제2스위치(11, 12)를 턴-오프시킴과 동시에 제3스위치(13)를 턴-온시킨다.
제1, 제2스위치(11, 12)가 턴-오프되고 제3스위치(13)가 턴-온되면, 비데오신호는 VTR 일체형 텔레비젼(7)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비데오신호 입력단자(ⓘ)로부터 직접 텔레비젼(6)에 인가된다.
한편, 외부에서 인가된 모드전환신호에 의해 제1, 제2 및 제3스위치(11, 12, 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오프 제어부(10)는 다음과 같이 구성 가능하다.
즉,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전압을 출력하는 정전압원(14)과, 모드전환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슬라이드스위치(15)로 구성하여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정전압원(14)으로부터 소정전압("하이"상태의 전압)이 제1, 제2 및 제3스위치(11, 12, 13)에 인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정전압원(14)과, 전술한 슬라이드 스위치(15)와, 입력신호가 "하이"상태이면 "하이"상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입력신호가 "로우"상태이면 "로우"상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플립플롭(D-Flip Flop:16), 및 전술한 디-플립플롭(16)의 출력을 증폭하는 구동소자(17)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4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유저가 조작이 가능하도록 VTR 일체형 텔레비젼(도시되지 않았음)의 전면에 장착된 슬라이드 스위치(9)의 상태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상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키 메트릭스(18)와, 키 메트릭스(18) 또는 전술한 원격제어신호 수신부(8)로부터 소정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9)와, 마이크로 컴퓨터(19)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소정크기로 증폭하는 구동소자(17)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VTR 일체형 텔레비젼의 내부에 간단한 보조회로를 추가함으로써, VTR 일체형 텔레비젼에 외부기기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저의 편리를 증대시킬 수 있고, VTR 일체형 텔레비젼의 외부형상이 변경되지 않으므로 안정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텔레비젼과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비데오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모드전환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모드전환신호 수신수단, 상기 모든전환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인가된 모드전환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 제어수단, 상기 온-오프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로부터 텔레비젼에 출력되는 비데오신호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수단, 상기 온-오프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로부터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 인가되는 비데오신호를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수단, 및 상기 온-오프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로부터 텔레비젼에 직접 인가되는 비데오신호를 스위칭하는 제3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 수신수단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원격 제어신호 수신수단과, 외부에서 유저가 직접 조작이 가능한 제4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제어수단은, 소정전압을 제공하는 정전압 발생수단과, 상기 모드전환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인가된 모드전환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5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정전압 발생수단과, 상기 제5스위칭수단과, 상기 제5스위칭수단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상기 정전압 발생수단으로부터 정전압을 인가받아 후단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플립플롭과, 상기 디-플립플롭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소정크기로 증폭하여 상기 제1, 제2, 제3스위칭수단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제4스위칭수단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키 메트릭스와, 상기 키 메트릭스와 상기 원격 제어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인가된 모드전환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제2, 제3스위칭수단을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소정크기로 증폭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 제어장치.
KR2019940029248U 1994-11-04 1994-11-04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제어장치 KR2001648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248U KR200164853Y1 (ko) 1994-11-04 1994-11-04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248U KR200164853Y1 (ko) 1994-11-04 1994-11-04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774U KR960018774U (ko) 1996-06-19
KR200164853Y1 true KR200164853Y1 (ko) 2000-01-15

Family

ID=1939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9248U KR200164853Y1 (ko) 1994-11-04 1994-11-04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8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774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2541A (en) Video/audio signal switching circuit and method
JPH07203302A (ja) ビデオ信号の自動選択回路
KR200164853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 일체형 텔레비젼의 입출력제어장치
JPH07203322A (ja) テレビのオーディオ及びビデオ信号の入出力装置
KR950015275A (ko) 콤퍼넌트식 소형 브이씨알
KR940002645B1 (ko) 다기능 가전제품의 전원공급장치
KR930005929Y1 (ko) 자동모드 절환회로
KR910004606Y1 (ko) 텔레비젼과 vtr의 신호 절환 회로
KR910006179Y1 (ko) Tv/s-vhs 모우드의 입력 제어회로
JP2503793Y2 (ja) システム機器の遠隔操作装置
JP2885330B2 (ja) 電源回路
JP3066535B2 (ja) 子画面出力ブランキング回路
KR930002031Y1 (ko) Tv/vcr 의 rf 모듈레이터 채널 절환 회로
JP3137994B2 (ja) 映像切換装置
JPH0149231B2 (ko)
JPH0519919Y2 (ko)
KR910007675Y1 (ko) 다기능 무선 마이크 장치
KR910006304Y1 (ko) 3모우드 절환 회로
JPH02131698A (ja) コマンダ装置
KR970072995A (ko) A/v기기 통합제어장치
KR960001315Y1 (ko) 텔레비젼에서의 오디오 비디오 모드 전환방지 회로
KR950007811Y1 (ko) 텔레비젼(tv) 수상기의 전원공급회로
KR100219139B1 (ko) 에이/브이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KR0122898Y1 (ko) 케이블 텔레비젼 입력단의 직류전압 출력회로
JP3244346B2 (ja) スイッチ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