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139B1 - 에이/브이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 Google Patents

에이/브이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139B1
KR100219139B1 KR1019960010863A KR19960010863A KR100219139B1 KR 100219139 B1 KR100219139 B1 KR 100219139B1 KR 1019960010863 A KR1019960010863 A KR 1019960010863A KR 19960010863 A KR19960010863 A KR 19960010863A KR 100219139 B1 KR100219139 B1 KR 100219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vision
power
input
microcomputer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2994A (ko
Inventor
최한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10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139B1/ko
Publication of KR970072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6Radio; T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8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v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V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텔레비젼은 기존에 비해 외부비디오입력을 다수개로 늘려서 텔레비젼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다른 A/V기기들을 모두 상호 접속가능토록 한다. 그리고, 하나의 송신기를 통해 텔레비젼에 상호 접속된 A/V기기를 제어하며, 텔레비젼의 전원이 연결된 A/V기기들에 연동하여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A/V기기들을 보다 간편하게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A/V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V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 텔레비젼의 뒷면조작부와 주변 A/V기기간의 상호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제1도 텔레비젼의 전원제어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송신기 12 : 마이콤
13 : 입력선택부 14 : 신호재생부
15 : 명령출력부 16 : 스위치부
본 발명은 텔레비젼(television; TV)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비젼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다른 오디오/비디오(audio/video; A/V)기기들을 통합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의 뒷면 조작부에는 안테나(antenna) 입력, 외부 비디오입력, S-VHS 입력, 모니터출력을 위하여 다수의 단자들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텔레비젼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A/V기기들과의 상호 접속을 위한 외부비디오입력으로는 2개가 있다. 그런데, 근래들어 가정마다 A/V기기들(예를 들어, VCR, LDP, CD-OK, CATV-CONVERTER, DBS-DECODER 등)의 보급 대수가 늘어남에 따라 2개의 외부비디오입력으로는 이를 모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A/V기기들을 사용하고자 할 때마다 텔레비젼의 외부비디오입력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 2종류의 A/V기기중 하나의 연결을 제거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다른 A/V기기를 연결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A/V기기들마다 고유의 송신기(remocon)로만이 제어가 가능하고, A/V기기 대수만큼의 송신기를 구비해야 하므로 사용 및 관리하는 데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텔레비젼의 외부비디오입력을 늘려서 A/V기기들과 모두 연결하고, 송신기 하나만으로 텔레비젼에 연결된 A/V기기들을 제어하는 A/V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A/V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은, A/V기기들과의 상호 접속을 위한 다수의 외부비디오입력단자와, 상기 외부비디오입력단자에 연결된 A/V기기들의 조작을 위한 하나의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에서 전송되는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다수의 외부비디오입력단자중 하나를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한 입력단자에 연결된 A/V기기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선택부와, 상기 입력선택부에서 출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재생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재생부, 및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인가되는 선택된 A/V기기에 대한 세부 명령을 강력한 적외선 파형의 신호(IR)로 전송하는 명령출력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A/V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1도에 나타낸 텔레비젼은 A/V기기들과의 모든 연결이 가능하도록 외부비디오입력(입력1~입력6)을 다수개 구비한다. 그리고, 다수의 외부비디오입력(입력1~입력6)을 선택하여 선택한 입력에 연결된 A/V기기로부터의 영상/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선택부(13)를 구비한다. 입력선택부(13)에는 입력되는 A/V기기로부터의 영상/음성신호를 재생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재생부(14)가 연결된다. 제1도의 텔레비젼은 또한, 외부비디오입력(입력1~입력6)에 연결된 A/V기기들을 조작하기 위한 하나의 송신기(11), 송신기(11)에서 전송되는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12), 및 마이콤(12)을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을 해당 A/V기기로 전송하는 명령출력부(15)를 구비한다. 마이콤(12)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AC전원을 입력받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16)와, 스위치부(16)를 통해 전달되는 AC전원을 텔레비젼에 연결된 A/V기기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AC전원출력(출력1~출력6) 다수개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A/V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에 대한 동작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는 제1도 텔레비젼(TV)의 뒷면조작부와 주변 A/V기기간의 상호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3도는 제1도 텔레비젼의 전원제어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제1도에서, 사용자는 소유한 A/V기기들을 각각 텔레비젼의 뒷면조작부에 있는 외부비디오입력들(입력1~입력6)과 AC전원출력들(출력1~출력6)에 임의적으로 연결한다. 제2도에서 보면, 텔레비젼(TV)의 뒷면조작부에는 영상 및 음성 좌·우 입력을 위한 단자들을 갖춘 입력1에서 입력6까지 있으며, 이중 입력4에서 입력6에는 S-VHS입력단자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외부 AC전원 입력을 위한 단자와, AC전원 출력을 위한 6개의 단자가 있다. 이 단자들은 외부 A/V기기와 상호 잭을 통하여 연결된다. 즉, VCR은 영상과 음성출력단자가 텔레비젼 입력4의 영상과 음성입력단자에 대응하게 접속되며, 텔레비젼 AC전원 출력단자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접속된다. 여기에서 S-VHS 출력을 가진 VCR을 가정하여 입력4의 S-VHS 입력으로 연결했으며, VCR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모노인 경우에는 음성 좌에 해당하는 입력단자에만 연결되고, 스테레오인 경우에는 음성 좌·우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LDP는 영상과 음성출력단자가 텔레비젼 입력1의 영상과 음성입력단자에 대응하게 접속되며, 텔레비젼 AC전원 출력단자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접속된다. 그리고, CD-OK는 영상과 음성출력단자가 텔레비젼 입력2의 영상과 음성입력단자에 대응하게 접속되며, 텔레비젼 AC전원 출력단자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접속된다.
이와 같이 텔레비젼(TV)에 A/V기기들을 연결한 후 사용자는 송신기(11)를 통하여 A/V기기와 텔레비젼 상호 연결상태를 마이콤(12)에 세팅한다. 그리고, 사용하고자 하는 A/V기기와 연결된 외부비디오입력을 선택하는 신호를 마이콤(12)으로 전송한다. 마이콤(12)은 송신기(1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입력 선택신호를 출력한다. 입력선택부(13)는 입력1에서 입력6까지중 하나의 입력을 마이콤(12)으로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하고, 그 입력단자와 연결된 A/V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음성신호를 신호재생부(14)로 전달한다. 신호재생부(14)는 입력되는 영상/음성신호를 재생처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취가능토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선택한 A/V기기에 대한 세부적인 명령(예를 들어 VCR의 경우, 전원 온(ON)/오프(OFF), 재생(play), 빨리감기, 되감기등)을 송신기(11)를 통하여 선택한다. 마이콤(12)은 선택된 A/V기기에 대하여 송신기(11)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에 해당하는 코드를 명령출력부(15)로 입력한다. 명령출력부(15)는 입력된 코드를 강력한 적외선 파형의 신호(IR)로 전송시킨다. A/V기기는 이 신호(IR)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한다.
한편, 텔레비젼에서 상호 접속된 다른 A/V기기들의 전원을 초기화하지 않으면 기기가 오동작할 수 있으므로, 텔레비젼에서 외부 AC전원을 입력받아 연결된 A/V기기들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한다. 즉, 외부로부터 AC전원이 인가되면, 스위치부(16)는 마이콤(12)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제어신호(CTL)에 따라 온(ON)/오프(OFF)상태가 되어 AC전원출력들(출력1~출력6)에 전원을 공급/차단한다. 제3도에서 보면, 스위치부(16)는 마이콤(12)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제어신호(CTL)가 로우(Low)레벨의 제1구간(T1)인 동안에는 오프(OFF)상태가 된다. 이때, 텔레비젼은 대기(stand-by)모드이고, 다른 A/V기기들에는 전원이 차단된다. 반면에, 전원제어신호(CTL)가 하이(High)레벨의 제2구간(T2)동안에는 온(ON)상태가 되어 텔레비젼은 전원 온(ON)상태이고 다른 A/V기기들에도 전원이 공급된다. 즉, 전원이 텔레비젼 전원에 연동하여 텔레비젼에 연결된 다른 A/V기기들에 공급되므로 A/V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V기기를 통합제어하는 텔레비젼은, 텔레비젼의 외부비디오입력을 2개에서 다수개로 확장하여 텔레비젼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다수의 A/V기기들을 모두 텔레비젼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하나의 송신기로 텔레비젼에 연결된 다른 A/V기기들을 통합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A/V기기들의 사용 및 관리가 간편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텔레비젼에 있어서, A/V기기들과의 상호 접속을 위한 다수의 외부비디오입력단자; 상기 외부비디오입력단자에 연결된 A/V기기들의 조작을 위한 하나의 송신기; 상기 송신기에서 전송되는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 상기 다수의 외부비디오입력단자중 하나를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한 입력단자에 연결된 A/V기기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선택부; 상기 입력선택부에서 출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재생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재생부; 및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인가되는 선택된 A/V기기에 대한 세부 명령을 강력한 적외선 파형의 신호(IR)로 전송하는 명령출력부를 포함하는 A/V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은 A/V기기들의 전원입력단자와의 상호 접속을 위한 다수의 전원출력단자; 및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온(ON)/오프(OFF)상태가 되어 입력되는 외부 AC전원을 상기 다수의 전원출력단자로 공급/차단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A/V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텔레비젼이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오프(OFF)시켜 A/V기기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상기 텔레비젼이 전원 온(ON)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온(ON)시켜 A/V기기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비디오입력단자는 최대 6개이며, 이중 3개는 S-VHS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외부비디오입력단자들에 연결된 A/V기기들에 대하여 상기 송신기를 통하여 입력받아 세팅하고, 상기 송신기를 통하여 선택되는 외부비디오입력단자에 해당하는 선택신호를 상기 입력선택부로 출력하며, 상기 송신기를 통하여 선택된 A/V기기에 대한 세부명령이 전송되면, 그에 해당하는 코드를 명령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KR1019960010863A 1996-04-10 1996-04-10 에이/브이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KR100219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863A KR100219139B1 (ko) 1996-04-10 1996-04-10 에이/브이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863A KR100219139B1 (ko) 1996-04-10 1996-04-10 에이/브이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994A KR970072994A (ko) 1997-11-07
KR100219139B1 true KR100219139B1 (ko) 1999-09-01

Family

ID=1945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863A KR100219139B1 (ko) 1996-04-10 1996-04-10 에이/브이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1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994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15911B2 (ja) コンポーネント音声/ビデオ・システム
US4817203A (en) Remote control system
US73867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to a first and second circuit based on an operational mode and connecting state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H0549156B2 (ko)
US8243208B2 (en) Selectable audio output configuration
JPH07203302A (ja) ビデオ信号の自動選択回路
JP4704562B2 (ja) 装置と周辺機器とのシステム
JP2000152349A (ja) 双方向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0219139B1 (ko) 에이/브이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KR100219140B1 (ko) 에이/브이기기 통합제어장치
JPH1093888A (ja) 電源電圧供給方法及びこの方法の実施に用いる受信機−デコーダ
JP3199084B2 (ja) Avシステム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
KR200150340Y1 (ko) 티브이 수상기 원격 제어 브이시알 시스템
US6212326B1 (en) Video tape or cassette recorder
JP2605702B2 (ja) Rfモジユレータユニツト
JP3311883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30005929Y1 (ko) 자동모드 절환회로
KR100405378B1 (ko) 차량용 듀얼타입 a/v기기의 원 마이콤 제어시스템
KR0135476Y1 (ko) 티브이시알의 신호입력 절환회로
JP2983680B2 (ja) オーディオ・ビデオ機器の相互接続制御システム
JPH01315064A (ja) 自動ビデオ信号切換回路
JPH0583646A (ja) Avセレクタ
JPH02131698A (ja) コマンダ装置
KR20000045178A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후면 오디오/비디오 잭 입출력 방향 전환장치
JPH04344354A (ja) リモコ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