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547Y1 - 방송중비상신호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방송중비상신호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547Y1
KR200164547Y1 KR2019990013636U KR19990013636U KR200164547Y1 KR 200164547 Y1 KR200164547 Y1 KR 200164547Y1 KR 2019990013636 U KR2019990013636 U KR 2019990013636U KR 19990013636 U KR19990013636 U KR 19990013636U KR 200164547 Y1 KR200164547 Y1 KR 200164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broadcast
emergency signal
signal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호테크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호테크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호테크놀
Priority to KR2019990013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5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5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AM/FM 방송 도중에 비상 신호 송출시 기존 방송 신호에 영향 없이 비상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송중 비상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출되는 방송파를 이용하면서도 방송파에 관계없이 비상 경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이와같은 가청 주파수대의 특성을 이용하여 정규 방송중에 방송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비상 신호 송출 주파수를 확보하여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송중 비상 신호 송,수신 장치 {Transmission and Receiver Apparatus of Emergency Signal on the Air}
본 고안은 기존 AM/FM 방송 도중에 비상 신호 송출시 기존 방송 신호에 영향없이 비상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송중 비상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출되는 방송파를 이용하면서도 방송파에 관계없이 비상 경보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출원인이 창출하여 특허 공고된 '비상 방송 자동 수신 및 사이렌 경보 자동 취명 제어 방법'(공고 번호 : 95-3962 호)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수신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발생하는 엔코더(1)를 구비하고, 상기, 엔코더(1)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측 디코더(2)에 해당 경보 신호를 송출하는 AM/FM 방송 송출 장비(3)로 구성된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서 송출되는 신호의 수신 제어 코드를 분석하여 기존의 AM/FM 수신기(4)를 송출되는 신호의 수신 제어 코드를 분석하여 기존의 AM/FM 수신기(4)를 통하여 경보 방송을 행하도록 하는 수신부로 구성하여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제어 코드를 별도의 비상 방송 전용 라디오 수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여 비상 방송 수신을 자동적으로 온,오프 제어시킴과 동시에 사이렌 경보음을 자동적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중 LP1∼LPn은 표시램프, K1∼Kn은 키입력 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 비상 신호 송,수신 방법은 기존의 방송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비상 제어 코드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방식으로 송,수신하도록 하는 것이어서, AM/FM 방송 송출 장비를 일시 정지(OFF)시킨후 비상 신호를 송신하지 않으면 비상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일시적이나마 AM/FM 방송을 오프시켜야 하는 번거러움과 AM/FM 방송 주파수대와 겹쳐지는 비상 방송 주파수의 송출에 의해 비상 신호 송출 시스템 오동작을 유발함은 물론 AM/FM 방송에 악영향을 주게 되고, 특히 잡음 신호에 의해 비상 경보음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비상 신호를 기존 방송파에 실려 송출하도록 하되 기존 방송 신호와 관계없이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비상 신호 송출시 방송신호에 영향없이 비상 경보를 울릴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사람의 귀는 보통 20HZ∼15K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음을 청취할 수 있으나, 20HZ 부근과 15KHZ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일반적으로 청취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음악을 듣거나 대화를 할 경우에는 25HZ 부근과 18KHZ 이상의 신호를 청취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가청 주파수대의 특성을 이용하여 정규 방송중에 방송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비상 신호 송출 주파수를 확보하여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비상 신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서, AM 저주파수를 이용하여 코드화한 송신신호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FM 고주파수를 이용하여 코드화한 송신 신호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엔코더 2 : 디코더
3 : AM/FM 방송송출장비 4 : AM/FM 수신기
일반적으로 AM 방송 송신장치에 있어서는 25HZ∼8KHZ의 밴드폭을 사용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FSK 방식으로 25HZ 이하의 주파수대를 활용하도록 하며 필요로 하는 변조도는 약 20% 부근으로 한다.
그리고, FM 방송 송신 장치에 있어서는 모노에서 25HZ∼15KHZ 대역과 스테레오(STEREO)에서 23KHZ∼53KHZ 중간에 위치하는 19KHZ의 파일럿 신호(Pilot: 단일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하는 좁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활용하는 것이다. 즉, 15KHZ∼19KHZ/ 19KHZ∼23KHZ 사이의 빈공간 주파수 19KHZ에서 ± 약 2K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거나 23KHZ 이상의 부반송파(SUB CARRIER)를 FSK 또는 PCM 방식으로 전송토록 하며 이때의 변조도는 약 10% 미만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M 방송 주파수 대역중 25HZ이하의 저주파수대와 FM 방송 주파수 대역중 18KHZ 이상의 고주파수대를 AM/FM 방송 송출 장비에서 온/오프시켜 디지탈화(코드화)하여 FSK 또는 PCM 방식으로 비상 신호를 전송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AM 방송 주파수 대역중 청취자가 청취 불능한 25HZ이하의 저주파수와 FM 방송 주파수 대역중 청취자가 청취 불능한 18KHZ∼21KHZ나 23KHZ 이상의 부반송파(SUB CARRIER)의 고주파를 디지탈화하여 FSK 또는 PCM 방식으로 비상 신호를 전송케 함으로써 AM/FM 방송 주파수가 송출되는중 언제라도 AM/FM 방송에 관계없이 비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비상 신호 송출시 일시적으로 AM/FM 방송을 오프시켜야 하는 번거러움이 해소되고, 기존 방송 신호에서 비상 신호로 절환시 발생되는 오동작은 물론 '삐'소리와 같은 이상음이 발생되는 등의 잡은 유발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비상 사태등이 긴급히 발생될때 AM/FM 수신기를 청취하고있는 청취자에게 긴급히 비상 경보음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AM/FM 수신기가 동작되고 있는 도중 AM/FM 방송에 영향없이 비상 경보음이 오동작없이 울릴 수 있어 비상 사태등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기존 방송 주파수대에 영향을 주지 않는 AM 저주파수와 FM 고주파수를 디지탈화하여 FSK 또는 PCM 방식으로 전송케함으로써, 기존 방송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지 않더라도 비상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되어 AM/FM 방송 송출 장비의 일시 정지 동작에 따른 번거러움을 해소하고, 기존 방송도중 언제라도 비상 경보가 잡음없이 울릴 수 있도록 되므로 민방위 훈련 또는 실제 상황에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엔코더(1), 디코더(2), AM/FM 방송송출장비(3) 및 AM/FM/수신기(4)로 구비하여 비상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AM/FM 방송 주파수 대역중 저주파수대(25HZ이하)와 고주파수{(18KHZ∼21KHZ대나 23KHZ 이상의 부반송파(SUB CARRIER)}를 디지탈화하여 FSK 또는 PCM 방식으로 비상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중 비상 신호 송,수신 장치.
KR2019990013636U 1999-07-12 1999-07-12 방송중비상신호송,수신장치 KR200164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636U KR200164547Y1 (ko) 1999-07-12 1999-07-12 방송중비상신호송,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636U KR200164547Y1 (ko) 1999-07-12 1999-07-12 방송중비상신호송,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547Y1 true KR200164547Y1 (ko) 2000-02-15

Family

ID=1958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636U KR200164547Y1 (ko) 1999-07-12 1999-07-12 방송중비상신호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5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9370C (en) Variable speaker muting based on received data
US5572194A (en) Broadcast receiver and signal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led using RDS data
WO1982001970A1 (en) In-band signaling system for fm transmission systems
GB2418803A (en) Emergency digital broadcast message transmitter system
KR20070083859A (ko) 터널이나 교량과 같은 영역으로 긴급 메시지를 송신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S58182327A (ja) 無放声接続された警告情報受信機の受信準備状態を制御する装置
KR200164547Y1 (ko) 방송중비상신호송,수신장치
JP2008178028A (ja) 告知放送システム、および受信端末装置
KR100336321B1 (ko) 방송중비상신호송,수신방법
JPH0159777B2 (ko)
US20060121896A1 (en) Method for user identification in a CTCSS bas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0173718B1 (ko) 특정 방송주파수를 이용한 tv전원 및 채널 콘트롤 시스템
JP2004064723A (ja) 鉄道用ワイヤレス放送装置
JP6437594B1 (ja) 同報通信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信号送信方法
JPS6320194Y2 (ko)
JPS5912852Y2 (ja) 警報装置
JPS6137817B2 (ko)
WO2008142530A2 (en) Apparatus for the simultaneous broadcast of an analog and digital signal
JPH0731635Y2 (ja) 着信報知機構
KR200391084Y1 (ko) 스테레오 무선 헤드폰의 채널 세팅장치
JPS62147824A (ja) 緊急警報放送受信システム
JP2007201769A (ja) 告知放送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送信機
JPS6313578B2 (ko)
JPS5994940A (ja) 放送番組の選別記録方式
JPH01220590A (ja) Catv告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