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344Y1 - 차량의 냉각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냉각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344Y1
KR200164344Y1 KR2019990014062U KR19990014062U KR200164344Y1 KR 200164344 Y1 KR200164344 Y1 KR 200164344Y1 KR 2019990014062 U KR2019990014062 U KR 2019990014062U KR 19990014062 U KR19990014062 U KR 19990014062U KR 200164344 Y1 KR200164344 Y1 KR 200164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compressor
oil
oil separato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이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호 filed Critical 이광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4Control means therefor for improving the lubrication of a refrigerant compressor i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송용 냉동, 냉장 및 냉방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냉각기 라인에 유분리기를 연결함으로써 냉각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압축기의 토착화를 방지시킬 수 있는 차량의 냉각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압축기(12)가 연결 설치되고 이 압축기(12)에 윤활유와 냉매를 분리시킬 수 있는 유분리기(10)를 고압배관인 압축기 연결파이프(40)와 윤활유 회수배관인 오일 유출파이프(42)로 연결시키며 응축기(14)를 응축기 연결파이프(38)로 유분리기(10)와 연결 설치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14)는 증발기(16)와 연결시키되 응축기(14)와 증발기(16) 사이에 팽창밸브(46)를 설치하고 증발기(16)는 저압배관(48)을 통해 압축기(12)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유분리기(10)는 상·하부에 각각 기체유출구(26)가 형성된 응축기 연결부(34)와 오일방출구(32)가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연결부(36a)를 형성하고 일측부에 오일유출구(30)가 형성된 압축기 연결부(36)를 형성하되 이 오일유출구(30)는 횡방향으로 형성한다.
또한, 유분리기(10) 내부 상단에 원통형 철망(18)을 고정시키고 하단부에 압력감소부(44)를 고정시키되 이 압력감소부(44) 외측에 오일유입구(28)와 오일방출구(32)가 형성된 모세관(20)을 피복시키며 유분리기(10) 내부 중앙에 깔대기(22)를 일체화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냉각기 장치{Cooling apparatus for cars}
본 고안은 수송용 냉동, 냉장 및 냉방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냉각기 라인에 유분리기를 연결함으로써 냉각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압축기의 토착화를 방지시킬 수 있는 차량의 냉각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 장치는 압축기(compressor)가 엔진에 연결 설치되어 있고 응축기(condenser)와 증발기(eveporator)가 압축기와 서로 연결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압축기(compressor)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며 증발기에서 저압 기체로 된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로 보내는 작용을 한다. 압축기는 증발기 내의 냉매 압력을 낮은 상태로 유지시키며, 냉매의 온도가 0℃가 되더라도 계속 증발하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상온에서도 쉽게 액화할 수 있는 압력까지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다.
상기, 응축기(condenser)는 압축기에서 공급된 기체 냉매의 열을 대기중으로 방출시켜 냉매로 만드는 일종의 방열기로서 내압 45kg/㎠ 정도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방출열이 많을수록 좋다. 압축기에서 보내진 고온·고압의 냉매는 외기의 온도에 의해 냉각되어 액화시킨 다음 리시버 드라이어에 보내진다.
상기, 증발기(eveporator)는 액체의 냉매가 기체의 냉매로 변화되는 곳으로서 기화열에 의해 증발기가 저온이 된다. 저온이 된 증발기 주위를 공기가 통과하면서 낮은 온도로 열교환을 가져오게 되며, 낮은 온도의 공기를 차실내로 강제 압송시켜 쾌적한 온도를 유지하게 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냉각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압축기의 토착화가 안될뿐만 아니라 압축기가 눌러붙어 작동이 안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며 또한 증발기의 효율이 감소하게 되어 냉각기의 성능이 떨어지게 됨과 과다한 연료비가 소요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증기중에는 윤활유(oil)가 미립자(微粒子)의 상태로 혼입된다. 이렇게 윤활유가 혼입된 냉매가 응축 및 냉각기에 유입되면 냉각관 표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응축기 및 증발에 전열을 방해하므로 냉매증기의 응축 및 증발에 장애를 주며 팽창밸브에서는 냉매에 따라 동결될 수 있다. 윤활유가 동결되면 팽창밸브의 기능이 저하되며 심한 경우에는 유로가 막혀 냉매가 증발기로 전혀 유입되지 않는 문제점과 응축기 및 증발기에서도 유막을 형성하여 증발온도가 상승하며 냉동능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의 냉각 장치에 있어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증기중에 윤활유가 많거나 압축기에서 응축기까지 배관이 긴 경우 증발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유분리기를 설치하여야한다.
상기, 유분리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하는 고압측 부속장치로서 압축된 냉매증기로부터 윤활유를 분리시켜 냉매만이 순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고압의 냉매증기는 유분리기속에서 유동 속도가 급격히 감소하므로 일종의 소음기(消音器) 역할도 하며 사판식 압축기인 경우 고압냉매에 맥동(脈動)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하므로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윤활유와 냉매를 분리할 수 있는 유분리기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압축기의 토착화를 꾀할 수 있으며 응축 및 증발에 냉각효율을 10 ∼ 15%로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의 냉각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압축기와 응축기 및 증발기가 서로 연결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유분리기를 연결 설치하되 이 유분리기 상·하 및 일측부에 응축기 연결부와 압축기 연결부를 형성하고 유분리기 내부 상단에 원통형 철망을 고정시킴과 내부 하단에 압력 감소부와 모세관을 설치한 냉각기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유분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을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유분리기 내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압력감소부와 모세관을 나타낸 절단면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분리기(oil separator) (12) : 압축기(compressor)
(14) : 응축기(condenser) (16) : 증발기(eveporator)
(18) : 원통형 철망 (20) : 모세관
(22) : 깔대기 (26) : 기체유출구
(28) : 오일유입구 (30) : 오일유출구
(32) : 오일방출구 (34) : 응축기 연결부
(36,36a) : 압축기 연결부 (38) : 응축기 연결파이프
(40) : 압축기 연결파이프 (42) : 오일 유출파이프
(44) : 압력감소부 (46) : 팽창밸브
(48) : 저압배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유분리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2 는 본 고안을 나타낸 정면예시도를,
도 3 은 본 고안의 유분리기 내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를,
도 4 는 본 고안의 압력감소부와 모세관을 나타낸 절단면예시도를,
도 5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냉동,냉장 차량 및 일반 차량에 설치되는 냉각기 장치에 있어서, 차량 엔진으로부터 압축기(12)가 연결 설치되고 이 압축기(12)에 윤활유와 냉매를 분리시킬 수 있는 유분리기(10)를 고압배관인 압축기 연결파이프(40)와 윤활유 회수배관인 오일 유출파이프(42)로 연결시키며 응축기(14)를 응축기 연결파이프(38)로 유분리기(10)와 연결 설치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14)는 증발기(16)와 연결시키되 응축기(14)와 증발기(16) 사이에 팽창밸브(46)를 설치하고 증발기(16)는 저압배관(48)을 통해 압축기(12)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유분리기(10)는 상·하부에 각각 기체유출구(26)가 형성된 응축기 연결부(34)와 오일방출구(32)가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연결부(36a)를 형성하고 일측부에 오일유출구(30)가 형성된 압축기 연결부(36)를 형성하되 이 오일유출구(30)는 횡방향으로 형성한다.
또한, 유분리기(10) 내부 상단에 원통형 철망(18)을 고정시키고 하단부에 압력감소부(44)를 고정시키되 이 압력감소부(44) 외측에 오일유입구(28)와 오일방출구(32)가 형성된 모세관(20)을 피복시키며 유분리기(10) 내부 중앙에 깔대기(22)를 일체화한 구성으로 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엔진의 작동에 의해 압축기(12)가 구동되어 압축기(12)의 고압측에서 고압배관인 압축기 연결파이프(40)에 연결되어 있는 유분리기(10)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입되게 된다.
이때, 압축된 냉매증기 중에 윤활유(oil)가 미립자 상태로 혼입되고 유분리기(10)의 오일유출구(30)로 들어온 냉매는 횡형의 구멍으로 되어 있어 고온 고압의 냉매는 원통형 철망(18)으로 한바퀴 돌게 되어 있다.
또한, 고압냉매(기체)는 응축기 연결부(34)의 기체유출구(26)를 통해 응축기(14)로 유입되고 윤활유는 원통형 철망(18)에 부착되어 깔대기(22)를 통하여 밑으로 흘러 내린다.
상기, 밑으로 고인 윤활유는 가느다란 모세관(20)의 오일유입구(28)를 통해 오일방출구(32)로 방출되게 되고 이때, 모세관(20)을 통과하므로 인하여 350psi의 고압이 25psi의 저압으로 변환된다.
상기, 기체유출구(26)를 통하여 유출된 고온·고압의 기체는 응축기(14)로 유입되게 되고 이때 응축기(14)에 의해 고압의 기체가 저온·저압으로 변환되어 팽창밸브(46)를 통해 증발기(16)로 유입되며 증발기(16)에서 차량 내부로 저온의 공기를 차량 내부와 압축기(12)로 강제 압송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되는 냉각기 장치에 있어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유분리기를 설치하되 이 유분리기는 내부 상·하에 각각 원통형 철망과 압력감소부 및 모세관을 설치하고 압축기와 응축기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를 형성하여 설치함으로써 유분리기로부터 오일과 냉매를 분리하여 배출시키므로 인하여 압축기의 토착화를 꾀할 수 있으며 또한, 응축기 및 증발기의 효율을 10 ∼ 15% 증가시켜 연료 절감 및 냉동, 냉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수송용 냉동,냉장 차량 및 일반 차량에 설치되는 냉각기 장치에 있어서, 차량 엔진으로부터 압축기(12)가 연결 설치되고 이 압축기(12)에 윤활유와 냉매를 분리시킬 수 있는 유분리기(10)를 고압배관인 압축기 연결파이프(40)와 윤활유 회수배관인 오일 유출파이프(42)로 연결시키며 응축기(14)를 응축기 연결파이프(38)로 유분리기(10)와 연결 설치함과 응축기(14)는 증발기(16)와 연결시키되 응축기(14)와 증발기(16) 사이에 팽창밸브(46)를 설치하고 증발기(16)는 저압배관(48)을 통해 압축기(12)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리기(10)는 상·하부에 각각 기체유출구(26)가 형성된 응축기 연결부(34)와 오일방출구(32)가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연결부(36a)를 형성하고 일측부에 오일유출구(30)가 형성된 압축기 연결부(36)를 형성하되 이 오일유출구(30)는 횡방향으로 형성함과 또한, 유분리기(10) 내부 상단에 원통형 철망(18)을 고정시키고 하단부에 압력감소부(44)를 고정시키되 이 압력감소부(44) 외측에 오일유입구 (28)와 오일방출구(32)가 형성된 모세관(20)을 피복시키며 유분리기(10) 내부 중앙에 깔대기(22)를 일체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기 장치.
KR2019990014062U 1999-05-26 1999-07-16 차량의 냉각기 장치 KR20016434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065 1999-05-2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065 Division 1999-05-26 1999-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344Y1 true KR200164344Y1 (ko) 2000-02-15

Family

ID=1957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062U KR200164344Y1 (ko) 1999-05-26 1999-07-16 차량의 냉각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34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075B1 (ko) * 2001-05-14 2007-11-16 한라공조주식회사 오일분리기 일체형 응축기
KR101594952B1 (ko) * 2015-02-25 2016-02-1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채칼이 내장된 도마
KR20210000715A (ko) * 2020-05-13 2021-01-05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사이클론 방식의 냉동 차량용 유분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075B1 (ko) * 2001-05-14 2007-11-16 한라공조주식회사 오일분리기 일체형 응축기
KR101594952B1 (ko) * 2015-02-25 2016-02-1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채칼이 내장된 도마
KR20210000715A (ko) * 2020-05-13 2021-01-05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사이클론 방식의 냉동 차량용 유분리기
KR102319230B1 (ko) * 2020-05-13 2021-10-29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사이클론 방식의 냉동 차량용 유분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108B2 (en) Unit for refrigerant cycle device
US7694528B2 (en) Heat exchanging apparatus
US20020139136A1 (en) Refrigerated intercooler
KR20020033515A (ko) 상 분리를 갖는 냉장 시스템
KR20060040606A (ko) 냉동 시스템
JPH1194380A (ja) 冷凍サイクル
US20050204772A1 (en) Receiver-dryer for improving refrigeration cycle efficiency
KR100718972B1 (ko) 유증기 액화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유증기 액화 장치
JP4400522B2 (ja) エジェクタ式冷凍サイクル
US5490397A (en) Water removing device in refrigerating system
US6145326A (en) Forced oil cooling for refrigeration compressor
US20070144206A1 (en) Pressure reducer module with oil separator
KR200164344Y1 (ko) 차량의 냉각기 장치
US10948220B2 (en) Two-stage compressor
JP5478927B2 (ja) 冷凍装置
US4870834A (en) Vapor pressure-adjusting valve and refrigeration system using same
JP2008133996A (ja) 車両用冷房装置
JPH0960986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766356B2 (ja) 家庭用冷蔵庫用の二重蒸発器付き冷凍システム
KR100398123B1 (ko) 자동차의 에어컨 시스템용 오일 분리장치
CN2826301Y (zh) 蒸汽压缩式制冷系统
JPS62276375A (ja) 冷凍装置
JPS6038845Y2 (ja) 車両用冷房冷凍装置
KR1014892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547756U (ja) 自動車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