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819Y1 - 폴더타입휴대용단말기의홀스터 - Google Patents

폴더타입휴대용단말기의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819Y1
KR200163819Y1 KR2019990013949U KR19990013949U KR200163819Y1 KR 200163819 Y1 KR200163819 Y1 KR 200163819Y1 KR 2019990013949 U KR2019990013949 U KR 2019990013949U KR 19990013949 U KR19990013949 U KR 19990013949U KR 200163819 Y1 KR200163819 Y1 KR 200163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ster
portable terminal
terminal
fixing
fold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3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8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8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 양단에 각각 위치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하측상에 위치되는 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된 홀스터상에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를 구비한 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양측면상의 소정의 위치에는 각각 로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홀스터의 측면부에는 일정 탄성력을 갖도록 텐션리브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텐션리브의 내측면상에는 돌출된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로킹홈상에 상기 고정돌기가 안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홀스터에 고정되는 구성을 갖게된다.

Description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Holster For Folder Type Portable Radiotelephone}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손쉽게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휴대가 편리하도록 홀스터(Holster)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홀스터의 후면상에는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하기 위한 벨트클립(Belt Clip)등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홀스터는 일반적으로 단말기를 안착부에 삽입시킬때, 일정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으며, 이는 홀스터의 자체구조로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가 홀스터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단말기가 장착되는 방향이나, 장착과정에서 발생되는 외관의 긁힘등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장착방식들이 경주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 타입 휴대폰이 장착된 홀스터를 도시한 측면도로써, 홀스터(100)의 내측면상에 폴더타입 휴대폰(200)을 장착하게 되면 전면부가 먼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의 후면부(202)가 외측에서 보이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홀스터(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부(101)는 상기 장착된 폴더 타입 휴대폰(200)의 상부면을 가압 지지하므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홀스터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순 고정구조로 형성된 홀스터에 폴더 타입 단말기가 장착되면, 전면부가 먼저 삽입되기 때문에 전면부 및 측면부가 긁힘등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후면부가 먼저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착시, 전면부 및 측면부가 긁힘등에 의해 손상을 입지 않도록 구성되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 양단에 각각 위치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하측상에 위치되는 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된 홀스터상에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양측면상의 소정의 위치에는 각각 로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홀스터의 측면부에는 일정 탄성력을 갖도록 텐션리브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텐션리브의 내측면상에는 돌출된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로킹홈상에 상기 고정돌기가 안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홀스터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 타입 휴대폰이 장착된 홀스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 타입 휴대폰이 장착된 홀스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홀스터(Holster) 11: 몸체
12: 측면부 13: 안착부
14: 텐션리브 15: 고정돌기
200: 휴대용 단말기 201: 전면부
203: 로킹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 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10)는 일정 형상의 몸체(11)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측면부(12)와, 상기 측면부의 하측상에 위치되는 안착부(13)로 구성된다. 따라서, 단말기가 상기 홀스터(10)에 장착되면, 상기 단말기의 하측은 상기 안착부(13)에 안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단말기의 후면부는 몸체(11)에, 양 측면부는 상기 홀스터(10)의 측면부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홀스터(10)의 측면부(12) 적소에는 텐션리브(1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 텐션리브(14)의 내측면상에는 일정 형상의 고정돌기(15)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의 양측면상에는 상기 고정돌기(15)가 삽입 안착될 수 있는 로킹홈(203)이 형성된다. 상기 로킹홈(203)은 상기 단말기(200)를 충전기에 안착시 고정시키는 역할도 겸용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 몸체(11)의 상측부에는 상기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200)가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상측면 일부를 덮도록 다수번 절곡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된 단말기(200)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홀스터(10)의 몸체(11)에는 장착된 단말기의 후면부를 가압하기 위한 텐션리브(17)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홀스터(10)에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게 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200)는 전면부(201)가 보이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단말기의 후면부는 상기 홀스터의 몸체(11)와 접하게 된다. 그후, 상기 단말기를 좀더 강하게 몸체쪽으로 밀게 되면, 상기 홀스터(10) 측면부(12)에 형성된 텐션리브(14)는 상호 외측으로 약간 벌어지면서 상기 텐션리브(14)의 고정돌기(15)는 상기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로킹홈(203)에 안착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홀스터(10)의 몸체(11)에 형성된 텐션리브(17) 역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부에 의해 뒤로 밀려 일정 텐션을 받으면서 상기 단말기를 보조로 가압하는 상태가 되어 더욱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홀스터(10)의 상측에 형성된 지지부(16)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단말기가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는 상기 단말기의 전면이 보이도록 장착함과 동시에 양측면에 형성된 로킹홈에 의해 고정되기때문에 장착상태가 미려하며, 착탈과정에서 외관이 긁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 양단에 각각 위치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하측상에 위치되는 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된 홀스터상에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양측면상의 소정의 위치에는 각각 로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홀스터의 측면부에는 일정 탄성력을 갖도록 텐션리브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텐션리브의 내측면상에는 돌출된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로킹홈상에 상기 고정돌기가 안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홀스터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전면이 보이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측에는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상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각도로 절곡된 지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된 단말기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홀스터의 몸체에는 장착된 단말기의 후면부를 가압하기 위한 텐션리브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홀스터.
KR2019990013949U 1999-07-15 1999-07-15 폴더타입휴대용단말기의홀스터 KR200163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949U KR200163819Y1 (ko) 1999-07-15 1999-07-15 폴더타입휴대용단말기의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949U KR200163819Y1 (ko) 1999-07-15 1999-07-15 폴더타입휴대용단말기의홀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819Y1 true KR200163819Y1 (ko) 2000-02-15

Family

ID=1958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949U KR200163819Y1 (ko) 1999-07-15 1999-07-15 폴더타입휴대용단말기의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8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3514C (en) Housing and holder assembly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EP0871262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ard having surface contact point
KR200163819Y1 (ko) 폴더타입휴대용단말기의홀스터
JP2002134934A (ja) 移動通信機用のストラップ固定構造
KR200179950Y1 (ko) 휴대폰용 홀스터
KR200317101Y1 (ko) 에스.아이.엠 카드 소켓
KR200179929Y1 (ko) 휴대폰용 홀스터
US11863696B2 (en) Communications handset cradle attachment
CN212572650U (zh) 一种带有支架的手机保护套
KR200291135Y1 (ko)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폰 배터리 착탈장치
KR200342234Y1 (ko)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
KR10033021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100258763B1 (ko)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US20040013265A1 (en) Cellular phone holding device
KR100259054B1 (ko) 무선단말기 거치대의 로킹 모듈
KR20000014213U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고정장치
KR200214546Y1 (ko) 셀룰러폰 케이스용 클립
KR1005935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JP2937872B2 (ja) 携帯用機器のホルダー構造
JP3046302U (ja) 携帯電話の取付け具
KR200162182Y1 (ko) 고정형 무선전화기의 수납케이스 홀더
KR200207724Y1 (ko) 기밀유지 수단을 갖는 물에 뜨는 핸드폰 케이스
KR200176222Y1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거치대
KR200177012Y1 (ko) 핸드폰의 벨트 클립장치
JPH1062566A (ja) 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