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054B1 - 무선단말기 거치대의 로킹 모듈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 거치대의 로킹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054B1
KR100259054B1 KR1019980005513A KR19980005513A KR100259054B1 KR 100259054 B1 KR100259054 B1 KR 100259054B1 KR 1019980005513 A KR1019980005513 A KR 1019980005513A KR 19980005513 A KR19980005513 A KR 19980005513A KR 100259054 B1 KR100259054 B1 KR 10025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module
cradle
ho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0580A (ko
Inventor
위종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054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단말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거치대(Cradle)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로킹 모듈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단말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무선단말기를 견고하게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로킹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구와, 상기 거치구의 양단에서 연장 형성한 측면가이드를 구비한 무선단말기의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이드에 모듈홈을 형성하고, 상기 모듈홈에는 상단이 개구된 로커홀을 형성한 모듈 박스와, 상기 모듈 박스의 로커홀에 단차진 전단부가 삽입되는 로커와, 상기 로커의 후면에서 연장되어 후방홀에 삽입되는 후방리브와, 상기 후방리브에 삽입되어 상기 모듈 박스 후측면에 지지되는 제1스프링과, 상기 개구된 모듈 박스의 상면을 덮는 상측덮개로 구성 결합된 로킹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거치대에 이용된다.

Description

무선단말기 거치대의 로킹 모듈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단말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거치대(Cradle)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로킹 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에 이용되는 무선단말기의 종류에는 휴대폰, 시티폰 및 PCS 등이 있다. 이러한 무선단말기는 사용자가 어느 장소에서나 휴대하여 이용가능한 반면, 차량이나 탁상에 거치하여 핸드 프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무선단말기가 거치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무선단말기가 거치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거치대(60)에는 측면 양쪽에 걸림쇠(6)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걸림쇠(6)는 양쪽에서 대향하도록 한쌍의 탄성부(9)와 지지부(8)를 갖는 토션스프링(7)에 설치되면, 상기 한쌍의 탄성부 상부로는 외향적으로 직교되고, 직교된 단부가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쇠(6)가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7)은 거치대 몸체에 형성된 힌지(5)에 결합되어 탄성부(9)에 탄지되고, 상기 지지부(8)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거치대(60)에 무선단말기(70)를 거치하면, 먼저 토션스프링(7)에 의해 반원형의 매끈한 표면처리가 된 걸림쇠(6)가 후방으로 후퇴한다. 이어, 상기 걸림쇠(6)는 일단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토션스프링(7)의 탄지력에 의해 무선단말기의 양측면에 형성한 걸림홈(2)에 결합한다.
한편, 최근들어 무선단말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점차 소형화, 경량화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돌출거리가 한정된 걸림쇠(6)로 무선단말기(70)를 고정하는 종래의 거치대(60)에 그대로 소형화된 무선단말기를 거치할 경우, 상기 걸림쇠가 무선단말기의 걸림홈(2)에 제대로 걸리지 않게 된다.
즉, 무선단말기를 거치대에 거치하더라도 걸림쇠에 의해 제대로 무선단말기가 고정되지 않게 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무선단말기의 모델이 바뀔 때마다 새로 거치대를 제작해야 하였다. 따라서, 별도의 거치대 제작에 따른 물자낭비는 물론 거치대의 추가구입에 따른 소비자의 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단말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무선단말기를 견고하게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로킹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걸림홈을 형성한 무선단말기와, 상기 무선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구와, 상기 거치구의 양단에서 연장 형성한 측면가이드를 구비한 무선단말기의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가이드에는 각각 모듈홈을 형성하고, 상기 모듈홈에는 각각 상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후방홀과 양측면에 다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며 전면에 상단이 개구된 로커홀을 형성한 모듈 박스와, 상기 모듈 박스의 로커홀에 단차진 전단부가 삽입되는 로커와, 상기 로커의 후면에서 연장되어 후방홀에 삽입되는 후방리브와, 상기 후방리브에 삽입되어 상기 모듈 박스 후측면에 지지되는 제1스프링과, 상기 걸림홈과 결합하도록 양측단에 다수개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개구된 모듈 박스의 상면을 덮는 판 모양의 상측덮개로 구성 결합된 로킹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무선단말기가 거치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무선단말기가 거치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모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로킹 모듈이 장착된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로킹 모듈이 장착된 거치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무선단말기가 거치된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8a는 무선단말기가 거치대에 거치되지 전의 로킹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
도 8b는 무선단말기가 거치대에 거치될 때의 로킹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로킹 모듈 31 : 모듈 박스
40 : 로커 41 : 후방리브
42 : 측방리브 43 : 제1스프링
44 : 제2스프링 50 : 상측덮개
60 : 거치대 70 : 무선단말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단말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거치대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로킹 모듈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모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킹 모듈(30)은, 상면이 개구되고 일측면에 길게 형성한 측방홀(34)과 후면에 길게 형성한 후방홀(33)과 양측면 상측에 다수개의 걸림홈(35)을 형성하며 전면에 상단이 개구된 로커홀을 형성한 모듈 박스(31)와, 상기 모듈 박스의 로커홀(32)에 단차진 전단부가 삽입되는 로커(4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로커(40)의 후면에서 연장되어 후방홀에 삽입되는 후방리브(41)와, 상기 로커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측방홀에 삽입되는 측방리브(42)와, 상기 후방리브와 측방리브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모듈 박스(31)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1스프링 (43) 및 제2스프링(44)과, 상기 걸림홈과 결합하도록 양측단에 다수개의 걸림턱(51)을 형성하여 개구된 모듈 박스의 상면을 덮는 판 모양의 상측덮개(50)로 구성 결합된다.
도 4는 로킹 모듈이 장착된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로킹 모듈이 장착된 거치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무선단말기가 거치된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a는 무선단말기가 거치대에 거치되지 전의 로킹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b는 무선단말기가 거치대에 거치될 때의 로킹 모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로킹 모듈(30)이 장착되는 무선단말기 거치대(6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거치대(60)는, 무선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한 거치구(22)와, 상기 거치구의 양단에서 연장 형성한 측면가이드(23)를 구비한다. 상기 양 측면가이드에는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파인 모듈홈(모듈 박스가 장착된 위치에 형성)을 각각 형성한다.
본 발명의 로킹 모듈(30)은, 상기 거치대의 측면가이드(23)에 형성한 모듈홈에 모듈 박스를 삽입 결합함으로써 거치대(60)에 장착된다. 즉, 상기 양쪽 측면가이드에 장착된 로킹 모듈의 로커(40)가 거치대 안쪽으로 대향되게 돌출하도록 모듈 박스(31)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로킹 모듈이 장착된 거치대(60)의 거치구(22)에 도 5의 a방향으로 무선단말기(70)를 장착하면, 상기 무선단말기의 측면에 밀려 상기 모듈 박스의 로커(40)가 c 방향으로 밀린다.
이어, 무선단말기(70)의 걸림홈(2)이 형성된 위치까지 무선단말기를 거치구에 밀어넣으면, 상기 걸림홈에 로커(40)의 단부가 삽입된다. 즉, 상기 로커(40)의 후방리브에 삽입된 제1스프링(43)과 로커의 측방리브에 삽입된 제2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로커(40)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면서 로커의 단부가 무선단말기의 걸림홈(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 거치대의 로킹 모듈은 무선단말기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로커의 직선운동에 의한 돌출로 인해 무선단말기를 견고하게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의 모델 변화에 관계없이 하나의 거치대로 무선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어, 물자절약 및 소비자의 거치대 구입부담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걸림홈을 형성한 무선단말기와, 상기 무선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구와, 상기 거치구의 양단에서 연장 형성한 측면가이드를 구비한 무선단말기의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가이드에는 각각 모듈홈을 형성하고,
    상기 모듈홈에는 각각 상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길게 형성한 후방홀과 양측면에 다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며 전면에 상단이 개구된 로커홀을 형성한 모듈 박스와,
    상기 모듈 박스의 로커홀에 단차진 전단부가 삽입되는 로커와,
    상기 로커의 후면에서 연장되어 후방홀에 삽입되는 후방리브와,
    상기 후방리브에 삽입되어 상기 모듈 박스 후측면에 지지되는 제1스프링과,
    상기 걸림홈과 결합하도록 양측단에 다수개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개구된 모듈 박스의 상면을 덮는 판 모양의 상측덮개로 구성 결합된 로킹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 거치대의 로킹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박스의 일측면에 길게 형성한 측방홀과,
    상기 로커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측방홀에 삽입되는 측방리브와,
    상기 측방리브에는 일단이 상기 모듈 박스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2스프링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 거치대의 로킹 모듈.
KR1019980005513A 1998-02-21 1998-02-21 무선단말기 거치대의 로킹 모듈 KR100259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513A KR100259054B1 (ko) 1998-02-21 1998-02-21 무선단말기 거치대의 로킹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513A KR100259054B1 (ko) 1998-02-21 1998-02-21 무선단말기 거치대의 로킹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580A KR19990070580A (ko) 1999-09-15
KR100259054B1 true KR100259054B1 (ko) 2000-06-15

Family

ID=1953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513A KR100259054B1 (ko) 1998-02-21 1998-02-21 무선단말기 거치대의 로킹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0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580A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2405U (ko) 휴대폰홀더
KR100259054B1 (ko) 무선단말기 거치대의 로킹 모듈
KR2008003649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착탈장치
US7333607B2 (en) Replaceable panel device for a handset
KR20030043308A (ko) 외장 교체형 보조 하우징 및 이를 채용한 플립-형 겸용바-형 무선 단말기
KR200483415Y1 (ko) 꾸미기가 용이한 핸드폰 케이스
US804570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jig system
JP2005093219A (ja) 外部端子構造
CN212572650U (zh) 一种带有支架的手机保护套
KR20060004224A (ko)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247015B1 (ko) 휴대폰 거치대의 커넥터 모듈
KR200385670Y1 (ko) 이어마이크 어셈블리
JP2007306104A (ja) 携帯端末及びその装飾パネル
KR200336284Y1 (ko) 셀룰러폰용 이어폰잭의 슬라이드커버
KR200261806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덮개 구조
KR19990037840U (ko) 무선단말기의 크레이들 구조
KR20000014213U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고정장치
KR200235265Y1 (ko) 휴대폰 리셉터클 개폐장치
KR200308186Y1 (ko) 휴대용단말기의플립장치
KR19990019603U (ko) 휴대폰 거치대 겸용 컵홀더
KR200179929Y1 (ko) 휴대폰용 홀스터
KR200172287Y1 (ko) 휴대용통신단말기의커버장치
KR200362717Y1 (ko) 교체가용이한수신부카바
KR200357568Y1 (ko) 삽입형 악세사리 고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378918Y1 (ko) 액세사리 교체가 용이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