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763B1 -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763B1
KR100258763B1 KR1019970080601A KR19970080601A KR100258763B1 KR 100258763 B1 KR100258763 B1 KR 100258763B1 KR 1019970080601 A KR1019970080601 A KR 1019970080601A KR 19970080601 A KR19970080601 A KR 19970080601A KR 100258763 B1 KR100258763 B1 KR 10025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wireless terminal
dummy
charging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377A (ko
Inventor
정병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0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763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더미의 장착만으로 하나의 충전기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Dummy)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별도로 작은 충전기를 사용할 필요없는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충전구에 안착부와 텐션부를 구비한 더미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충전기에 이용된다.

Description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더미의 장착만으로 하나의 충전기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Dummy)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무선단말기의 충전기(10)는, 중앙에 경사진 충전구(11)를 구비한 거치대(14)와, 상기 충전구의 하측에서 돌출한 충전단자(12)와, 상기 거치대의 전방 하측에 형성한 표시램프(13)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구(11)의 상단 양측면에는 걸림돌기(15)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거치대의 후방 내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밧데리 하우징을 장착한다.
상기 충전기의 충전구(11)에 무선단말기(도시되지 않음)를 거치하면, 무선단말기의 양측면에 형성한 걸림홈에 상기 충전구의 걸림돌기(15)가 삽입되고, 상기 무선단말기의 하측에 형성한 연결단자와 충전기의 충전단자(12)가 상호 접촉하여 무선단말기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표시램프(13)를 통해 무선단말기의 충전상황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무선단말기는 점차 소형화, 경량화하는 추세임에 반해, 위와 같은 충전기는 무선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지면 사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무선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지면 충전구에 형성한 걸림돌기가 무선단말기의 걸림홈에 삽입될 수 없고, 따라서 무선단말기가 충전기 내에서 고정되지 않으므로 충전기의 충전단자와 무선단말기의 연결단자간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별도로 작은 충전기를 사용할 필요없는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충전구를 구비한 거치대와, 상기 충전구의 하측에서 돌출한 충전단자와, 상기 거치대의 후방에 장착되는 밧데리하우징으로 구성된 무선단말기의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충전구에는, 곡면을 이룬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양측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한 측판과, 상기 측판의 내측에는 일단만이 측판에서 연장된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한 텐션돌기로 이루어진 더미가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충전기와 더미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더미가 장착된 무선단말기의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전기 11 : 충전구
20 : 밧데리 하우징 30 : 더미(Dummy)
31 : 안착부 32 : 측판
33 : 텐션부 34 : 텐션돌기
35 : 걸림턱 36 : 상측 연장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더미의 장착만으로 하나의 충전기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Dummy)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충전기와 더미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더미가 장착된 무선단말기의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충전기(10)는, 중앙에 경사진 충전구(11)를 구비한 거치대(14)와, 상기 충전구의 하측에서 돌출한 충전단자(12)와, 상기 거치대의 후방에 장착되는 밧데리하우징(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14)의 충전구(11)에는, 곡면을 이룬 안착부(31)와,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서 연장 형성한 상측 연장부(36)와, 상기 상측 연장부의 양 모서리 하단에서 연장 형성하여 상기 밧데리하우징의 일측면에 걸리는 걸림턱(35)과, 상기 안착부의 양측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한 측판(32)과, 상기 측판의 내측에는 일단만이 측판에서 연장된 텐션부(33)와, 상기 텐션부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한 텐션돌기(34)로 이루어진 더미(30, Dummy)가 장착된다.
상기 더미(30)는 곡면을 이룬 안착부(31)의 후측면이 충전구(11)의 곡면에 밀착하고, 상기 걸림턱(35)이 거치대 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밧데리하우징(20)의 일측면에 걸림으로써, 충전기의 충전구(11)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더미가 장착된 충전기에 무선단말기를 거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더미의 장착으로 폭이 좁아진 충전구에 무선단말기를 꽂는다. 이어, 상기 무선단말기의 양측면에 형성한 걸림홈에 더미의 측판에 형성한 텐션부의 텐션돌기가 삽입되면서 무선단말기가 고정된다.
이때, 무선단말기의 하단에 형성한 연결단자가 충전기의 충전단자와 접하므로써 무선단말기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는 충전시키기 위한 무선단말기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더미의 장착만으로 하나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어, 크기별 충전기 제작에 따른 자원낭비 및 사용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중앙에 충전구를 구비한 거치대와, 상기 충전구의 하측에서 돌출한 충전단자와, 상기 거치대의 후방에 장착되는 밧데리하우징으로 구성된 무선단말기의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4)의 충전구(11)에는, 곡면을 이룬 안착부(31)와, 상기 안착부의 양측단에서 수직으로 각각 연장 형성한 측판(32)으로 이루어진 더미(30, Dummy)가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내측에는 일단만이 측판에서 연장된 텐션부(33)와, 상기 텐션부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한 텐션돌기(3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서 연장 형성한 상측 연장부(36)와, 상기 상측 연장부의 양 모서리 하단에서 연장 형성하여 상기 밧데리하우징의 일측면에 걸리는 걸림턱(3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KR1019970080601A 1997-12-31 1997-12-31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KR10025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601A KR100258763B1 (ko) 1997-12-31 1997-12-31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601A KR100258763B1 (ko) 1997-12-31 1997-12-31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377A KR19990060377A (ko) 1999-07-26
KR100258763B1 true KR100258763B1 (ko) 2000-06-15

Family

ID=1953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601A KR100258763B1 (ko) 1997-12-31 1997-12-31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622B1 (ko) * 2000-02-22 2002-06-05 이형도 배터리충전기의 배터리삽입케이스 유동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377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9495B2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a mobile telephone
US7123886B2 (en) Handheld mobile phone with a detachable battery pack
JPH05328621A (ja) 充電器装置
KR100258763B1 (ko)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US11803103B2 (en) Photographic lamp chuck compatible with different lamp holders
KR20029723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와 배터리팩 결합장치
KR100256924B1 (ko) 휴대전화 충전장치의 충전물 고정판 구조와 고정 브라켓트 구조
CN217522866U (zh) 一种带有散热功能的手机支架
JPH11127231A (ja) 移動電話機用交流充電器
CN110138902B (zh) 移动终端
KR200214705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비상용 수은전지 삽입장치
KR100313140B1 (ko) 휴대폰의배터리팩로킹장치
KR100365799B1 (ko) 휴대폰용 충전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20028010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착구조
KR20010036549A (ko)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KR200323922Y1 (ko) 휴대폰
KR200369579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
KR20033590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
KR20030028609A (ko) 휴대단말기의 듀얼모드 전원공급장치
KR19990085923A (ko) 무선전화기의 보조전원 공급장치
KR200229090Y1 (ko) 무선전화기용 충전기
KR20000021342U (ko) 전지팩의 슬롯을 가진 휴대폰
KR20000026061A (ko) 바-타입 변환 휴대폰
KR19990028025U (ko) 바테리팩 록킹장치
KR20030056778A (ko) 전원의 꺼짐이 없는 배터리 교체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