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904Y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904Y1
KR200335904Y1 KR20-2003-0029251U KR20030029251U KR200335904Y1 KR 200335904 Y1 KR200335904 Y1 KR 200335904Y1 KR 20030029251 U KR20030029251 U KR 20030029251U KR 200335904 Y1 KR200335904 Y1 KR 200335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charging
charging devi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9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9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단자와 충전기의 단자를 접속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충전기 자체가 단말기에 대한 예비배터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의 충전단자 주연부와, 상기 배터리 충전단자와 접속하도록 접속단자가 구비된 충전장치의 상기 접속단자 주연부가 자석에 의한 고정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장치는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전원연결단자를 그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는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연결단자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Battery Charger Combination Structure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제공되는 충전장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단자와 충전장치의 단자를 접속시키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충전장치 자체가 단말기에 대한 예비 배터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면에 결합되는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때, 상기 배터리팩의 용량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가능 시간에 차이를 보이긴 하지만, 모든 배터리팩은 단말기를 일정 시간 사용시 완전 방전되어 더 이상의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방전된 단말기의 배터리팩을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같은 충전장치는 비교적 부피가 커서 휴대에 불편이 따르는 것이므로, 여행시에 보다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단말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여행용 충전장치(Travel Charger)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을 위해 제공되는 종래 여행용 충전장치의 경우,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단자와 충전기의 전원접속단자가 상호 접속되도록 단말기 배터리와 충전장치를 결합하는 것이 스프링이나 별도의 후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즉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장치의 리셉터클에 삽입하는 형태였다.
이에 따라, 여행용 충전장치를 사용하여 단말기의 배터리를 반복적으로 충전하면 단자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충전기가 스프링이나 후크 등 단말기와 고정되기 위한 여러 부속을 구비하게 되어 충전기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동시에 외관상으로 미려하지 못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배터리 충전장치의 결합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충전장치의 단자나 단말기 케이스에 파손이 발생하는 현상이 적극 방지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말기 3 : 배터리
5 : 충전단자 7 : 금속체
10 : 충전장치 12 : 하우징
14 : 접속단자 16 : 전원연결단자
18 : 충전지 접속공간 19 : 자석
20 : 충전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의 충전단자 주연부와, 상기 배터리 충전단자와 접속하도록 접속단자가 구비된 충전장치의 상기 접속단자 주연부가 자석에 의한 고정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단말기 배터리팩의 충전단자는 단말기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인입된 형태로 제공되고, 충전장치의 접속단자는 충전장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플러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충전장치의 접속단자가 상기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단자에 삽입된체 충전장치와 단말기 배터리의 접촉부가 자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장치는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전원연결단자를 그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는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연결단자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특징적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해서,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단말기와 충전장치 간의 단자를 접속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단말기와 충전장치의 접속 과정에서 단말키 케이스 훼손이나 단자의 파손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의 배터리(3)를 충전하기 위해 제공되는 충전장치(10)는 하우징(12)의 일면에 상기 단말기 배터리(3)의 충전단자(5)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14)가 제공되며, 이때 상기 접속단자(14)의 주연에 자석(20)이 설치된다.
그리고, 단말기 배터리(3)에는 상기 충전장치(10)의 접속단자(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충전단자(5)가 구비되며, 이때 상기 충전단자(5)의 주연에는 상기 충전장치(10)에 설치된 자석(19)과 대응하도록 금속체(7)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 배터리(3)의 충전단자(5) 주연에 자석(19)을 설치하고, 상기 충전장치(10)의 접속단자(14) 주연에 금속체(7)가 설치되도록 하여도 무방하겠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서, 단말기(1)의 충전단자(5)에 충전장치(10)의 접속단자(14)를 접속시, 상기 단말기(1)의 충전단자(5)가 충전장치(10)의 접속단자(14)에 접촉됨과 동시에 단자들의 주연부는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단말기(1)와 충전장치(10)는 상호 결합된다. 즉, 충전장치(10)를 그 접속단자(14)가 단말기 배터리(3)의 충전단자(7)에 접촉하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단말기(1)와 충전장치(1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충전장치(10)에 제공되는 접속단자(14)는 충전장치(10)의 하우징(12) 표면에서 일정 길이 돌설되는 플러그의 형태로 구성되고, 단말기 배터리(3)에 제공되는 충전단자(5)는 배터리(3) 케이스 내부로 일정 깊이 인입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충전장치(10)의 플러그형 접속단자(14)가 상기 단말기 배터리(3)의 충전단자(5)로 삽입 접속된체 자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장치(10)는 그 하우징(12)에 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전원연결단자(16)를 구비한 독립된 구조로 제공되어, 상기 전원연결단자(16)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면서 그 접속단자(14)를 통해 단말기 배터리(3)의 충전단자(5)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장치(10)는 내측에 충전지 접속공간(18)을 구비하여, 이같은 충전지 접속공간(18)에 충전지(20)를 내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장치(10)는 접속단자(14)를 통해 단말기 배터리(3)의 충전단자(5)로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충전지 접속공간(18)에 내장된 충전지(20)가 동시에 충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장치(10)의 상기 충전지 접속공간(18)에 내장된 충전지(20)는 그 충전시 충전장치(10)의 접속단자(14)를 통해 단말기(1)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필요시 상기 충전지 접속공간(18)에 충전지 대신에 건전지를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같이 충전장치(10)가 그 충전지 접속공간(10)에 내장되는 충전지(20) 내지는 건전지에 의해 단말기(1)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음에 따라, 충전장치(10)는 그 자체가 단말기(1)에 대한 일종의 예비배터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말기와 충전장치의 단자 접속을 포함한 결합과정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며, 충전장치가 단말기에 대한 예비배터리의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전원의 확보가 여의치 못한 공간에서 단말기를 보다 장시간 동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의 충전단자 주연부와, 상기 배터리 충전단자와 접속하도록 접속단자가 구비된 충전장치의 상기 접속단자 주연부가 자석에 의한 고정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배터리팩의 충전단자는 단말기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인입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충전장치의 접속단자는 충전장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플러그 형태로 이루어져,
    충전장치의 접속단자가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단자에 삽입된체 충전장치와 단말기 배터리의 접촉부가 자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전원연결단자를 그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는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연결단자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3 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내측에 충전지 접속공간을 구비하여, 단말기 배터리를 충전시 상기 충전지 접속공간에 내장된 충전지가 함께 충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의 충전지 접속공간에 내장된 충전지는 충전장치의 접속단자를 통해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
KR20-2003-0029251U 2003-09-15 2003-09-15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 KR200335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251U KR200335904Y1 (ko) 2003-09-15 2003-09-15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251U KR200335904Y1 (ko) 2003-09-15 2003-09-15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904Y1 true KR200335904Y1 (ko) 2003-12-11

Family

ID=4942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251U KR200335904Y1 (ko) 2003-09-15 2003-09-15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9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822B1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CA2561810A1 (en) Apparatus for powering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20050066696A (ko) 무선이어폰 충전어댑터
GB2461247A (en) Charger having connection switch for portable devices
NZ527050A (en) Back-up battery for a cellular telephone
US20030091894A1 (en) Mobile phone battery
JPH01254043A (ja) 充電機能付携帯無線機用置台
CN210807386U (zh) 一种无线耳机收纳充电手机壳
US5625271A (en) Battery charger adapter and method therefor
KR20033590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결합구조
CN215264398U (zh) 一种智能手表
JPH07315138A (ja) 携帯電話機ホルダー
KR200385075Y1 (ko) 휴대전화 충전용 커넥터 수납 구조체
KR20090001494U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장치
KR200411025Y1 (ko)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겸용 휴대 충전기
KR101955772B1 (ko) 휴대폰과 연결 가능한 결합부재를 갖는 보조배터리
KR20200130098A (ko) 카드형 무선충전기
KR200404743Y1 (ko)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
CN213754608U (zh) 电子设备保护壳及电子设备
KR20026380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공급용 보조 배터리팩
CN218940724U (zh) 一种收纳式的手机充电装置
CN215378476U (zh) 一种无线充移动电源
CN219717951U (zh) 一种无线充电主体件、配件和组件
KR200299005Y1 (ko) 배터리팩의 외부전원 접속 커넥터
KR200297080Y1 (ko) 휴대폰용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