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140B1 - 휴대폰의배터리팩로킹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배터리팩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140B1
KR100313140B1 KR1019980057864A KR19980057864A KR100313140B1 KR 100313140 B1 KR100313140 B1 KR 100313140B1 KR 1019980057864 A KR1019980057864 A KR 1019980057864A KR 19980057864 A KR19980057864 A KR 19980057864A KR 100313140 B1 KR100313140 B1 KR 100313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rocker
main body
locking devic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1854A (ko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140B1/ko
Publication of KR20000041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후면의 장착부상에 안착홈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착탈가능한 배터리팩 및 상기 배터리팩을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장치로 구성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배터리팩의 전방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한 로커하우징과, 상기 로커하우징 안착부의 하측면상에 안착후 그 단부가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상기 안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걸림편이 적소에 형성된 로커 및 상기 로커하우징 안착부내에 삽입되어 상기 로커의 걸림편을 외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본체의 후면상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배터리팩의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소형 단말기는 통신기술의 발달과 병행하여 점차 소형화됨과 동시에 좀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도록 발전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소형 단말기(핸드폰)는 전원장치로 별도의 착탈이 가능한 배터리팩을 사용하고 있으며, 핸드폰 본체와 분리하여 별도의 충전기에 충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은 본체에 장착될 때, 체결수단인 로킹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본체에 로킹수단을 구비하는 타입과, 배터리팩 자체에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타입으로 양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휴대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배터리팩이 장착된 휴대폰의 부분단면도이다.
상기 배터리팩 자체에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타입은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커(11)를 구비하며 착탈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배터리팩(10)과, 상기 배터리팩(10)이 장착되는 핸드폰 본체(20)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팩(10)의 하측면 일단에는 다수의 걸림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15)와 상응하는 상기 본체 후면상의 배터리팩 장착부(21)에는 다수의 걸림홈(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 하측면 타단에는 장착방향으로 걸림편(13a)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로커(11)가 일정 텐션을 받도록 설치되며, 상기 걸림편(13a)과 맞닿는 상기 본체의 장착부(21)상에는 상기 걸림편(13a)이 삽입될 수 있는 안착홈(21a)이 형성된다.
상기 로커(11)는 사용자가 전후로 유동시킬 수 있는 판형의 레버부(12)와, 걸림편(13a)을 구비한 판형의 자유단(13)이 상기 레버부(12)의 하측면상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유단(13)은 일정한 곡형부(A)를 이루면서 상기 배터리팩(10)의 하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로커(11)는 상기 배터리팩(10)의 하부프레임(또는 하부커버)과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곡형부(A)는 텐션을 가지며 상기 로커(11)의 걸림편(13a)을 본체(20)의 안착홈(21a)방향으로 미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커(11)를 구비한 배터리팩(10)을 핸드폰 본체(20)의 후면상에 장착할때에는 우선, 상기 배터리팩(10)의 걸림부(15)를 본체 후면상에 형성된 걸림홈(25)에 상응하도록 끼운후, 그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배터리팩(10)을 하측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그후, 상기 로커(11)의 걸림편(13a)이 상기 본체의 안착홈(21a)에 안착되면서 상기 배터리팩(10)은 본체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충전등의 목적으로 상기 배터리팩(10)을 본체(20)에서 이탈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로커(11)의 레버(12)를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게되며, 상기 로커 자유단(13)의 걸림편(13a)은 그 하측의 곡형부(A)를 중심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본체 안착홈(21a)에서 이탈되는 상태가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배터리팩(10)을 당기면 이탈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터리팩에 텐션을 갖는 곡형부를 중심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로커는 사용자의 빈번한 사용에 따라 피로(Fatigue)가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로커가 부러지거나 테션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휴대폰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빈번한 사용에도 항상 정확한 로킹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면의 장착부상에 안착홈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착탈가능한 배터리팩 및 상기 배터리팩을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장치로 구성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배터리팩의 전방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한 로커하우징과, 상기 로커하우징 안착부의 하측면상에 안착후 그 단부가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상기 안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걸림편이 적소에 형성된 로커 및 상기 로커하우징 안착부내에 삽입되어 상기 로커의 걸림편을 외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휴대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이 장착된 휴대폰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가 배터리팩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휴대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이 휴대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배터리팩 101: 로커하우징
110: 로커 120: 스프링
130: 힌지핀 140: 본체
141: 장착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로킹장치가 배터리팩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휴대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이 휴대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팩 로킹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배터리팩(100)에 구성된다. 상기 로킹장치는 배터리팩(100)의 전방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101a)를 구비한 로커하우징(101)과, 상기 로커하우징에 안착되어 하측으로 중심으로 유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걸림편(112a)을 구비한 로커(110)와, 상기 안착부(101a)에 설치되어 상기 로커(110)를 장착방향으로 밀어주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커하우징(101)의 안착부(101a) 하측에는 힌지구멍(10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에는 상기 로커(110)의 걸림편(112a)이 돌출될 수 있도록 상단부보다 낮은 단차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로커(110)는 사용자가 조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판형의 레버부(111)와, 상기 레버부(111)의 하측면상에 수직으로 형성된 판형의 자유단(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편(112a)은 상기 자유단(112)의 전방 적소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유단(112)의 하단부는 원형의 힌지암(112)으로 형성되어 힌지구멍(113a)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로커(110)를 상기 로커하우징(101)의 안착부(101a)에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안착부내에 자유단(112)이 안착되고, 레버부(111)를 상기 로커하우징(101)의 상측으로 돌출시키는 상태가 되며, 걸림편(112a)은 상기 단차부(10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 스프링(120)은 상기 로커하우징(101) 안착부(101a)내의 자유단(112)과 배터리팩(100)의 측면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자유단(112)을 외측으로 밀게되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스프링(120)의 척력에 의해 상기 자유단에 형성된 걸림편(112a)은 상기 로커하우징(101)의 단차부(102)에서 외측으로 항상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로커하우징(101)에 형성된 힌지구멍(103)과 상기 로커(110)의 자유단(112)에 형성된 힌지암(113)의 힌지구멍(113a)을 통해 힌지핀(130)을 삽입 고정시키므로써 상기 로커(110)는 상기 로커하우징(101)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140)의 상기 로커(110)의 걸림편(112a)과 접촉하는 부분에 안착홈(141a)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112a)이 상기 안착홈(141a)에 안착되므로써 원활한 로킹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로킹장치가 설치된 배터리팩을 본체에 장착하게 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부(105)를 본체(140) 후면상의 장착부(141)상에 형성된 걸림홈(145)에 상응하도록 끼운후, 그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배터리팩(100)을 하측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그후, 상기 로커(110)의 걸림편(112a)이 상기 본체의 안착홈(141a)에 안착되면서 상기 배터리팩(100)은 본체(140)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충전등의 목적으로 상기 배터리팩(100)을 본체에서 이탈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로커(110)의 레버(111)를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게되면, 상기 로커 자유단(112)의 걸림편(112a)은 그 하측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본체 안착홈(141a)에서 이탈되는 상태가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배터리팩(100)을 당기면 이탈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는 로커를 배터리팩의 프레임과 분리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동작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항상 원활한 로킹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후면의 장착부상에 안착홈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착탈가능한 배터리팩 및 상기 배터리팩을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장치로 구성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배터리팩의 전방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한 로커하우징;
    상기 로커하우징 안착부의 하측면상에 안착후 그 단부가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상기 안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걸림편이 적소에 형성된 별도의 로커;
    상기 로커하우징 안착부내에 삽입되어 상기 로커의 걸림편을 외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단부에 힌지구멍을 갖는 힌지암이 형성되고, 전방 중앙에는 걸림편이 형성된 판형의 자유단과, 상기 자유단의 상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판형의 레버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로커하우징의 안착부에 안착된후, 상기 로커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로커 자유단의 힌지암에 형성된 힌지구멍을 통해 힌지핀이 삽입됨으로써 힌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팩 로킹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로커하우징의 안착부내의 로커와 배터리팩 측벽사이에 척력을 갖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팩 로킹장치.
KR1019980057864A 1998-12-23 1998-12-23 휴대폰의배터리팩로킹장치 KR100313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864A KR100313140B1 (ko) 1998-12-23 1998-12-23 휴대폰의배터리팩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864A KR100313140B1 (ko) 1998-12-23 1998-12-23 휴대폰의배터리팩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854A KR20000041854A (ko) 2000-07-15
KR100313140B1 true KR100313140B1 (ko) 2002-02-19

Family

ID=1956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864A KR100313140B1 (ko) 1998-12-23 1998-12-23 휴대폰의배터리팩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1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511A (ja) * 1996-06-19 1998-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機の電池ロックバ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511A (ja) * 1996-06-19 1998-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機の電池ロックバ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854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67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JP2000349875A (ja)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KR100313140B1 (ko) 휴대폰의배터리팩로킹장치
KR200200933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
JPH0743941Y2 (ja) 電池パックの着脱構造
JP2004214969A (ja) 携帯電子機器
KR20010098100A (ko) 삽입형 이어-마이크로폰
KR100790111B1 (ko) 휴대형 무선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255431Y1 (ko) 슬롯형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되는 휴대폰 본체
KR100260750B1 (ko) 무선단말기의 밧데리 장착장치
KR100365799B1 (ko) 휴대폰용 충전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20010000067U (ko) 충전기의 무선 단말기 고정 장치
KR100256924B1 (ko) 휴대전화 충전장치의 충전물 고정판 구조와 고정 브라켓트 구조
KR100258763B1 (ko)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JP3458061B2 (ja) 充電器
JPH07273849A (ja) 充電端子構造
KR200292165Y1 (ko) 휴대폰용 밧데리의 이탈구조
KR10033021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100790101B1 (ko) 휴대형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21495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200214705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비상용 수은전지 삽입장치
JPH10336906A (ja) 充電台
KR20030080272A (ko) 휴대폰의 배터리 결합구조
KR20040044568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셀 타입 배터리팩 로킹장치
JPH10112940A (ja) 充電装置、充電装置用の中継器、およびスイッチ付き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