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922Y1 - 휴대폰 - Google Patents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922Y1
KR200323922Y1 KR20-2003-0017129U KR20030017129U KR200323922Y1 KR 200323922 Y1 KR200323922 Y1 KR 200323922Y1 KR 20030017129 U KR20030017129 U KR 20030017129U KR 200323922 Y1 KR200323922 Y1 KR 200323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battery
main body
fixing screw
phon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김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현 filed Critical 김창현
Priority to KR20-2003-0017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본체의 후면부에 배터리고정나사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배터리고정나사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나사홈을 배터리의 일측 판면에 형성하여 휴대폰본체와 배터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본체와 배터리의 결합구조를 보다 단순화하여 휴대폰본체에 배터리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본체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는 휴대폰에 전원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러한 배터리는 그 크기에 따라 다양한 용량을가지며 휴대폰의 사용시간에 적합한 배터리로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휴대폰본체에 장착한 상태로 충전하거나, 또는 휴대폰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휴대폰본체에 배터리를 결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20)의 타단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21)를 휴대폰본체(10)의 후면부 일단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11)에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 배터리(20)를 휴대폰본체(10)의 후면부측으로 밀착시켜 휴대폰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딩작동되는 배터리고정걸이(12)가 배터리(20)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다. 반대로, 휴대폰본체(10)로부터 배터리(2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한손으로 배터리고정걸이(12)를 슬라이딩시켜 휴대폰본체(10)와 배터리 (20)의 결합을 해제한 다음, 다른 손으로 배터리(20)의 양측을 잡고 당기면 분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의 경우 사용중 또는 휴대시에 휴대폰본체(10)를 떨어뜨리거나 오랜 기간동안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면 휴대폰본체(10)의 걸림홈 (11) 주변부위 또는 배터리(20)의 걸림돌기(21)가 파손되어 휴대폰본체(10)와 배터리(20) 사이의 결합부에 틈이 생기게 됨으로써 배터리(20)와 휴배폰본체(10) 사이에 전기적인 접촉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휴대폰의 사용중 또는 휴대시 휴대폰에 공급되는 전원이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꺼져버리게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휴대폰의 경우 배터리(20) 착탈시 한손으로 휴대폰본체 (10)및배터리고정걸이(12)를 잡고 다른 손으로 배터리(20)를 착탈시켜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20)의 착탈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본체와 배터리 사이의 결합부에 틈이 생겨 배터리와 휴배폰본체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한손으로 배터리 착탈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에 배터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에 결합되는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폰본체 110 ; 배터리고정나사
120 ; 배터리수용홈 130 ; 걸림돌기
200 ; 배터리 210 ; 나사홈
220 ; 걸림홈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은 휴대폰본체; 상기 휴대폰본체의 일측 판면에 마련되어 외향돌출되는 배터리고정나사; 및 일측 판면에 상기 배터리고정나사에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폰본체의 후면부에는 양측이 개구된 원형의 배터리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수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터리고정나사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폰본체의 후면부에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의 일측 판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융기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의 타측 판면에는 휴대폰본체와 배터리의 착탈시 손가락을 삽입가능한 한 쌍의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휴대폰은 크게 통화 또는 문자메세지를 송수신가능한 일반적인 휴대폰본체(100)와; 휴대폰본체(100)의 후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배터리고정나사(110)와; 배터리고정나사(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홈(210)이 형성된 배터리(200)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폰본체(100)의 후면부에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개구된 배터리수용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용홈(120)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배터리고정나사(110)가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구비되어 외향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고정나사(110) 주위의 판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30)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고정나사(110)의 양측에는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걸림돌기(130)가 각각 형성되며, 배터리고정나사 (110)의 상부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걸림돌기(13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휴대폰본체(100)의 후면부에는 배터리(200)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배터리(200)는 휴대폰본체(100)의 배터리수용홈(120)에 수용가능하도록 전체적으로 원형을 가지며, 일측 판면의 중심부에는 휴대폰본체(100)의 배터리고정나사 (110)에 결합되는 나사홈(2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홈(210) 주위의 판면에는 휴대폰본체(100)의 걸림돌기(130)가 삽입결합되는 복수의 걸림홈(220)이 기준 판면에 대해 융기되어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30)를 휴대폰본체(100)의 배터리수용홈(120)에 형성하고, 걸림홈 (220)을 배터리(200)의 일측 판면에 형성하였으나, 걸림돌기(130)를 배터리(200)의 일측 판면에 형성할 수도 있고, 걸림홈(220)을 휴대폰본체(100)의 배터리수용홈 (120)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휴대폰본체(100)의 배터리수용홈(120)과 배터리(200)의 일측 판면에 걸림돌기(130)와 걸림홈(220)을 적절히 혼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걸림돌기(130)와 걸림홈(220)을 형성하지 않고, 배터리고정나사 (110)만으로 휴대폰본체(100)와 배터리(20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배터리(200)의 타측 판면에는 한 쌍의 손가락삽입홈(230)이 상호 이격거리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폰본체(100)의 배터리수용홈(120)에 배터리(200)를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하고, 배터리(200)고정시 걸림홈(220)에 걸림돌기(130)가 삽입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200)와 휴대폰본체(100) 사이에 전기적인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손으로도 휴대폰본체(100)와 배터리(200)를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은 휴대폰본체의 후면부에 배터리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본체와 배터리 사이의 결합부에 틈이 생겨 배터리와 휴배폰본체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손으로도 배터리의 착탈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본체와 배터리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하므로 휴대폰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Claims (4)

  1. 휴대폰본체(100);
    상기 휴대폰본체(100)의 일측 판면에 마련되어 외향돌출되는 배터리고정나사 (110); 및
    일측 판면에 상기 배터리고정나사(110)에 결합되는 나사홈(210)이 형성된 배터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본체(100)의 후면부에는
    양측이 개구된 원형의 배터리수용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수용홈(120)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터리고정나사(1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본체(100)의 후면부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30)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200)의 일측 판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30)가 삽입되는 복수의 걸림홈(220)이 융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0)의 타측 판면에는
    휴대폰본체(100)와 배터리(200)의 착탈시 손가락을 삽입가능한 한 쌍의 손가락삽입홈(2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KR20-2003-0017129U 2003-05-31 2003-05-31 휴대폰 KR200323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129U KR200323922Y1 (ko) 2003-05-31 2003-05-31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129U KR200323922Y1 (ko) 2003-05-31 2003-05-31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922Y1 true KR200323922Y1 (ko) 2003-08-21

Family

ID=4941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129U KR200323922Y1 (ko) 2003-05-31 2003-05-31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9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50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CA2176408C (en) Battery pack for portable transceiver
KR200323922Y1 (ko) 휴대폰
KR200200933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
CN210897757U (zh) 一种安全插接式连接器及应用其的灯具
KR20050019544A (ko)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위한 배터리팩
KR100572472B1 (ko) 회전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263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CN215378546U (zh) 自供电便携式电池充电器组件
KR20070033561A (ko) 셀형 배터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0054451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분리장치
CN218472801U (zh) 一种可更换输出接头的直插式移动电源和一种移动电源保护套
JP3122392U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230376Y1 (ko) 횡방향 배터리 삽입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KR100432050B1 (ko) 전원의 꺼짐이 없는 배터리 교체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168272Y1 (ko) 휴대전화기용충전기
KR20050115501A (ko) 다수의 배터리를 갖는 휴대폰
JP3649975B2 (ja) 充電装置
JP3077962U (ja) 電池パックの取り付け構造
KR100258763B1 (ko) 무선단말기의 충전기 더미
KR200308159Y1 (ko) 다수개의 배터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26337Y1 (ko) 엘씨디 텔레비젼 백라이트용 컨넥터
KR200288184Y1 (ko) 휴대폰 접속구마개의 보관구조를 갖는 커넥터
KR20060005043A (ko)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