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043A -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043A
KR20060005043A KR1020040053869A KR20040053869A KR20060005043A KR 20060005043 A KR20060005043 A KR 20060005043A KR 1020040053869 A KR1020040053869 A KR 1020040053869A KR 20040053869 A KR20040053869 A KR 20040053869A KR 20060005043 A KR20060005043 A KR 20060005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er
push member
magnet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장현
연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53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5043A/ko
Publication of KR2006000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충전기로부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 충전기로부터 배터리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과, 이 수용홈의 바닥면에 형성되어서 배터리의 단자부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부로 이루어진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홈안에 장착된 배터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시부재와, 이 푸시부재의 저면에 위치하면서 푸시부재를 탄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이 탄성부재의 일단에 고정되면서 푸시부재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트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충전기로부터 소모된 배터리의 전원을 재충전한 후, 자동적으로 푸시부재 및 전자석인 마그네트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와 충전기의 접속단자간의 접속상태가 분리되도록 하므로써, 충전이 완료된 후, 장시간 방치하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 충전기, 분리, 푸시부재, 탄성부재, 마그네트

Description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A Charger having Battery Seperat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푸시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충전기
110 : 수용홈
111 : 바닥면
112 : 접속단자부
120 : 푸시부재
121 : 힌지축
130 : 탄성부재
140 : 마그네트
150 : 장착홈
본 발명은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기로부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 충전기로부터 배터리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는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이 빈번해지면서 배터리의 수명 및 용량이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상기 배터리의 소모후, 재충전을 위해서 별도 마련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기에 장착하여 충전을 하도록 하는바, 충전기의 전면에는 통상적으로 램프가 구비되어 있어서, 충전중일때에는 적색램프가 켜지게되고, 소정시간의 경과후,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적색램프가 꺼지면서 램프의 색깔이 녹색으로 변경되어서 사용자에게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다른 타입으로는 2개의 램프로 구성하여 적색램프 및 녹색램프로 나누어서 발광하도록 한 구조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충전기는 단순히 배터리의 충전만을 목적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충전후 바로 분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한 실정이다. 따라서, 오랫동안 충전이 완료된 상태로 방치할 경우,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원인이 되고, 극단적으로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 으로, 충전기로부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바로 충전기로부터 배터리가 분리가능하도록 한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과, 이 수용홈의 바닥면에 형성되어서 배터리의 단자부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부로 이루어진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홈안에 장착된 배터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시부재와, 이 푸시부재의 저면에 위치하면서 푸시부재를 탄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이 탄성부재의 일단에 고정되면서 푸시부재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트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트는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자력이 차단되도록 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푸시부재는 바닥면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장착홈내에 위치하면서 장착홈의 양측면과 힌지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바닥면에는 탄성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탄성부재의 수만큼의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푸시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00)에는 수용홈(1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홈(110)의 바닥면(111)에는 접속단자부(11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수용홈(110)을 통해 배터리(200)를 끼워서 충전하도록 한다.
상기 충전기(100)의 바닥면(111)에는 상기 수용홈(110)안에 장착된 배터리(20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시부재(120)와, 이 푸시부재(120)의 저면에 위치하면서 푸시부재(120)를 탄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130)와, 이 탄성부재(130)의 일단에 고정되면서 푸시부재(12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트(1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부재(120)는 바람직하게는 마그네트(140)의 자력에 의해 잡아당겨지도록 금속재로 되어 있다.
상기 바닥면(111)에는 별도의 장착홈(15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홈(150)안에 푸시부재(120)가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푸시부재(120)를 설치하는 경우, 푸시부재(120)의 하부 양단에는 힌지축(121)이 형성되어서 상기 장착홈(150)의 해당위치의 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140)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센서에 의해서 배터리(200)의 충전이 완료되면, 이를 감지하여 전자석인 마그네트(140)의 자력이 차단되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 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부재들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130)의 양단은 각각 푸시부재(120)의 일면과 마그네트(140)의 일면에 결합,고정되도록 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바닥면(111)에는 탄성부재(130)가 충전기(100)의 바닥면(111)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탄성부재(130)의 수 만큼 관통공(1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예를들어 이동통신단말기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인 경우, 배터리(200)를 충전기(100)의 수용홈(110)에 장착하여 충전을 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다음,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직접 배터리를 충전기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쉽게 분리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터리(200)가 충전기(100)에 장착되어서 충전이 완료되면, 전자석인 마그네트(140)의 자력이 상실되면서 잡아당기고 있던 푸시부재(120)를 밀게된다. 푸시부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30)가 압축되어 있던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30)의 반발력에 의해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장착된 배터리(200)를 충전기(100)의 수용홈(11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다.
이렇게 전자석인 마그네트(140)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원리는 전기적인 접속회로 및 센서의 조합에 의해 충분히 가능하며, 이러한 기술내용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로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다시 새로운 배터리(200)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밀어올려졌던 푸시부재(120)를 다시 하향이동시켜 원위치되게 한 다음, 배터리(200)를 다시 충전기(100)의 수용홈(110)안에 장착하면 된다. 이때, 마그네트(140)는 충전이 다시 시작되는 시점에서 자력이 작용하여 푸시부재(120)를 잡아당겨서 장착홈(150)내에서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충전기로부터 소모된 배터리의 전원을 재충전한 후, 자동적으로 푸시부재 및 전자석인 마그네트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와 충전기의 접속단자간의 접속상태가 분리되도록 하므로써, 충전이 완료된 후, 장시간 방치하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4)

  1.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과, 이 수용홈의 바닥면에 형성되어서 배터리의 단자부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부로 이루어진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홈안에 장착된 배터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시부재와, 이 푸시부재의 저면에 위치하면서 푸시부재를 탄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이 탄성부재의 일단에 고정되면서 푸시부재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자력이 차단되도록 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는 바닥면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장착홈내에 위치하면서 장착홈의 양측면과 힌지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탄성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탄성부재의 수만큼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KR1020040053869A 2004-07-12 2004-07-12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KR20060005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869A KR20060005043A (ko) 2004-07-12 2004-07-12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869A KR20060005043A (ko) 2004-07-12 2004-07-12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043A true KR20060005043A (ko) 2006-01-17

Family

ID=3711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869A KR20060005043A (ko) 2004-07-12 2004-07-12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50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10226A (zh) * 2016-03-14 2016-05-25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智能充电装置、充电控制系统及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10226A (zh) * 2016-03-14 2016-05-25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智能充电装置、充电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5610226B (zh) * 2016-03-14 2019-02-19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智能充电装置、充电控制系统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8570B2 (en) Zero no-load USB power supply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USB power supply
CN107331896B (zh) 一种锂电池及充电宝
KR20120005258U (ko) 젠더와 충전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기기의 동작방법
US5703751A (en) Electrical apparatus with a detachable power supply base
JP2004206973A (ja) マグネット式コンセントアダプタ
CN112311040A (zh) 一种多功能无线充电器
CN110979050A (zh) 一种充电枪保护设备
CN113419355A (zh) 方便更换电池的眼镜
JP3199822U (ja) 充電ソケット
KR100677336B1 (ko) 리셉터클과 충전커넥터의 결합구조
KR20060005043A (ko) 배터리 분리기능을 가지는 충전기
CN208127959U (zh) 安全全自动断电手机充电器
GB2313242A (en) Charging portable telephone batteries
CN215580486U (zh) 无线充电器
CN209896742U (zh) 分离式车载充电器
KR200379697Y1 (ko) 휴대폰 충전기용 커넥터
KR100559717B1 (ko) 안전기능을 가지는 배터리 충전기
CN220753641U (zh) 照明灯及其可拆卸电池包
CN219571858U (zh) 一种手电筒的充电结构
CN212542853U (zh) 一种插孔头可拆卸的插座
CN217945062U (zh) 一种车载无线充电器
JPH08130832A (ja) 充電器
KR20120081007A (ko) 젠더와 충전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기기의 동작방법
CN220628412U (zh) 带探温检测功能的连接器公母头
ES2247937B1 (es) Dispositivo de carga o suministro electr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