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322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322B1
KR100698322B1 KR1020050102973A KR20050102973A KR100698322B1 KR 100698322 B1 KR100698322 B1 KR 100698322B1 KR 1020050102973 A KR1020050102973 A KR 1020050102973A KR 20050102973 A KR20050102973 A KR 20050102973A KR 100698322 B1 KR100698322 B1 KR 100698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batter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2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8Magnet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에서 이너팩 배터리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의 착탈구조 개선을 통해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 커버의 형합(型合)에 따른 갭(gap)의 발생을 줄이고, 배터리 커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며, 배터리 커버의 착탈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는 단말기 본체와, 이 단말기 본체의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되는 이너팩 타입의 배터리와, 상단에 록커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의 후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에 설치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마그네트;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 전자석; 상기 록커부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된 접촉센서; 상기 접촉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극성을 상기 마그네트의 극성과 같은 극 또는 반대 극으로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이너팩, 배터리, 배터리 커버, 전자석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Adhesion and secession structure for inner pack battery cover of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이너팩 타입 배터리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는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에 있어서의 배터리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에 있어서의 배터리 수납부와 배터리 커버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에 있어서 접촉센서를 구비한 록커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말기 본체 3 : 배터리
12 : 배터리 수납부 14 : 배터리 커버
16 : 마그네트 18 : 전자석
20 : 록커부 22a,22b : 접촉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에서 이너팩 배터리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의 착탈구조 개선을 통해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 커버의 형합(型合)에 따른 갭(gap)의 발생을 줄이고, 배터리 커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며, 배터리 커버의 착탈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룰러폰이나, PCS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폰과 같은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에는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끔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에 따른 방전시 단말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충전기를 통해 재충전한 후 재차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배터리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결합 방식으로서, 슬라이딩(sliding) 방식과, 록킹(locking) 방식이 주로 사용되며,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박단소(輕薄短小)화 추세에 따라 공간활용성의 장점을 갖는 록킹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록킹 방식중에서도 배터리가 결합되는 하단부의 기구적 강도를 높이기 위한 방식으로, 단말기 본체의 배터리 수납부에 배터리 전부가 수용되는 이른 바 이너팩(inner pack)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
도 1은 종래 이너팩 타입 배터리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는 구조를 나타 낸 분리 사시도로서, 이너팩 타입의 배터리(3)가 단말기 본체(1)의 배터리 수납부(2)에 수납되고, 상기 배터리(3)의 후부에는 배터리 커버(4)가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3)의 양측 상단에는 고정홈(3a)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수납부(2)의 상단에서 각각 돌출된 걸림 리브(2a)(2b)가 상기 고정홈(3a)에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3) 하단의 충전단자 지지대(3b)를 수납부(2) 하단에 넣은 후, 상기 고정홈(3a)에 걸림 리브(2a)(2b)를 끼워 넣음에 따라 상기 배터리(3)가 수납부(2)내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 커버(4)는 하단 폭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갖는 다수의 고정돌기(4a)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선단에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동가능한 록커(locker)부(5)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4a)를 배터리(3)의 상부에서 수납부(2) 하단에 끼워 넣은 후, 상기 록커부(5)를 가압하면 이 록커부가 수납부(2)의 상단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3)가 단말기 본체(1)에 수납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1) 배면과 배터리 커버(4)가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한 종래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에서는 각각 사출물로 이루어진 배터리 커버(4)와 단말기 본체(1)의 형합(型合)시 갭(gap)이 발생될 우려가 높고, 배터리 커버(4)의 빈번한 착탈시 상기 고정돌기(4a)가 수납부(2)와의 접촉에 의해 변형, 훼손 또는 파손되므로써 배터리 커버(4)의 착탈이 어렵게 되며, 배터리 커버의 빈번한 착탈시 상기 고정돌기(4a)의 사용에 따른 '딸칵'등과 같은 소음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 커버의 형합(型合)에 따른 갭(gap) 발생 감소와 함께, 배터리 커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배터리 커버의 착탈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본체와, 이 단말기 본체의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되는 이너팩 타입의 배터리와, 상단에 록커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의 후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에 설치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마그네트;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 전자석; 상기 록커부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된 접촉센서; 상기 접촉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극성을 상기 마그네트의 극성과 같은 극 또는 반대 극으로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마그네트는 배터리 커버의 양측 내면 가장자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석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석은 와이어 납땜 또는 컨택 스위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에 있어서의 배터리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에 있어서의 배터리 수납부와 배터리 커버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에 있어서 접촉센서를 구비한 록커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는 배터리 커버에 설치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마그네트와, 단말기 본체의 배터리 수납부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의 마그네트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배터리 커버의 록커부 상,하단에 설치된 접촉센서와, 상기 접촉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극성을 변화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수납부(12)와의 접촉이 용이하게끔 상기 배터리 커버(14)의 양측 내면 가장자리에 마그네트(magnet)(16)가 설치되어지되,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커버(14)의 일측 내면 가장자리 양단에 장방형 마그네트(16)가 각각 고정 설치되고, 배터리 커버(14)의 타측 내면 가장자리 일단부에 장방형 마그네트(16)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수납부(12)의 상기 마그네트(16)와 대향되는 위치에 전자석(electromagnet)(18)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전자석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main board)에 도시되지 않은 와이어(wire) 납땜 또는 컨 택 스위치(contact switch)를 통해 상기 메인 보드에 연결된다.
상기 전자석은 투자율(透磁率)이 큰 원통 모양의 철심(鐵心)에 코일을 감아서 만든 솔레노이드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커부(20)의 상,하단에 접촉센서(sensor)(22a)(22b)가 각각 설치되어지되, 본 발명에서는 접촉 센서의 한 형태로서 압전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센서(22a)(22b)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상기 전자석(18)의 극성을 상기 마그네트(16)의 극성과 같은 극 또는 반대 극으로 변화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14)를 배터리 수납부(12)에 결합시키고자 할 때, 배터리(도 1의 3)를 배터리 수납부(12)에 끼운 후, 배터리 커버(14)를 배터리 수납부(12)에 근접시키면, 상기 록커부(20)의 접촉센서(22a, 22b)의 신호에 의해 이 신호를 받은 제어부가 상기 전자석(18)의 극성을 마그네트(16)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갖도록 전류를 인가하여 마그네트(16)와 전자석(18) 간에 인력(引力)이 작용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록커부(20)를 통해 배터리 커버(14)가 배터리 수납부(12)에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마그네트(16)와 전자석(18)은 서로 다른 극성을 유지한다.
한편, 방전등에 따라 배터리(3)를 충전시키거나, 다른 배터리 장착을 위해 배터리 커버(14)를 배터리 수납부(12)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가 상기 록커부(20)를 통해 배터리 커버(14)를 배터리 수납부(12)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록커부(20)의 접촉센서(22a, 22b)의 신호에 따라 이 신호를 받은 제어부가 상기 전자석(18)의 극성을 마그네트(16)의 극성과 같은 극성을 갖도록 전류를 인가하여 마그네트(16)와 전자석(18) 간에 척력(斥力)이 작용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록커부(20)를 통해 배터리 커버(14)가 배터리 수납부(12)로부터 분리되며, 이후 상기 배터리(3)를 배터리 수납부(12)로부터 탈거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배터리 수납부(12)를 구비한 단말기 본체(도 1의 1)와 배터리 커버(14)가 자력(磁力)을 통해 탈착됨에 따라 형합(型合)에 따른 갭(gap)의 발생이 감소되고, 배터리 커버(14)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 사용되던 걸림 리브(2a)(2b)나 고정돌기(4a)의 형성이나 그 사용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배터리 커버(14)의 착탈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 커버가 마그네트와 전자석 간의 자력을 통해 탈착됨에 따라 형합(型合)에 따른 갭의 발생이 감소되고, 배터리 커버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쉽게 탈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커버에 형성되었던 고정돌기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배 터리 커버의 착탈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단말기 본체와, 이 단말기 본체의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되는 이너팩 타입의 배터리와, 상단에 록커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의 후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에 설치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마그네트;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 전자석;
    상기 록커부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된 접촉센서;
    상기 접촉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극성을 상기 마그네트의 극성과 같은 극 또는 반대 극으로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배터리 커버의 양측 내면 가장자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와이어 납땜 또는 컨택 스위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
KR1020050102973A 2005-10-31 2005-10-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 KR100698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973A KR100698322B1 (ko) 2005-10-31 2005-10-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973A KR100698322B1 (ko) 2005-10-31 2005-10-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322B1 true KR100698322B1 (ko) 2007-03-23

Family

ID=4156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973A KR100698322B1 (ko) 2005-10-31 2005-10-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40042A (ko) * 2010-06-24 201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849A (ko) * 2003-03-25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849A (ko) * 2003-03-25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8384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40042A (ko) * 2010-06-24 201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718017B1 (ko) * 2010-06-24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9832B2 (en) Headphones
KR101804575B1 (ko)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JP2000030810A (ja) 電源接続装置及び該電源接続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CN111526272A (zh) 电子设备
JP2000231910A (ja) 電池パックの取り付け構造
CN112565963B (zh) 电子设备
KR1006983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너팩 배터리 커버 착탈구조
CN211296214U (zh) 一种手机和手表二合一无线充电器
KR101709869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100562673B1 (ko) 배터리 교체시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한 휴대폰
KR200382247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와 이 커넥터가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폰용 충전기
JPH10334881A (ja) 電源端子及びそれに接触する外部端子
JP2006331715A (ja) 電池ホルダ
KR200338328Y1 (ko) 전원공급의 중단 없이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모바일전자기기
KR100398329B1 (ko) 핸드폰용 배터리의 충전접속장치
CN217216851U (zh) 一种真无线耳机充电装置、组件以及耳机充电套件
CN216852294U (zh) 一种供电模块及模块化耳机
KR200237144Y1 (ko) 휴대폰 건전지
CN219740586U (zh) 一种可携带两副耳机的耳机充电仓
KR100605618B1 (ko) 통신단말기의 충전구조
CN214381339U (zh) 无线耳机
KR20130004179U (ko)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KR200255431Y1 (ko) 슬롯형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되는 휴대폰 본체
WO2022149407A1 (ja) バッテリ装置、充電器及び電子機器
KR20020082192A (ko)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 및 충전기의 체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