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547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547B1
KR100593547B1 KR1020040083153A KR20040083153A KR100593547B1 KR 100593547 B1 KR100593547 B1 KR 100593547B1 KR 1020040083153 A KR1020040083153 A KR 1020040083153A KR 20040083153 A KR20040083153 A KR 20040083153A KR 100593547 B1 KR100593547 B1 KR 100593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locking device
hook
mobile communica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028A (ko
Inventor
전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54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공급수단인 배터리팩을 단속하기 위한 배터리팩 로킹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의 후면 중앙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삽입 설치되도록 '
Figure 112004047207682-pat00001
'형으로 절곡 형성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조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로커와, 상기 로커의 대향측인 배터리팩에 구비되며, 상기 로커에 구비된 한조의 롤러사이로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배터리팩의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로킹장치, 로커, 후크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Device for locking a battery pack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장치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배터리팩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가이드홈
20 - 배터리팩 22 - 가이드돌기
23 - 후크 24 - 보강판
25 - 안착홈 25a - 안내로
31 - 로커 32 - 고정편
33 - 탄성부재 34,34' - 롤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전원공급원인 배터리팩을 본체로부터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의 전송은 물론이고, 인터넷 접속도 가능하며, 화상통화나 화상정보의 전송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더욱 다양화되어 가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한 형태의 종류를 갖는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술발전은 배터리의 기술 발전과 병존하여 함이 필연적인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가 속속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여러 종류의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로부터 탈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와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배터리팩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100)의 후면에 소정의 장착면(111)이 마련되고, 상기 장착면(111)의 하단 양측에는 다수의 접속단자(112)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 중앙에는 장착되는 배터리팩(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소정의 로킹장치(3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장착면(111)과 접촉되는 배터리팩(200)의 장착면(미도시) 하단 양측에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걸리기 위한 한조의 걸림편(21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212)과 상응하는 본체(100)의 후면상에는 상기 걸림편(212)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의 걸림홈(미도시)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단 중앙에는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로킹장치(300)의 로커(31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13)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팩(200)를 본체(100)에 장착할 경우, 우선 배터리팩(200)의 걸림편(212)을 상기 본체(100)의 후면 상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삽입시킨후, 상기 걸림편(21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내리게 되면, 본체(100)에 설치된 로킹장치(300)의 후크(320)가 배터리팩(200)에 구비된 결합홈(213)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배터리팩(200)이 본체(100)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팩(200)를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로킹장치(300)의 로커(310)를 상측으로 유동시켜 후크(320)를 결합홈(213)으로부터 이탈시킨 뒤에 걸림편(212)을 본체(100)에서 이탈시키면 분리가 완료된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에 대한 구성 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로킹장치(300)로 사용되는 로커(310)는 배터리팩(20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결합홈(213)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후크(320)와, 단말기의 본체(100)상에 장착되어 수직으로 가이드 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리브(311)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11)의 단부에는 소정의 걸림부(31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상에 형성된 걸림부(113)에 걸리게 되므로써, 상기 로커(310)가 장착되면 수평운동시 상기 로커(310)가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해준다. 또한, 상기 로커(310)에 일정 탄성력을 제공하여 주기 위한 탄성수단으로는 스프링(313)이 사용되며, 상기 스프링(313)의 일단은 본체(100)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로커(310)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배터리팩 로킹 구조방식은 내부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조립공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 또한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0)로부터 배터리팩(200)을 분리시키는 경우, 한손으로 로킹장치(300)의 로커(310)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 후크(320)의 고정력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다른손으로 배터리팩(200)를 분리하여야 하므로 한 손만으로는 배터리팩(200)의 분리가 어렵고, 또한 본체(100)의 외관에 로커(310)가 드러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얻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작동 없이 간단한 동작에 의해 배터리팩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 외부로 로커가 드러나지 않게 되어, 다양하고 미려한 외관을 연출 할 수 있게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공급수단인 배터리팩을 단속하기 위한 배터리팩 로킹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의 후면 중앙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삽입 설치되도록 '
Figure 112004047207682-pat00002
'형으로 절곡 형성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조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로커와, 상기 로커의 대향측인 배터리팩에 구비되며, 상기 로커에 구비된 한조의 롤러사이로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배터리팩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로킹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A)는 크게 본체(10)에 설치되어 결합되는 배터리팩(20)을 단속하는 로커(31)와, 상기 로커(31)와 대응되는 위치의 배터리팩(20)에 형성되어 상기 로커(31)에 결합됨으로써, 본체(10)에 배터리팩(20)을 고정하는 후크(23)로 구성된다.
본체(10)의 후면에는 소정의 장착면(11)이 마련된다. 상기 장착면(11)의 임의 위치 양측에는 한조의 가이드홈(12)이 구비되고, 하단 양측에는 다수의 접속단자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 중앙에는 장착되는 배터리팩(20)를 단속하기 위한 로커(31)가 설치된다.
상기 로커(31)는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 구비된 장착면(11)의 상단 중앙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10)에서 일정부분 돌출 형성된 한조의 고정편(32)과, 상기 고정편(32)에 삽입 설치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부재(33) 및, 상기 탄성부재(33)의 하단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조의 롤러(34)(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3)는 일정두께의 금속 판체를 '
Figure 112004047207682-pat00003
'형으로 절곡 형성한 분리형 부품으로써, 상기 본체(10)에 돌출 형성된 한조의 고정편(32)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33)는 그 두께와, 열처리 등에 의해 탄성력을 가변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3)의 하단에 설치되는 한조의 롤러(34)(34')는 상기 탄성부재(33)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한조의 롤러(34)(34')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탄성부재(33)에 축지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커(31)와 대응되는 위치인 배터리팩(20)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로커(31)에 결합되어 배터리팩(20)을 본체(10)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23)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23)는 로커(31)에 구비된 한조의 롤러(34)(34') 사이로 진입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선단과 후단이 뾰족한 형태를 이루는 마름모꼴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크(23)의 삽입력에 의해 탄성부재(33)의 양측이 벌어지면서 롤러(34)(34')에 의해 후크(23)가 진입되고, 후크(23)가 진입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33)의 복원력에 의해 한조의 롤러(34)(34')가 후크(23)를 파지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팩(20)은 본체(10)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장착면(11)과 대응되는 면인 배터리팩(20)의 장착면(21)에는 상기 본체(10)의 장착면(11)에 구비된 가이드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조의 가이드돌기(2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2)는 본체(10)의 로커(31)와 배터리팩(20)의 후크(23)가 결합되었을때, 배터리팩(20)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돌기(22)가 가이드홈(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측으로 밀어 올리면 자연히 가이드돌기(22)가 가이드홈(12) 내에 삽입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로커(31)와 후크(23)가 결합되기 때문에 배터리팩(20)이 안정적으로 본체(10)에 견고하 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로부터 배터리팩(20)의 분리시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의 역순으로 배터리팩(20)를 하측으로 당기면 상기와 같이 똑같은 방식으로 탄성부재(33)가 벌어지면서 상기 탄성부재(33)의 하단 양측에 구비된 한조의 롤러(34)(34')가 회전되면서 후크(23)가 이탈됨과 동시에 배터리팩(20)에 구비된 가이드돌기(22) 또한 본체(10)의 가이드홈(12)내에서 이탈되므로 본체(10)로부터 배터리팩(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한손으로 본체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배터리팩을 파지한 상태에서 결합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별도의 작동 없이 간단하게 슬라이딩방식으로 탈착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의 도시와 같이 배터리팩(2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후크(23)의 상면에는 보강판(24)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보강판(24)이 삽입됨은 물론, 후크(23)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로(25a)가 구비된 안착홈(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24)은 배터리팩(20)의 분리 보관시 외력에 의해 후크(2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후크(23)의 상면에 상기 후크(23)의 전면을 마감할 수 있는 크기의 보강판(24)을 마련하고, 본체(10)에는 상기 후크(23)의 결합시 상기 보강판(24)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25)을 구비하되, 상기 안착홈(25)에는 후크(23)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로(25a)를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본체(10)로부터 배터리팩(20)의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로킹장치에 의하면, 종래 기술의 양손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종래와 같이 로커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미관상으로도 미려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공급수단인 배터리팩을 단속하기 위한 배터리팩 로킹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의 후면 중앙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삽입 설치되도록 '
    Figure 112006039997153-pat00004
    '형으로 절곡 형성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조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로커와,
    상기 로커의 대향측인 배터리팩에 구비되며, 마름모꼴의 형태로 상기 로커에 구비된 한조의 롤러 사이로 삽입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에 구비된 후크의 상면에는 후크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이 형성되고,
    본체에는 상기 보강판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을 구비하되, 상기 안착홈에는 후크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 임의위치 양측에는 한조의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배터리팩에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1020040083153A 2004-10-18 2004-10-18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100593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153A KR100593547B1 (ko) 2004-10-18 2004-10-18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153A KR100593547B1 (ko) 2004-10-18 2004-10-18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028A KR20060034028A (ko) 2006-04-21
KR100593547B1 true KR100593547B1 (ko) 2006-06-28

Family

ID=3714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153A KR100593547B1 (ko) 2004-10-18 2004-10-18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5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640A (ko) * 1996-10-04 1998-07-15 김영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20012416A (ko) * 2000-08-07 2002-02-16 서평원 휴대폰의 배터리 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640A (ko) * 1996-10-04 1998-07-15 김영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20012416A (ko) * 2000-08-07 2002-02-16 서평원 휴대폰의 배터리 수납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80025640
1020020012416
20035588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028A (ko) 200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67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100640369B1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팩 케이스 락킹 장치
EP1585290A2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8214000B2 (en) Locking device for internal battery pack cover of mobile phone
KR1006781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1005935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1005113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20060110960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록킹장치
KR2003003482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결합장치
KR200179950Y1 (ko) 휴대폰용 홀스터
KR200293958Y1 (ko)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100486519B1 (ko) 핸즈프리용 휴대폰 거치대
KR100790111B1 (ko) 휴대형 무선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JP3046302U (ja) 携帯電話の取付け具
KR200179543Y1 (ko) 핸드폰 케이스
KR200179929Y1 (ko) 휴대폰용 홀스터
KR10033021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200163819Y1 (ko) 폴더타입휴대용단말기의홀스터
KR20030047128A (ko) 휴대형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304985Y1 (ko) 핸드스트랩홀더
KR10065185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uim 카드 고정장치
KR200362169Y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200228308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홀더
KR200357568Y1 (ko) 삽입형 악세사리 고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372534Y1 (ko) 스트랩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