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083Y1 - 알루미늄 범퍼구조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범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083Y1
KR200163083Y1 KR2019950023462U KR19950023462U KR200163083Y1 KR 200163083 Y1 KR200163083 Y1 KR 200163083Y1 KR 2019950023462 U KR2019950023462 U KR 2019950023462U KR 19950023462 U KR19950023462 U KR 19950023462U KR 200163083 Y1 KR200163083 Y1 KR 200163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stay
aluminum
reinforcement
front b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3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151U (ko
Inventor
이호길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23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083Y1/ko
Publication of KR970009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1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0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0Elastomer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1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 B60R2019/182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of light metal, e.g. extru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루미늄 범퍼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폐단면을 갖는 알루미늄재의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를 사용하였으므로 재료가 많이 들고 중량이 크게 되며, 스테이와의 접촉에 의해 전위차발생 및 부식의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4도와 같이 알루미늄재인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3)를 개단면형태로 하여 강성을 요하는 부위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스테이(5)와 만나는 부위에는 고무재로 된 스테이패드(6)를 결합하여 경량이면서 강도가 크고, 스테이패드로 인하여 전위차를 해소하여 부식을 방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 범퍼구조
제1도는 자동차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알루미늄 범퍼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알루미늄범퍼의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범퍼의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범퍼와 스테이결합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 2 : 범퍼
3 :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 4 : 페이스 프론트범퍼
5 : 스테이 6 : 스테이패드
본 고안은 알루미늄 범퍼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알루미늄재로 된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REINFORCEMENT FRONT BUMPER)와 페이스 프론트범퍼(FACE FRONT BUMPER) 및 스테이로 구성되는 범퍼에 있어서 알루미늄재의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를 개단면 형태로 하고 스테이와의 사이에 러버(RUBBER)를 결합한 범퍼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시도면 제1도와 같이 자동차(1)에는 앞뒤에 범퍼(2)가 형성되어 있다.
범퍼는 자동차의 앞뒤에서 보디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장치로서 부딪혔을때 그 층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는 강철재료 보디에서 약간 튀어나온 정도였으나, 미국에서 대형 범퍼가 사용되게 되어 현재는 에너지 흡수 범퍼라고 불리우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우레탄등이 쓰이며, 층격흡수의 정도가 커져 있으나 동시에 보디와 일체화한 디자인 등에 의하여, 장식을 겸한 부품으로 되어가고 있다.
에너지 흡수 범퍼(ENERGY ABSORBENT BUMPER)는 저속으로 충돌했을때 차체가 손상받지 않도록, 또는 자동차가 충돌했을때 기계적 에너지를 흡수하는 범퍼이며, 북미에서는 8㎞/h 충돌에너지 흡수 범퍼의 설치가 법으로 의무화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4㎞/h로 완화되었다. 각 메이커가 여러가지 범퍼를 개발하고 있으나, 크게 나누어 우레탄등의 완충재를 쓰는것(예 : 우레탄 범퍼)과 오일의 점도를 이용한 것(예 : 메나스코식 범퍼)이 있다.
또한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를 알루미늄재로 구성한 범퍼도 있다.
예시도면 제2도는 종래의 알루미늄범퍼 분리사시도로서 차체의 전면에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3)와, 페이스 프론트범퍼(4)가 차례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3)에는 스테이(5)를 결합하여 차체의 후레임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예시도면 제3도는 종래의 알루미늄재로 된 래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의 단면도로서 폐단면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알루미늄재로 된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는 그 단면형태가 "日" 또는 "口"형태로 폐단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스틸(STEEL)재질의 범퍼스테이(BUMPER STAY)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재의 폐단면을 갖도록 되어 있는 종래의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는 알루미늄재가 많이 소요되는 것에 비하여 강성이 약하고, 전위차를 갖는 스테이와 결합되는 부위의 부식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재의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의 단면 형태를 개(OPEN)단면으로 형성하고, 알루미늄재의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와 금속재의 스테이가 접하는 부위에 고무재의 스테이패드를 결합함으로서, 강성을 향상시키고 전위차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 범퍼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개단면의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의 각 단면의 두께를 달리하여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알루미늄재의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와 금속재인 스테이 사이에 고무재인 스테이패드를 결합함으로서 알루미늄과 스테이간의 전위차를 해소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페이스 프론트범퍼(4)에 알루미늄재의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3)와 스테이(5)를 결합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3)의 단면형태를 개단면형태로 하여 각 단부의 두께를 다르게 하고,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3)와 스테이(5)가 접하는 부위에 고무재의 스테이패트(6)를 결합한 것이다.
본 고안은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3)의 단면형태가 "" 형태로서, 특히 강성을 요하는 부위를 다른 곳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한 것이다.
스테이패드(6)는 스테이(5)의 전면부에 맞는 크기로 형성되어 스테이(5)와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3)가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알루미늄재의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3)를 개단면형태로 함으로서 재질을 절약할 수 있으며, 강성이 요구되는 부위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함으로서 종래의 취약부가 보강되는 효과가 있으며, 알루미늄인 범퍼와 금속재인 스테이(5)가 접하는 부위에 고무재인 스테이패드(6)를 설치하여 이들을 격리시킴으로서 이들의 전위차 발생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페이스 프론트범퍼(4)에 알루미늄재의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3)와 스테이(5)를 결합한 범퍼에 있어서,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3)의 단면 형태를 개단면 형태로 하여 각 단부의 두께를 다르게 하고, 레인포스먼트 프론트범퍼(3)와 스테이(5)가 접하는 부위에 고무재의 스테이패드(6)를 결합한 알루미늄 범퍼구조.
KR2019950023462U 1995-08-31 1995-08-31 알루미늄 범퍼구조 KR200163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462U KR200163083Y1 (ko) 1995-08-31 1995-08-31 알루미늄 범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462U KR200163083Y1 (ko) 1995-08-31 1995-08-31 알루미늄 범퍼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151U KR970009151U (ko) 1997-03-27
KR200163083Y1 true KR200163083Y1 (ko) 2000-01-15

Family

ID=1942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3462U KR200163083Y1 (ko) 1995-08-31 1995-08-31 알루미늄 범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0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314A (ko) 2018-11-23 2020-06-02 (주)신영하이테크 알루미늄 범퍼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범퍼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314A (ko) 2018-11-23 2020-06-02 (주)신영하이테크 알루미늄 범퍼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범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151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3083Y1 (ko) 알루미늄 범퍼구조
JPH0616859Y2 (ja) 樹脂製外板パネルを備えた車体構造
KR200157027Y1 (ko) 분할식 범퍼구조
KR20014956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970039260A (ko) 자동차 리어범퍼 보강구조
JPS5915708Y2 (ja)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取付構造
JPH0517330Y2 (ko)
KR0133779B1 (ko) 자동차 플로어의 터널 보강구조
KR970041187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970041260A (ko) 자동차의 실사이드 보강구조
KR970039407A (ko) Gmt와 강판이 병용된 자동차의 범퍼
KR970041809A (ko) 내구성을 강화시킨 자동차용 플로우판넬의 보강구조(the reiorcement structure of a floor panel increasing intensity for an automobile)
KR19980045237U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KR19980033852U (ko) 자동차 프론트 사이드 멤버구조
KR960040975A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9980048429U (ko) 범퍼를 이용한 워셔 탱크 취부구조
KR970039275A (ko) 자동차용 정면 충격 흡수 구조
KR970010220A (ko) 차량용 도어 보강구조
KR970026524A (ko)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 보강구조
KR970041332A (ko) 자동차용 루프의 결합구조
KR970041421A (ko) 차량의 마운팅멤버의 보강 구조
KR970041485A (ko) 자동차의 후방 차체 강성 보강 구조
KR970041380A (ko) 상용차용 후미크로스멤버
KR970038935A (ko) 차량용 도어트림의 프로텍터 부착구조
KR960022105A (ko) 자동차 실사이드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