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694Y1 - 자동차용 범퍼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범퍼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694Y1
KR200162694Y1 KR2019960012819U KR19960012819U KR200162694Y1 KR 200162694 Y1 KR200162694 Y1 KR 200162694Y1 KR 2019960012819 U KR2019960012819 U KR 2019960012819U KR 19960012819 U KR19960012819 U KR 19960012819U KR 200162694 Y1 KR200162694 Y1 KR 200162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racket
vehicl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2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845U (ko
Inventor
박정동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2019960012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694Y1/ko
Publication of KR9700618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8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6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7Fastening of bumpers' side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범퍼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전, 후방의 프론트펜더나 측면보디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보디(10)에 프론트 및 리어범퍼(11)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보디(10)하방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에는 범퍼(11)를 고성하기 위한 브라켓(13)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겟(13)상에 범퍼(11)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브라켓(13)의 상단부는 고정볼트(14)를 형성하여 보디(10)의 절곡부(12)와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브라켓(13)의 몸체(15)에는 결함공(16, 17)을 형성하여 범퍼(11)의 내 측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리브(20, 21)가 결합이 되도록 한 것이 특징으로 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가 충돌시 발생하는 범퍼이탈의 사후정비를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사후정비성이 뛰어나고,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범퍼장착구조
제1도는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발췌한 일부생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 : 범퍼 12 : 절곡부
13 : 브라켓 16, 17 : 결합공
20, 21 : 고정리브 22 : 고정클립
25 : 첨단부 26 : 걸림턱
본 고안은 자동차용 범퍼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범퍼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범퍼가 손상되었을시 신속한 사후정비가 가능하도록 개선 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의 범퍼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프론트 및 리어범퍼(1)를 자동차의 판넬(프론트펜더나 측면보다, 2)에 스크류(3)를 이용히여 범퍼(1)의 끝부분과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자동차가 충돌하였을 경우 범퍼(1)의 측면에 손상을 받았을 경우에는 자동차의 패널(2)과 고정이 된 범퍼(1)의 끝부분이 찢겨져 나가는 사례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범퍼(1)의 부분적인 사후정비가 불가능하게되고 새로운 범퍼(1)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므로 소비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는 범퍼(1)의 끝부분과 자동차의 패널(2)은 스크류(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나, 범퍼(1)측면에 충격을 받으면 스크류(3)의 고정부위인 범퍼(1) 끝부분이 찢겨져 나감으로서 고정위치가 없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범퍼와 자동차의 패널상간에 별도의 고정브라켓을 개입시켜 고정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범퍼를 교환하지 않고서도 사후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발췌한 일부생략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자동차의 전, 후방의 프론트펜더나 측면보디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보디(10)에 프론트 및 리어범퍼(11)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보디(10)하방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에는 범퍼(11)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3)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13)상에 범퍼(11)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13)은 상단부에 보디(10)의 절곡부(12)와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14)을 상면에 가지고, 브라켓(13)의 몸체(15)에는 결합공(16, 17)을 형성하여 범퍼(11)의 내측 상단부에 돌출된 고정리브(20, 21)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브라켓(13)의 결합공(16, 17)에 결합되는 범퍼(13)의 고정리브(20, 21)는 브라켓(13)의 후방에서 단속하는 고정클립(22)에 의하여 결합공(16, 17)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범퍼(13)를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범퍼(11)에 형성되는 고정리브(20, 21)의 선단부에는 브라켓(11)의 결합공(16, 17)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첨단부(25)를 가지고, 상기 첨단부(25)의 후방에는 걸림턱(26)을 형성하여 고정리브(20, 21)에 억지결합되는 고정클립(22)이 고정리브(20, 21)의 걸림턱(26)과 브라켓(13)의 결합공(16, 17)의 후방에 위치하여 결속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범퍼(11)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브라켓(13)을 자동차의 보디(10)에 먼저 결합을 시킨다.
상기 브라켓(13)을 고정시킬 때에는 브라켓(13)의 상면에 형성한 고정볼트(14)를 보디(10)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에 밀착시킨 후 절곡부(12)의 상면에서 너트(30)를 이용하여 결합을 시킨다.
상기 브라켓(13)과 보디(10)의 결합이 완료되면, 범퍼(11)의 끝단부 내측에 범퍼(11)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리브(20, 21)를 브라켓(13)의 몸체(15)에 형성된 결합공(16, 17)으로 진입시켜 억지 결합을 시킨다.
범퍼(11)의 고정리브(20, 21)와 브라켓(13)의 결합공(16, 17) 간의 결합이 완료되면 브라켓(13)의 결합공(16, 17)의 후방으로 돌출된 고정리브(20, 21)의 첨단부(25)를 통하여 고정클립(22)읕 억지끼움하여,고정클립(22)이 고정리브(20, 21)의 첨단부(25)후방에 위치한 걸림턱(26)상에 걸림이 되도록 하면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가 충돌하여 범퍼(11)의 측면에 그 충돌력이 가하여졌을 경우에는 범퍼(11)의 내측에 형성한 고정리브(20, 21)가 고정클립(22)의 결속력을 극복하여 브라켓(13)의 결합공(16, 17)을 이탈하여 범퍼(11)가 분리되거나, 자동차의 보디(10)와 결합된 브라켓(13)이 파손하게된다.
그러면, 파손된 브라켓(13)을 새롭게 교환하거나 고정클립(22)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여 범퍼(11)를 재 결합하면 간단하게 장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자동차가 충돌시 발생하는 범퍼이탈의 사후정비를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사후정비성이 뛰어나고,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지동차의 전, 후방의 프론트펜더나 측면보디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보디(10)에 프론트 및 리어빔퍼(11)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보디(10)하방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에는 범퍼(11)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3)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13)상에 범퍼(11)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브라켓(13)의 상단부는 고정볼트(14)를 형성하여 보디(10)의 절곡부(12)와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브라겟(13)의 몸체(l5)에는 결합공(16, 17)을 형성하여 범퍼(11)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리브(20, 21)가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범퍼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3)의 결합공(16, 17)에 결합되는 범퍼(13)의 고정리브(20, 21)는 브라켓(13)의 후방에서 단속하는 고정클립(22)에 의하여 결합공(16, 17)을 이탈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범퍼장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11)에 형성되는 고절리브(20, 21)의 선단부에는 브라켓(11)의 결합공(16, 17)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첨단부(25)를 가지고, 상기 첨단부(25)의 후방에는 고정리브(20, 21)에 억지결합되는 고정클립(22)이 걸림될 수 있는 걸림턱(26)을 더 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범퍼장착구조.
KR2019960012819U 1996-05-17 1996-05-17 자동차용 범퍼장착구조 KR200162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819U KR200162694Y1 (ko) 1996-05-17 1996-05-17 자동차용 범퍼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819U KR200162694Y1 (ko) 1996-05-17 1996-05-17 자동차용 범퍼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845U KR970061845U (ko) 1997-12-10
KR200162694Y1 true KR200162694Y1 (ko) 2000-01-15

Family

ID=1945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819U KR200162694Y1 (ko) 1996-05-17 1996-05-17 자동차용 범퍼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6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631A (ko)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프런트 범퍼 몸체 고정을 위한 브라켓 고정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05B1 (ko) * 2013-12-24 2015-06-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론트 범퍼 사이드 브라켓
KR102636509B1 (ko) * 2022-04-06 2024-02-13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범퍼 브라켓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631A (ko)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프런트 범퍼 몸체 고정을 위한 브라켓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845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5376B1 (en) Wiper apparatus for vehicle
JPH11321709A (ja) ウインドシールド支持構造
WO2004014714A1 (ja) フードロックストライカ
KR200162694Y1 (ko) 자동차용 범퍼장착구조
JPH1130214A (ja) クリップ
KR200226412Y1 (ko) 크래쉬 패널(CRASH Panel)용 고정 클립
KR101028027B1 (ko) 자동차용 플라스틱 패스너
JPH0554170U (ja) リヤスポイラーの取付構造
KR100477255B1 (ko) 캐리어의 쿨링 모듈 장착 구조
KR100482661B1 (ko) 범퍼커버 체결구조
KR200190411Y1 (ko) 자동차용 후사경 부착장치
KR100200521B1 (ko) 차량용 리어범퍼 설치구조
KR960009004Y1 (ko) 자동차의 후미등(Tail Lamp) 장착구조
KR200160660Y1 (ko) 자동차시트히팅스위치 고정구조
JPH06293280A (ja) フェンダパネルの取付構造
JPH0742726U (ja) センサ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970015265A (ko) 자동차의 후론트 범퍼 싸이드 고정 구조
KR970003975Y1 (ko) 자동차 견인용 훅 커버의 설치구조
KR200144570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고정구조
KR20020021212A (ko)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장착 구조
JPH02229932A (ja) Tバールーフ車のハッチルーフ用バンパラバー
KR20050076505A (ko) 카오디오의 취부구조
KR19980053716A (ko) 자동차의 번호판 고정장치
KR980001229A (ko) 자동차 시트의 취부구조
KR19980058545U (ko) 자동차의 리어 가니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