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390Y1 -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390Y1
KR200162390Y1 KR2019970038939U KR19970038939U KR200162390Y1 KR 200162390 Y1 KR200162390 Y1 KR 200162390Y1 KR 2019970038939 U KR2019970038939 U KR 2019970038939U KR 19970038939 U KR19970038939 U KR 19970038939U KR 200162390 Y1 KR200162390 Y1 KR 200162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friction roller
continuous paper
inkjet print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402U (ko
Inventor
윤갑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8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390Y1/ko
Publication of KR19990026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4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20Positive-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 B41J19/22Positive-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acting by friction or gripp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Abstract

본 고안은 사각봉과 프릭션롤러홀더 사이에 마찰스프링을 체결하여 PCB기판을 메인보드에 낮춰 조립하여 잉크젯프린터의 높이를 줄이고, 연속 용지 모드에서 프릭션롤러와 피드롤러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유지시켜 누적되는 장력 차이를 줄여 연속용지의 걸림을 방지하도록 한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낱장용지 또는 연속용지를 선택하는 핸들하단부에 사각봉이 체결되고, 사각봉과 프릭션롤러홀더 사이에 마찰스프링을 다수개 체결하여 핸들을 회전시켜 연속용지 모드를 선택할 때는 프릭션롤러홀더가 릴리스레버에 의해 작동되어 프릭션롤러홀더의 끝단부에 설치된 프릭션롤러가 피드롤러와 일정한 간극이 유지되고, PCB기판을 메인보드상에서 낮춰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잉크젯프린터의 높이가 줄어드는 효과와 연속용지를 선택할 때 용지가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
본 고안은 잉크젯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봉과 프릭션롤러홀더 사이에 마찰스프링을 체결하여 PCB기판을 메인보드에 낮춰 조립하여 잉크젯프린터의 높이를 줄이고, 연속 용지 모드에서 프릭션롤러와 피드롤러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유지시켜 누적되는 장력 차이를 줄여 연속용지의 걸림을 방지하도록 한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프린터는 컴퓨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컴퓨터 모니터상에 있는 내용(자료)을 용지 등에 출력하여 인쇄하는 장치로써, 잉크헤드가 한 개 내지 두개 장착되어 있다.
잉크헤드는 상기 잉크젯프린터의 인쇄장치부인 캐리지에 장착되는 것으로 모노와 컬러 두가지 종류가 있다.
예시도면 도 1에 보인바와 같이, 프릭션롤러(32)가 피드롤러(34)와 밀착되고, 떨어지는 동작을 위해 메인보드(11)의 일측면과 프릭션롤러홀더(31)에 걸쳐 스프링(12)을 연결하고, PCB기판(20)은 스프링(12)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보드(11)의 뒷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PCB기판(20)을 스프링(12)과 떨어진 상태에서 체결해야 하므로 잉크젯프린터(10)의 세트 높이(H)는 "A" 치수 만큼 높아진다.
또한 프릭션롤러홀더(31)는 메인보드(11)의 일측에 힌지부(33)를 통해서 설치되고, 핸들(30)을 움직임에 따라서 프릭션롤러홀더(31)는 힌지부(33)를 중심으로 좌, 우로 움직인다.
예시도면 도 2는 연속용지구동장치부(40)의 구동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연속용지를 배출시키는 작동과정을 보인 것으로 핸들(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프릭션롤러홀더(31)가 릴리스레버(35)를 통해서 움직여 프릭션롤러홀더(31)의 끝단부에 설치된 프릭션롤러(32)가 피드롤러(34)와 떨어져 간극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연속용지를 사용할 때 상기 간극이 형성되어 연속용지가 프릭션롤러(32)와 피드롤러(34) 사이를 원활하게 빠져나가게 된다.
예시도면 도 3은 상기 도 2의 릴리스레버(35)가 메인보드에 설치된 상태에서 핸들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킬 때의 상태를 보인 것이다.
즉 상기 릴리스레버(35)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핸들을 오른쪽으로 회전시켰을 때 릴리스레버(35)의 비틀어짐에 의해 핸들 바로 아래쪽에 위치한 릴리스레버(35)(B)는 핸들에서 먼쪽에 위치한 릴리스레버(35)(A) 보다 간극이 더 벌어지게 되어 프릭션롤러와 피드롤러간에 간극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고, 어느 한쪽이 더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프릭션롤러(32)의 좌, 우 간극의 차이가 발생되어 좌, 우 부하 차이에 의한 연속 용지가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기종에서 PCB기판를 바닥면(케이스 하측부)에 부착할 때도 PCB기판위의 부품들로 인해서 최소한 30 ∼ 40 mm의 높이가 높아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PCB기판을 메인보드에 설치할 때 마찰스프링과 접촉을 피하기 위해 메인보드의 위쪽에 설치하므로 잉크젯프린터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연속 용지를 사용하여 레버를 조작할 때 프릭션롤러가 사각봉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프릭션롤러가 피드롤러와 일정하게 간극이 유지되어 벌어져 연속용지를 급지할 때 용지에 부하 발생이 방지되고, 프릭션롤러홀더와 사각봉에 걸쳐 마찰스프링을 체결하여 PCB기판이 마찰스프링과 접촉되지 않아 잉크젯프린터의 높이를 낮춰주도록 한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잉크젯프린터에 있어서, 핸들의 하단부와 프릭션롤러홀더 사이에 설치되는 사각봉과, 사각봉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릴리스레버와, 릴리스레버의 하단부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프릭션롤러홀더와, 사각봉과 프릭션롤러홀더에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릴리스레버와 마찰되는 프릭션롤러홀더에는 연속용지 모드를 사용하는 A홈과, 낱장용지 모드를 사용하는 B홈과, 연속용지 모드에서 프릭션롤러와 피드롤러에 일정한 간극이 유지되어 용지 걸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잉크젯프린터의 낱장모드에서의 우측면도,
도 2는 종래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모드에서의 우측면도,
도 3은 종래 잉크젯프린터에 설치된 릴리스레버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우측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릴리스레버가 사각봉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릴리스레버가 사각봉에 설치된 상태의 옆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모드를 보인 우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잉크젯프린터 110 - 메인보드
300 - 핸들 301 - 사각봉
302 - 릴리스레버 303 - 마찰스프링
310 - 프릭션롤러홀더 311 - A홈
312 - B홈 320 - 프릭션롤러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프린터(100)의 정면도이다.
사각봉(301)에 한쌍으로 된 릴리스레버(302)가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릴리스레버(302)와 릴리스레버(302) 사이에 마찰스프링(303)의 일단부 체결되고, 그 타단부는 프릭션롤러홀더(310)에 체결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프릭션롤러홀더(310)의 끝단부에는 다수의 프릭션롤러(320)가 체결되어 있다.
한편 사각봉(301)의 끝단부에는 핸들(300)이 조립되어 있어서, 핸들(300)을 회전시킬 때 프릭션롤러(320)가 피드롤러에 밀착되는데 이때 프릭션롤러(320)는 각각 마찰스프링(303)과 체결되어 일정하게 힘을 받게 되고, 또한 피드롤러와 일정하게 간극이 유지되는 것이다.
예시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우측면을 보인 것으로, 마찰스프링(303)을 사각봉(301)과 프릭션롤러홀더(310) 사이에 연결시켜 잉크젯프린터의 세트(H)의 높이를 낮춰주고, 마찰스프링(303)의 안정적인 작동을 시켜준다.
상기 사각봉(301)을 사용한 이유는 핸들(300)에 의한 정확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낱장으로 급지할 때는 도 5와 같이 핸들(300)을 수직으로 세우고, 이때 릴리스레버(302)는 B홈(312)에 위치한다.
프릭션롤러홀더(310)에는 상기 B홈(312)이외에 A홈(311)이 형성되어 핸들(300)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킬 때 릴리스레버(302)가 상기 A홈(311)에 안착된다.
상기 상태에서 프릭션롤러홀더(310)의 프릭션롤러(320)가 피드롤러(340)의 상단 외주면에 맞물려 밀착되어 피드롤러(340)의 하측에 위치한 용지자동급지부에 수납, 적재된 용지가 피드롤러(340)의 외주면을 따라 픽업됨과 동시에 유턴되어 프릭션롤러(320)의 하측면을 마찰되면서 배출된다.
또한 PCB기판(200)이 메인보드(110)에 설치할 때 마찰스프링(303)과 피하여 설치되므로 메인보드(110)의 아래에 위치하여 설치되므로 잉크젯프린터(100)의 높이가 낮춰져서 설치되는 것이다.
예시도면 도 6a, 6b는 릴리스레버(302)가 사각봉(301)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6a는 릴리스레버(302)가 사각봉(301)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를 보인 것이고, 도 6b는 옆면도를 보인 것이다.
릴리스레버(302)는 사각봉(301)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릴리스레버(302)와 릴리스레버(302) 사이에 마찰스프링(303)이 위치하여 설치되며, 핸들이 좌, 우로 움직이면서 릴리스레버(302)도 좌, 우로 전환하면서 움직인다.
도 6b는 낱장모드로써, 낱장을 공급할 때 사용되고, 릴리스레버(302)가 왼쪽으로 움직인 상태는 연속모드로써, 길게 이어진 연속용지를 공급할 때 사용된다.
예시도면 도 7은 연속용지를 사용하는 모드로써, 핸들(300)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릴리스레버(302)가 A홈(311)에 이동되어 프릭션롤러(320)는 힌지부(313)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피드롤러(340)와 간극이 낱장용지 모드 때 보다 더 벌어지게 된다.
왜냐하면 릴리스레버(302)의 길이가 일정한 상태에서 사각봉(301)에서 B홈(312)보다 A홈(311)의 길이가 가까워 프릭션롤러홀더(310)의 우측부가 힌지부(313)를 기준하여 더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속 용지를 연속용지구동장치부(400)에 의해 급지할 때는 연속용지가 프릭션롤러(320)와 피드롤러(340)간에 일정한 간극이 유지되어 급지할 때 간섭이 제거된다.
그리고 프릭션롤러(320)가 다수개 사용되는데 좌, 우의 간극이 일정해서 용지경로부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용지 걸림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속용지 모드에서 연속용지를 급지할때 피드롤러와 프릭션롤러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유지되어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며, 프릭션롤러홀더와 사각봉 사이에 마찰스프링이 체결되므로 PCB기판을 메인보드에 낮춰 조립할 수 있어 잉크젯프린터의 높이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연속용지 또는 낱장용지를 선택하는 핸들이 구비되고, 메인보드의 뒷면에 PCB기판이 설치되며, 핸들의 하단부와 프릭션롤러홀더 사이에 마찰스프링이 체결되어 이루어진 잉크젯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하단부와 프릭션롤러홀더 사이에 설치되는 사각봉과, 사각봉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릴리스레버와, 릴리스레버의 하단부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프릭션롤러홀더와, 사각봉과 프릭션롤러홀더에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레버와 마찰되는 프릭션롤러홀더에는 연속용지 모드를 사용하는 A홈과, 낱장용지 모드를 사용하는 B홈과, 연속용지 모드에서 프릭션롤러와 피드롤러에 일정한 간극이 유지되어 용지 걸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B기판은 메인보드에 낮춰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
KR2019970038939U 1997-12-19 1997-12-19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 KR200162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939U KR200162390Y1 (ko) 1997-12-19 1997-12-19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939U KR200162390Y1 (ko) 1997-12-19 1997-12-19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402U KR19990026402U (ko) 1999-07-15
KR200162390Y1 true KR200162390Y1 (ko) 1999-12-15

Family

ID=1951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939U KR200162390Y1 (ko) 1997-12-19 1997-12-19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3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402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5477A1 (en) Sheet Feeder Including A Plurality Of Paper Cassettes
JP2004058370A (ja) プリンタ
JP2007276288A (ja) ヘッド取付位置調整機構及び液体噴射装置と記録装置
KR200162390Y1 (ko) 잉크젯프린터의 연속용지 걸림 방지장치
EP0945278B1 (en) Head loading device
KR100238585B1 (ko) 잉크젯 프린터의 픽업로울러 절환장치
KR19990029922U (ko) 잉크젯프린터의 높이 낮춤장치
KR200318544Y1 (ko) 써멀프린터
KR100205749B1 (ko) 화상형성장치의 페이퍼잼 방지장치
KR0140191Y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 받침대 장치
US6345819B1 (en) Paper feeding apparatus in a printer
KR100234427B1 (ko) 잉크젯프린터의 인자 벌어짐 방지 방법
KR200158790Y1 (ko)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 용지 안내 장치
JPS5855280A (ja) 印字装置のインクリボン駆動装置
KR19990020078A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 공급 장치 모드 전환 구조
KR200251710Y1 (ko) 잉크젯 프린터의 디플렉터 구조_
KR200158791Y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장치
KR200169761Y1 (ko) 화상형성장치
KR100205600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급지용 확장가이드장치
KR950009079Y1 (ko) 잉크제트프린터의 용지적재장치
KR19990029914U (ko) 잉크젯프린터의 베벨기어 체결장치
JP2004160791A (ja) 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H05238030A (ja) プリンター
JPH04255376A (ja) プリンタ
JP2598670Y2 (ja) プリンタの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