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129Y1 - 자동차의 연료공급 파이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공급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129Y1
KR200162129Y1 KR2019960060718U KR19960060718U KR200162129Y1 KR 200162129 Y1 KR200162129 Y1 KR 200162129Y1 KR 2019960060718 U KR2019960060718 U KR 2019960060718U KR 19960060718 U KR19960060718 U KR 19960060718U KR 200162129 Y1 KR200162129 Y1 KR 200162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ipe
supply pipe
fuel supply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561U (ko
Inventor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0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129Y1/ko
Publication of KR19980047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5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1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17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related to fuel pipes or their connections, e.g. joints or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공급파이프내의 연료흐름을 원활히하여 정확한 공연비 제어가 가능하도록하는 것은 물론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연료계통의 부품을 서로 연결하는 연료파이프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실 또는 흡기매니폴드에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하며, 일측에 고온의 가스상태의 연료를 리턴시키는 리턴 파이프가 연결된 연료공급파이프에 있어서,
상기한 연료공급파이프를 통과하는 연료와 가스를 분리시켜 분리된 연료를 인젝터로 공급하고, 가스는 리턴 파이프를 통해 리턴되도록 이루어지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를 제공하여,
상기 하파이프로 인입되는 가스를 포함한 연료는 연료공급파이프내에서 가스는 틈새를 통해 상파이프로 이동하여 이동하여 리턴 파이프로 리턴되고, 연료는 하파이프의 하측에 결합된 인젝터로 공급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는 연료공급파이프내의 연료흐름을 원활히 할수있으므로, 정확한 공연비제어가 가능하고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FUEL SUPPLING PIPE OF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공급파이프내의 연료흐름을 원활히하여 정확한 공연비 제어가 가능하도록하는 것은 물론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연료장치는 연료탱크에 내장된 연료펌프가 펌핑작용으로 연료탱크내의 연료를 연료라인을 통하여 연료공급파이프로 공급하고, 이 연료공급파이프에 공급된 연료는 계속되는 연료펌프의 펌핑작용에 의하여 각각의 연소실로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로 공급한다.
도 3는 종래 연료공급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 연료공급파이프(100)의 일측에는 연소실(미도시) 또는 흡기 매니폴드(미도시)에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200)가 장착되며, 소정의 직경을 갖는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연료공급파이프(100)는 연료계통의 부품을 서로 연결하는 연료파이프(30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인젝터(200)로 공급하고 일측에 연결된 리턴 파이프(400)를 통해 고온의 가스상태인 연료를 연료탱크(미도시)로 리턴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는 연료파이프로부터 인입되는 연료중에 고온의 가스상태의 연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인젝터에 공급되는 연료의 정확한 공연비 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상기한 연료공급파이프는 원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연료파이프로부터 인입되는 연료와 고온의 가스상태의 연료가 불규칙한 흐름을 가지고 인젝터로 공급되므로, 정확한 연료량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엔진의 출력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료공급파이프내의 연료흐름을 원활히하여 정확한 공연비 제어가 가능하도록하는 것은 물론,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료계통의 부품을 서로 연결하는 연료파이프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실 또는 흡기매니폴드에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하며, 일측에 고온의 가스상태의 연료를 리턴시키는 리턴 파이프가 연결된 연료공급파이프에 있어서,
상기한 연료공급파이프를 통과하는 연료와 가스를 분리시켜 분리된 연료를 인젝터로 공급하고, 가스는 리턴 파이프를 통해 리턴되도록 이루어지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는 하파이프로 인입되는 가스를 포함한 연료는 연료공급파이프내에서 가스는 틈새를 통해 상파이프로 이동하여 이동하여 리턴 파이프로 리턴되고, 연료는 하파이프의 하측에 결합된 인젝터로 공급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연료공급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는 종래 연료공급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공급파이프 2 : 연료파이프
3 : 리턴 파이프 10 : 분리수단
10a: 틈새 20 : 상파이프
30: 하파이프 21, 31 : 유입구
22, 32 : 배출구 40 : 인젝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연료공급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부호 1을 연료공급파이프라 지칭한다.
상기 연료공급파이프(1)는 연료 파이프(2)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인젝터(40)에 공급하고 고온의 가스는 리턴 파이프(3)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료공급파이프(1)는 연료와 가스를 분리시켜 가스는 리턴 파이프(3)로 배출시키고, 연료는 인젝터(40)로 공급하는 분리수단(10)을 포함한다.
상기한 분리수단(10)은 상파이프(20)와 하파이프(30)로 나뉘어지며 상기 상파이프(20)와 하파이프(30)는 소정의 틈새(10a)를 통해 상호 연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상파이프(20)의 유입구(21)는 폐쇄되며, 배출구(22)는 리턴 파이프(3)와 연결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상파이프(20)의 하측에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하는 하파이프(30)는 그 하측면으로 인젝터(40)와 연결되어 연료를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며, 연료 파이프(2)로부터 연료를 인입받는 유입구(31)를 형성하고, 그 배출구(32)는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는 연료 파이프(2)와 연결된 하파이프(30)의 유입구(31)를 통해 연료를 인입한다.
상기 인입된 연료중에는 고온의 가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가스는 기체이므로 틈새(10a)를 통해 상파이프(20)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상파이프(20)는 리턴 파이프(3)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상파이프(20)의 가스는 리턴 파이프(3)로 배출 된다.
따라서, 하파이프(30)의 하측에 연결된 인젝터(40)에 가스가 제거된 연료가 공급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는 이 연료공급파이프내의 연료흐름을 원활히 할수있으므로, 정확한 공연비 제어가 가능하고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연료계통의 부품을 서로 연결하는 연료 파이프(2)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40)에 연료를 공급하며, 일측에 고온의 가스상태인 연료를 리턴시키는 리턴 파이프(3)가 연결된 연료공급파이프(1)에 있어서,
    상기한 연료공급파이프(1)를 통과하는 연료와 가스를 분리시켜 분리된 연료를 인젝터(40)로 공급하고, 가스는 리턴 파이프(3)를 통해 리턴되도록 이루어지는 분리수단(10)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분리수단(10)은 폐쇄된 유입구(21)와, 리턴 파이프(3)와 연결된 배출구(22)를 형성한 상파이프(20)와,
    상기 상파이프(20)의 하측에 결합되며, 연료 파이프(2)와 연결되는 유입구(31)와, 폐쇄된 배출구(32)와, 하측면으로 인젝터(40)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하파이프(30)를 포함하며,
    상기 상파이프(20)와 하파이프(30)는 소정의 틈새(10a)를 통해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공급파이프
KR2019960060718U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연료공급 파이프 KR200162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718U KR200162129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연료공급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718U KR200162129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연료공급 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561U KR19980047561U (ko) 1998-09-25
KR200162129Y1 true KR200162129Y1 (ko) 2000-03-02

Family

ID=1948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718U KR200162129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연료공급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1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561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2021A (en) Air/fuel handling system for fuel injection engine
JP2792989B2 (ja) 空気誘導装置
US5598826A (en) Cold start fuel contro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589381A (en) Intak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62129Y1 (ko) 자동차의 연료공급 파이프
JPH0681735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3303619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KR100287699B1 (ko) 디젤 엔진의 흡기 장치
JPH05223040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960018198A (ko) 초음파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 분사장치
KR950001985Y1 (ko) 모세관을 설치한 공기보조분사 시스템
KR100380076B1 (ko) 차량용 리턴레스 연료 공급장치
KR100204777B1 (ko) 자동차용 엔진의 흡기덕트
KR200152907Y1 (ko) 자동차용 흡기장치
JPH0754602Y2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960007390Y1 (ko) 자동차용 흡기 스월조절장치
Chikahisa et al. Comparison of theoretical predictions and experimental results on air-entrainments in diesel fuel sprays
KR19980064469U (ko) 자동차 연료레일의 연결구조
JPH0979109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H0347434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制御装置
KR19980056577A (ko) 디젤 차량용 연료 탱크의 챔버
KR970001932A (ko) 자동차의 연료인젝터 분사구조
RU96115749A (ru) Двухтопливная система питания с форсункой и воздушным подогревателем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970044168A (ko) 자동차의 오일쿨러
KR970045276A (ko) 인젝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