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023Y1 - 영상용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용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023Y1
KR200162023Y1 KR2019970001769U KR19970001769U KR200162023Y1 KR 200162023 Y1 KR200162023 Y1 KR 200162023Y1 KR 2019970001769 U KR2019970001769 U KR 2019970001769U KR 19970001769 U KR19970001769 U KR 19970001769U KR 200162023 Y1 KR200162023 Y1 KR 200162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ssembly
spring
bracke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539U (ko
Inventor
삐에르규석서
Original Assignee
삐에르규석서
주식회사솜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삐에르규석서, 주식회사솜피 filed Critical 삐에르규석서
Priority to KR2019970001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023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5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0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린의 펼침방향을 하향이나 상향 어느 방향으로도 펼칠수 있도록하고, 스크린의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수 있으며, 휴대용으로서 스크린장치를 간편하게 이동시킬수 있도록하여 어떤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영상을 즐길수 있도록하는 영상용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원주형 모터(10)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권취 및 풀림이 가능하도록하는 스크린 조립체(20)와,상기한 스크린 조립체(20)를 권취 및 풀리도록 회동하는 원주형 모터 조립체(10)와, 상기한 스크린 조립체(20)의 펼침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조립체(40)와, 상기한 원주형 모터 조립체(10)와 상기한 스크린 조립체(20)와 상기한 스프링 조립체(40)를 지지 및 수납하는 하우징 조립체(30)를 포함하여된 것이며, 상하향 어느 방향으로도 각도를 조정하여 설치할수 있으며 이동식으로 어떤곳에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영상용 스크린 장치{an image projection screen apparatus}
본 고안은 영화나 슬라이드를 영사하기 위한 영상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당이나 극장 등의 무대에는 행사의 종류에 따라 스크린을 무대 공간에 현가되게하고 불필요시에는 이를 위로 끌어올려 무대위의 공간부에 숨게하여 공간을 활용하게되는데, 스크린을 승강시키기 위하여는, 스크린 권취드럼에 권취하여 이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스크린을 하강 또는 상승권취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스크린장치는 스크린을 높은 곳에서 하향으로 자중을 이용하여 수직 하강시킴으로 수직으로 펼쳐진 스크린은 보는 이의 눈과 각도가 맞지 않아 피로감을 주게됨으로 스크린에 소정의 경사각을 부여하게 된다.
스크린에 있어서 기울기 조정은, 대형 스크린이나, 교육용 시청각교재로서 특히 성장기의 학생들의 시력보호에 대단히 중요하게 고려되어야할 문제이다.
종래에는 스크린 권취드럼에서 드럼의 풀림회전에 의하여 자중으로 하강한 스크린의 하단에 와이어나 체인 등을 연결하고 이 와이어나 체인을 스풀에 감거나 풀도록하는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스크린에 경사각을 주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은 모터와 체인 등의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스크린의 면을 팽팽하게 설치하기가 어려워서 번거롭고 불필요한 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천정공간에 스크린장치가 되어있지않은 회의실이나 교실등에서 영화나 슬라이드 상영을 위한 스크린장치로서 정역회전하는 원주형모터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드럼에 스크린의 일단을 연결하고, 다른 일단에 스크린의 펼침방향으로 탄력이 작용하는 스프링 및 와이어를 포함하는 스프링암과, 상기 스크린과 스프링암을 수납하는 수납함으로 이루어진 이동식 스크린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또한 각도조절이 되지 않아 어려움이 많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스크린의 펼침방향을 하향이나 상향 어느 방향으로도 펼칠수 있도록하고, 스크린의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수 있도록하여, 어떤 장소에서도 감상자가 눈의 피로도를 최소화하면서 용이하게 영상을 즐길수 있도록하는 영상용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로서,
a도는 정면도,
b도는 단면도임.
도 2는 도 1에서 스크린을 펼친 상태도로서,
a도는 스크린의 수직 펼침 상태도,
b도는 스크린의 각도 조정 상태도
도 3은 도 2a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5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따른 일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주형 모터 11 :드럼
20 : 스크린 21 : 마감대
30 : 수납함 33b : 장공
41 : 스프링 35 : 브라켓
52 : 볼트 61 : 바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단을 정역회전하는 원주형모터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드럼에 고정하고 타단에는 마감대를 부착하여 구성되는 스크린조립체와,
상기 스크린조립체의 펼침수단으로서, 스크린을 펼침방향으로 끌어내도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및 와이어와, 상기 스프링 및 와이어를 내장하는 상ㆍ하부암과, 상기 하부암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스프링조립체와,
상기 스크린조립체와 스프링조립체를 지지 및 수납하기 위한 수납실을 구비한 영상용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에 스크린 각도조절을 위한 두 개의 브라켓 고정공을 구비하되 하나는 고정공으로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공의 중심에 대하여 호를 이루는 장공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 영상용 스크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로서, a도는 정면도, b도는 단면도이며, 도 2는 스크린을 펼쳐올린 상태도로서, a도는 스크린의 수직 펼침 상태, b도는 스크린의 각도 조정 상태도이고, 도 3은 2a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일단을 정역회전하는 원주형모터(1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드럼(11)에 고정하고 타단에는 마감대(22)를 부착하여 구성되는 스크린(21)을 포함하는 스크린조립체(20)와,
상기 스크린조립체(20)의 펼침수단으로서, 스크린(21)을 펼침방향으로 끌어내도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41a) 및 와이어(41b)와, 상기 스프링(41a) 및 와이어(41b)를 내장하는 상ㆍ하부암(44)(45)과, 상기 하부암(45)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브라켓(35)을 포함하는 스프링조립체(40)와,
상기 스크린조립체(20)와 스프링조립체(40)를 지지 및 수납하기 위한 수납함(30)을 구비한 영상용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30)에 스크린 각도조절을 위한 두 개의 브라켓 고정공(33)을 구비하되 하나는 고정공(33a)으로,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공(33a)의 중심에 대하여 호를 이루는 장공(33b)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 고정공(33a)(33b)에는 상기한 스프링조립체(20)의 하부암(45)을 힌지고정하는 브라켓(35)이 볼트(52) 등의 체결수단으로 조립고정된다.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기 위하여, 수납함에 뚜껑(38)과 이동용 바퀴(61)를 추가로 부여하여도 무방하다.
미설명부호 12는 원주형 모터 스위치부, 43은 상ㆍ하부암 힌지축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살펴 본다.
하우징(30)과 스크린(21)의 마감대 사이에 힌지결합으로 설치된 인장스프링(40)은 언제나 스크린(20)을 펼침방향으로 당기고, 원주형 모터(10)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하여 드럼(11)으로부터 스크린(21)이 풀림과 동시에 스크린은 스프링(40)의 탄력에 의하여 팽팽하게 펼쳐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원주형 모터(10)를 수납 고정하는 수납함(30) 양측에 형성된 브라켓 고정용 고정공(33) 중의 하나인 호를 이루는 장공(33b)은 스크린(21)의 각도를 조절해 준다. 즉 브라켓(35)을 고정하는 두 개의 볼트(52) 중 하나는 고정공(33a)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원하는 각도만큼 브라켓(35))에 기울기를 부여한 상태가 되는 점에서 체결하여 스크린(21)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스크린(21)을 하우징(30)에 수납할때는 원주형 모터(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드럼(11)에 스크린(21)을 권취하게 된다. 이 때에 상기 스프링(40)은 일단이 힌지결합되어있는 스크린 마감대(21)에 당겨저 중심핀(41)을 중심으로 접혀지게되고 하우징(30) 안으로 수납된다.
도 5는 스크린을 무대 공간에 설치한 것을 예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즉 수납함(30)을 무대 천정에 각도를 조절하여 거꾸로 설치하고, 스크린(20)을 하향으로 펼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적정의 기울기를 부여하여 무대 공간에 고정설치하여 필요시마다 펼쳐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스크린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하는 각도조절기능을 수납함에 부여하여,
극장 등의 대형 스크린이나, 학습교재 등으로 널리 이용되는 비교적 규모가 작은 스크린을 사용하는 영상기재의 활용에 있어서, 감상자의 눈의 피로도를 최소화하여 시력보호에 기여하도록 한다.
또한, 무대 공간에 현수고정하여 사용하거나, 간편하게 휴대 또는 이동식으로, 어떤 곳에서도 적용이 용이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고장 발생의 염려가 전혀 없고, 번거로운 작업과 다른 부재들을 쓰지 않아도 되므로 시간적 공간적 경제적으로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수 있게 하는 등, 여러 가지면으로 잇점을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일단을 정역회전하는 원주형모터(1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드럼(11)에 고정하고 타단에는 마감대(22)를 부착하여 구성되는 스크린(21)을 포함하는 스크린조립체(20)와,
    상기 스크린조립체(20)의 펼침수단으로서, 스크린(21)을 펼침방향으로 끌어내도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41a) 및 와이어(41b)와, 상기 스프링(41a) 및 와이어(41b)를 내장하는 상ㆍ하부암(44)(45)과, 상기 하부암(45)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브라켓(35)을 포함하는 스프링조립체(40)와,
    상기 스크린조립체(20)와 스프링조립체(40)를 지지 및 수납하기 위한 수납함(30)을 구비한 영상용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30)에 스크린 각도조절을 위한 두 개의 브라켓 고정공(33)을 구비하되 하나는 고정공(33a)으로,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공(33a)의 중심에 대하여 호를 이루는 장공(33b)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영상용 스크린 장치.
KR2019970001769U 1997-02-05 1997-02-05 영상용 스크린 장치 KR200162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769U KR200162023Y1 (ko) 1997-02-05 1997-02-05 영상용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769U KR200162023Y1 (ko) 1997-02-05 1997-02-05 영상용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539U KR19980057539U (ko) 1998-10-15
KR200162023Y1 true KR200162023Y1 (ko) 1999-12-01

Family

ID=1949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769U KR200162023Y1 (ko) 1997-02-05 1997-02-05 영상용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0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03B1 (ko) 2008-05-16 2010-07-06 박용균 이동수단을 구비한 상향식 전동스크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882B1 (ko) * 2018-01-09 2019-04-01 유종민 선박의 기관실 침수알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03B1 (ko) 2008-05-16 2010-07-06 박용균 이동수단을 구비한 상향식 전동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539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3152A (en) Screen projection apparatus
JP4547425B2 (ja) 壁掛式表示装置の角度調節装置
US20040107613A1 (en) Automatic blinder-type display assembly
JP3002103B2 (ja) 可搬式スクリーン
US20080169403A1 (en) Audio Visual System
KR100443990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090052712A1 (en) Stabilized Deployable-Retractable System, Principally for an Acoustic Loudspeaker System
KR200162023Y1 (ko) 영상용 스크린 장치
US10816889B1 (en) Dynamic and multi-sided viewing projection screen assembly for a garage door and system thereof
KR102296512B1 (ko) 회전식 차양막 장치
KR100968703B1 (ko) 이동수단을 구비한 상향식 전동스크린
KR100549309B1 (ko)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가변 벽걸이 장치
KR20200011061A (ko)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
CN213934525U (zh) 一种屏幕可卷曲的便携式投影系统
KR20010088686A (ko) 야외극장용 스크린장치 겸용 무대장치
KR200295441Y1 (ko) 프로젝터 및 액정 모니터 지지대
KR200344907Y1 (ko) 홈시어터용 스크린장치
JPH09139905A (ja) 投写表示装置
KR20060133857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 결합 구조
KR200163196Y1 (ko) 캠코더를 이용한 시청각장치
KR200249676Y1 (ko) 건물 창문용 스크린 장치
JP3400890B2 (ja) スクリ−ン
JPH10108104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233620Y1 (ko) 천정내장용 프로젝터 장치
KR0113987Y1 (ko) 커텐의 권치기의 감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