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061A -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061A
KR20200011061A KR1020180085451A KR20180085451A KR20200011061A KR 20200011061 A KR20200011061 A KR 20200011061A KR 1020180085451 A KR1020180085451 A KR 1020180085451A KR 20180085451 A KR20180085451 A KR 20180085451A KR 20200011061 A KR20200011061 A KR 20200011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frame
screen
large screen
bar
chroma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8409B1 (ko
Inventor
강신범
Original Assignee
강신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범 filed Critical 강신범
Priority to KR1020180085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40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67Projection screens for colour pro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 H04N9/75Chrom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호 중간부분이 힌지 방식으로 교차 결합된 'X'자 형상의 링크바와; 상기 링크바가 수직 및 수평 방향을 따라 격자 모양으로 연속적으로 배열 설치되도록 상기 링크바의 각 단부를 상호 이음 연결하는 연결구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격자 모양으로 연속 배열된 링크바가 수직 및 수평을 따라 확장되도록 전/후방 서로 마주보는 상기 연결구에 상호 이음 연결되는 작동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가설프레임과; 상기 가설프레임의 최상단에 걸어 영상물의 배경이 되도록 넓게 펼쳐지는 스크린과; 상기 가설프레임의 최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설프레임의 전복을 방지하고, 확장 방향을 제한하여 가이드하는 받침구과; 상기 가설프레임의 링크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탄성복원력에 의한 상기 가설프레임의 순간 확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장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링크바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가설프레임의 구조로 확장 및 부피 축소를 통해 이동 수납이 가능하고, 상기 가설프레임의 확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통해 원터치 또는 간편 설치가 용이하여 초보자가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스크린거치대를 통해 스크린에 커브를 주어 영상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Removable large screen and chroma key device}
본 발명은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이동 수납이 가능하고, 원터치 또는 간편 설치가 가능한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당, 강의실, 교회, 행사장 등에 사용되는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본체 하우징 내에 말아서 보관했다가 필요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화면 사이즈에 비해 기기의 부피를 작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대형 스크린에 관련된 특허문헌 1은 개인휴대 정보단말기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개인휴대 정보단말기에 접속 및 고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가 고정대와, 유연 디스플레이를 감을 수 있는 지지축 역할을 하는 회전 케이스와,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유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스틱 둘레로 랩핑(Wrapping) 되도록 구성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힌지식 프레임을 채택한 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대형 스크린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취약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특히 멀티 터치와 같은 조작을 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와 같이 힌지식 프레임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방식은 대화면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가 곤란하고, 펼치고자 하는 화면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없는 취약점이 있다.
또한, 이미 벽면 또는 천장에 인출/수납되는 롤스크린으로 설치되어 이동이 불가능하여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없고, 1회 설치 후 출입문을 통과할 수 없어 장소 이동에 불편하며, 설치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818170 B1 KR 10-2009-0076996 A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링크바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가설프레임의 구조로 확장 및 부피 축소를 통해 이동 수납이 가능하고, 상기 가설프레임의 확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통해 원터치 또는 간편 설치가 용이하여 초보자가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스크린거치대를 통해 스크린에 커브를 주어 커브 스크린 영상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이동식 대형 커브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 중간부분이 힌지 방식으로 교차 결합된 'X'자 형상의 링크바와; 상기 링크바가 수직 및 수평 방향을 따라 격자 모양으로 연속적으로 배열 설치되도록 상기 링크바의 각 단부를 상호 이음 연결하는 연결구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격자 모양으로 연속 배열된 링크바가 수직 및 수평을 따라 확장되도록 전/후방 서로 마주보는 상기 연결구에 상호 이음 연결되는 작동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가설프레임과; 상기 가설프레임의 최상단에 걸어 영상물의 배경이 되도록 넓게 펼쳐지는 스크린과; 상기 가설프레임의 최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설프레임의 전복을 방지하고, 확장 방향을 제한하여 가이드하는 받침구과; 상기 가설프레임의 링크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탄성복원력에 의한 상기 가설프레임의 순간 확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장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링크바의 힌지 부분에 구비되며, 부시 형상으로 내측에 나사산을 갖는 힌지브라켓과; 상기 링크바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수직 연장되며, 상기 힌지브라켓에 체결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는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바를 회전 작동을 통해 상기 힌지브라켓을 승강 조절시켜 상기 링크바의 확장 속도를 조절하는 회전구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체는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핸들을 갖는 기어유닛 또는 자동 조작이 가능한 서보모터 중 어느 한가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설프레임의 최상단에는 상기 스크린이 만곡 형상의 평면을 갖도록 상기 스크린의 상단을 고정하는 만곡 형상의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설프레임의 최상단 연결구에 걸리는 걸고리로 이루어진 스크린거치대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받침구는 상기 가설프레임의 최하단에 전/후방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설프레임의 최하단의 전/후방 연결구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가이드바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가설프레임의 최하단의 전/후방 연결구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고정체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전/후진으로 이동되는 유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여 이동 수납이 가능하고, 원터치 또는 간편 설치가 가능하여 초보자도 스크린을 매우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기존에 비해 설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의 확장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의 축소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에서 조절수단 및 받침구를 나타내는 일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에서 스크린거치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바가 교차되는 링크바(210), 이에 각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구(220), 상기 링크바(210)가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게 탄성력을 가하는 작동스프링(230)를 포함 가설프레임(200)이 제공된다.
다시 말해, 링크바(210)는 상호 중간부분이 힌지 방식으로 교차 결합된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가 준비된다.
이때, 연결구(220)는 상기 링크바(210)가 수직 및 수평 방향을 따라 격자 모양으로 연속적으로 배열 설치되도록 상기 링크바(210)의 각 단부를 상호 이음 연결한다.
즉, 상기 링크바(210)는 상기 연결구(220)의 연결을 통해 다수개가 가로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어 격자 모양으로 가설프레임(200)을 형성한다.
더불어, 전/후방 서로 마주보는 상기 연결구(220)의 사이에는 작동스프링(230)이 상호 이음 연결되어 이 작동스프링(2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격자 모양으로 연속 배열된 링크바(210)가 수직 및 수평을 따라 작업자의 임의 작업이 필요 없이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상단에 걸어 영상물의 배경이 되도록 넓게 펼쳐지는 스크린(100)이 구비되고,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하단에는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전복을 방지하고, 확장 방향을 제한하여 가이드하는 받침구(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구(300)는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하단에 전/후방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는 가이드바(3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310)의 전/후 방향에는 각각 상기 연결구(220)와 동일 기능을 갖는 고정체(320) 및 유동체(33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체(320)는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하단의 전/후방 연결구(220)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가이드바(310)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체(330)는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하단의 전/후방 연결구(220)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고정체(320)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바(310)를 따라 전/후진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체(320)에 상기 가이드바(310)의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링크바(210)의 확장/축소에 따라 상기 유동체(330)가 가이드바(310)를 따라 전/후진됨에 따라 다수의 링크바(210)로 조립된 가설프레임(200)이 전/후방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링크바(210) 중 어느 하나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한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순간 확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장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수단(400)의 위치는 원활한 작동을 위해 가설프레임(200)의 좌/우 어느 한쪽에 하나의 링크바(210)를 제어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수단(400)에 경우 우선적으로 상기 링크바(210)의 힌지 부분에는 부시 형상으로 내측에 나사산을 갖는 힌지브라켓(4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브라켓(410)에 관통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링크바(21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수직 연장되는 스크류바(310)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스크류바(310)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스크류바(4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바(420)를 회전 작동을 통해 상기 힌지브라켓(410)을 승강 조절시켜 상기 링크바(210)의 확장 속도를 조절하는 회전구동체(4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체(430)에 경우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핸들을 갖는 기어유닛 또는 자동 조작이 가능한 서보모터 중 어느 한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 상단에는 상기 스크린(100)의 영상을 더욱 미려하게 볼 수 있도록 커브스크린(100)을 커브 처리할 수 있는 스크린거치대(5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크린거치대(500)는 상기 스크린(100)이 만곡 형상의 평면을 갖도록 상기 스크린(100)의 상단을 고정하는 만곡 형상의 크로스바(510)와; 상기 크로스바(510)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상단 연결구(220)에 걸리는 걸고리(5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중앙에는 상기 가설프레임(200)이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 단이 힌지 결합되고, 소정의 길이로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중앙을 체결 관통하는 전동스크류(610)와, 상기 전동스크류(610)의 단부에 구비되어 바닥에 슬립 방지와 함께 상기 전동스크류(610)를 시키는 구동모터(620)로 이루어진 구동접이장치(600)를 더 포함하여 자동으로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확장/축소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설프레임(200)이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에 받침구(300)가 있다 하더라도,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일정한 회전 구동 후 작동을 멈추게 구동접이장치(600)가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100)의 각 테두리에는 상기 스크린(100)이 바람 등의 다른 외부 요인에 의해 울렁임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을 일체로 하여 'L'자 및'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탠션너(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받침구(300)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해 캐스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여 이동 수납이 가능하고, 원터치 또는 간편 설치가 가능하여 초보자도 스크린을 매우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기존에 비해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스크린
200: 가설프레임
210: 링크바
220: 연결구
230: 작동스프링
300: 받침구
310: 가이드바
320: 고정체
330: 유동체
400: 조절수단
410: 힌지브라켓
420: 스크류바
430: 회전구동체
500: 스크린거치대
510: 크로스바
520: 걸고리
600: 구동접이장치
610: 전동스크류
620: 구동모터
700: 탠셔너

Claims (7)

  1. 상호 중간부분이 힌지 방식으로 교차 결합된 'X'자 형상의 링크바(210)와; 상기 링크바(210)가 수직 및 수평 방향을 따라 격자 모양으로 연속적으로 배열 설치되도록 상기 링크바(210)의 각 단부를 상호 이음 연결하는 연결구(220)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격자 모양으로 연속 배열된 링크바(210)가 수직 및 수평을 따라 확장되도록 전/후방 서로 마주보는 상기 연결구(220)에 상호 이음 연결되는 작동스프링(230)으로 이루어진 가설프레임(200)과;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상단에 걸어 영상물의 배경이 되도록 넓게 펼쳐지는 스크린(100)과;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전복을 방지하고, 확장 방향을 제한하여 가이드하는 받침구(300)과;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링크바(2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탄성복원력에 의한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순간 확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장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400)은,
    상기 링크바(210)의 힌지 부분에 구비되며, 부시 형상으로 내측에 나사산을 갖는 힌지브라켓(410)과;
    상기 링크바(21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수직 연장되며, 상기 힌지브라켓(410)에 체결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는 스크류바(420)와;
    상기 스크류바(4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바(420)를 회전 작동을 통해 상기 힌지브라켓(410)을 승강 조절시켜 상기 링크바(210)의 확장 속도를 조절하는 회전구동체(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체(430)는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핸들을 갖는 기어유닛 또는 자동 조작이 가능한 서보모터 중 어느 한가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상단에는,
    상기 스크린(100)이 만곡 형상의 평면을 갖도록 상기 스크린(100)의 상단을 고정하는 만곡 형상의 크로스바(510)와;
    상기 크로스바(510)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상단 연결구(220)에 걸리는 걸고리(520)로 이루어진 스크린거치대(5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구(300)는,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하단에 전/후방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는 가이드바(310)와;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하단의 전/후방 연결구(220)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가이드바(31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체(320)와;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최하단의 전/후방 연결구(220)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고정체(320)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바(310)를 따라 전/후진으로 이동되는 유동체(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중앙에는
    상기 가설프레임(200)이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 단이 힌지 결합되고, 소정의 길이로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중앙을 체결 관통하는 전동스크류(610)와, 상기 전동스크류(610)의 단부에 구비되어 바닥에 슬립 방지와 함께 상기 전동스크류(610)를 시키는 구동모터(620)로 이루어진 구동접이장치(600)를 더 포함하여 자동으로 상기 가설프레임(200)의 확장/축소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00)의 각 테두리에는,
    상기 스크린(100)이 바람 등의 다른 외부 요인에 의해 울렁임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을 일체로 하여 'L'자 및'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탠션너(7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
KR1020180085451A 2018-07-23 2018-07-23 이동식 대형 스크린 장치 KR102168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451A KR102168409B1 (ko) 2018-07-23 2018-07-23 이동식 대형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451A KR102168409B1 (ko) 2018-07-23 2018-07-23 이동식 대형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061A true KR20200011061A (ko) 2020-02-03
KR102168409B1 KR102168409B1 (ko) 2020-10-22

Family

ID=6962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451A KR102168409B1 (ko) 2018-07-23 2018-07-23 이동식 대형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4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991B1 (ko) * 2020-12-24 2021-04-06 주식회사 디에스패션컴퍼니 웹페이지 및 이를 출력하는 시스템
CN115268197A (zh) * 2022-07-26 2022-11-01 山东金东数字创意股份有限公司 一种环形双层旋转移动纱幕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170B1 (ko) 2007-03-13 2008-04-02 한국과학기술원 두루마리형 유연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KR20090076996A (ko) 2006-10-31 2009-07-13 폴리머 비젼 리미티드 힌지식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KR20090119660A (ko) * 2008-05-16 2009-11-19 최해용 휴대용 접이식 스크린
KR20120003178U (ko) * 2010-10-29 2012-05-09 최해용 휴대용 구조의 입체용 스크린
KR20160008992A (ko) * 2014-07-15 2016-01-25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곡률을 갖는 스크린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상영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996A (ko) 2006-10-31 2009-07-13 폴리머 비젼 리미티드 힌지식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KR100818170B1 (ko) 2007-03-13 2008-04-02 한국과학기술원 두루마리형 유연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KR20090119660A (ko) * 2008-05-16 2009-11-19 최해용 휴대용 접이식 스크린
KR20120003178U (ko) * 2010-10-29 2012-05-09 최해용 휴대용 구조의 입체용 스크린
KR20160008992A (ko) * 2014-07-15 2016-01-25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곡률을 갖는 스크린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상영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991B1 (ko) * 2020-12-24 2021-04-06 주식회사 디에스패션컴퍼니 웹페이지 및 이를 출력하는 시스템
CN115268197A (zh) * 2022-07-26 2022-11-01 山东金东数字创意股份有限公司 一种环形双层旋转移动纱幕装置
CN115268197B (zh) * 2022-07-26 2024-03-29 山东金东数字创意股份有限公司 一种环形双层旋转移动纱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409B1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9287B (zh) 端正姿势用书桌和包括该书桌的系统家具
US9593481B2 (en) Wall-moun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positioning objects
CN103839485B (zh) 可将显示荧幕固定于不同视角的显示装置
KR20200011061A (ko) 이동식 대형 스크린 및 크로마키 장치
JP6403384B2 (ja) 支持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EP1789721A2 (en) Stabilized deployable-retractable system, principally for an acoustic loudspeaker system
CN207455114U (zh) 一种支撑手术室裸眼3d显示器的升降装置
CN209915314U (zh) 一种带有手摇机构的学习桌
BR102013033029A2 (pt) Dispositivo mostrador
CN217559519U (zh) 一种吊顶式电视支架
KR100968703B1 (ko) 이동수단을 구비한 상향식 전동스크린
TWI715484B (zh) 螢幕架及顯示裝置
KR20080063685A (ko)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 조절을 위한탄성력 조절 장치
KR200494740Y1 (ko) 대형 스크린 장치
TWM598369U (zh) 螢幕架及顯示裝置
CN207506171U (zh) 一种可随意调节显示器角度的多媒体讲台
JP3347094B2 (ja) テーブル
CN210870278U (zh) 一种双面360度自由旋转化妆镜
KR100884410B1 (ko) 빔 프로젝터 자세제어장치
CN105212532B (zh) 一种手机或书本支架
JP3683683B2 (ja) 衣類ハンガー
CN213149444U (zh) 一种室内放映设备
JP7363281B2 (ja) テーブル
US8960103B2 (en) Apparatus for concealing a product
CN219908275U (zh) 晾衣组件及晾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