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872Y1 - 지수밸브겸용 새들 분수전 - Google Patents

지수밸브겸용 새들 분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872Y1
KR200161872Y1 KR2019970034209U KR19970034209U KR200161872Y1 KR 200161872 Y1 KR200161872 Y1 KR 200161872Y1 KR 2019970034209 U KR2019970034209 U KR 2019970034209U KR 19970034209 U KR19970034209 U KR 19970034209U KR 200161872 Y1 KR200161872 Y1 KR 200161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tain
saddle
water
branch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724U (ko
Inventor
정태희
김광주
Original Assignee
정태희
주식회사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희, 주식회사삼진정밀 filed Critical 정태희
Priority to KR2019970034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872Y1/ko
Publication of KR199900207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7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8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본관에서 분기작업시 부단수(不斷水) 천공작업이 가능한 새들 분수전에 관한 것으로, 새들 분수전을 지관의 통수를 조절하는 지수밸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새들 분수전의 분수전봉에 연결대 하부의 연결캡을 씌워 고정핀으로 고정시키고 분수전봉이 돌출된 산형돌기에 고정환을 끼운 후 상기 고정환에 연결관을 나사고정시키며 상기 연결관 상부를 덮는 덮개에서 연결대를 돌출시켜 핸들을 끼워주므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은 지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철캡을 설치하게 된다.

Description

지수밸브 겸용 새들 분수전
본 고안은 수도본관에서 분기작업시 부단수(不斷水) 천공작업이 가능한 새들 분수전에 관한 것으로,
새들 분수전을 지관의 통수를 조절하는 지수밸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도본관의 분기작업시 부단수 천공작업이 가능한 새들 분수전(1)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본관(16)의 분기위치에 밴드(3)와 함께 볼트(4)로 체결되는 새들(2)과, 상기 새들(2)의 상부에 고정되고 분수전(9)이 좌, 우이동되 분기구(10)를 개폐시키는 본체(5)와, 본체(5)상부에 결합되고 분수전(9)을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판(6)을 회전시키는 분수전봉(15)을 구비하는 한편 분기구(10)와 연결된 분기관(13)을 구비한 덮개(1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새들 분수전(1)은 평상시 본체(5)에 뚫린 분기구(10)와 분기관(13)이 연결되고 분기구(10)가 개방된 상태로 놓이게 되며 회전판(6)의 중앙에 고정되어 덮개(12)의 산형돌기(14)로 돌출시킨 분수전봉(15)을 회전시키면 회전판(6)이 회전되고 회전판(6)의 하측에는 분수전(9)의 장홈(8)에 끼워진 걸림구(7)가 형성되어 있어 분수전(9)이 분기구(10)를 막는쪽으로 이동하여 분수전(9)이 오링(11)과 밀착되면서 분기구(10)를 막아주게 된다.
분수전봉(15)을 반대로 회전시키면 분수전(9)이 후퇴하여 분기구(10)를 개방시키게 된다.
새들 분수전(1)의 본체(5)가 고정된 새들(2)은 수도본관(16)의 분기위치에 가스킷과 함께 올려 놓은 후 수도본관(16)의 하부에는 밴드(3)를 위치시켜 밴드(3)와 새들(2)을 볼트(4)로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상태에서 분기관(13)을 통하여 천공기로 수도본관(16)을 천공시킨 후 천공기를 약간 후퇴시키되 분기관(13)에서 빼내지 않은 상태에서 분수전봉(15)을 돌려 분수전(9)으로 분기구(10)를 막아 천공된 구멍으로 분출되는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천공기를 제거시킨 후 분기관(13)에 지관(17)연결작업을 하고 분수 전봉(15)을 돌려 지관(17)으로 물을 통수시키게 된다.
따라서 새들 분수전(1)은 부단수상태에서 분기작업은 할 수 있으나 분기작업 후 그대로 묻어버리게 되어 지관(17)중간에 별도의 지수밸브를 설치하여 지관(17)으로 흐르는 물을 단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기존의 새들 분수전(1)은 지관(17)의 분기작업시 1회 조작 후 매몰되어지는 관계로 효율적이지 못하고 지관(17)의 단수가 필요할 때 지상에서 단수시킬 수 있는 지수밸브와 철캡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예산낭비가 따르게 되고 지수밸브의 위치와 수도본관(16)의 위치가 서로 달라 관리상의 문제가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수도본관에서 지관을 분기시킬 때 사용하는 새들 분수전을 지상에서 개폐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수밸브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지관에 설치하는 지수밸브를 없애도록 한 것이다.
이같이 부단수 분기작업이 가능한 새들 분수전을 지관의 지수밸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은, 새들 분수전의 분수전봉에 연결대 하부의 연결캡을 씌워 고정핀으로 고정시키고 분수전봉이 돌출된 산형돌기에 고정환을 끼운 후 상기 고정환에 연결관을 나사고정시키며 상기 연결관 상부를 덮는 덮개에서 연결대를 돌출시켜 핸들을 끼워주므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은 지상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철캡을 설치하게 된다.
제1도는 기존 새들 분수전 설치상태 사시도.
제2도는 기존 새들 분수전 설치상태 정면도.
제3도는 기존 새들 분수전의 분수전 이송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 : 새들 분수전 2 : 새들
3 : 밴드 5 : 본체
6 : 회전판 9 : 분수전
12 : 덮개 15 : 분수전봉
16 : 수도본관 17 : 지관
20 : 연결대 21 : 연결캡
22 : 고정핀 23 : 고정환
24 : 연결관 27 : 핸들
30 : 철캡
본 고안은 새들 분수전(1)에 있어서, 분수전봉(15)이 돌출 설치된 산형돌기(14)에 고정환(23)을 나사조임방식으로 끼우고,
분수전봉(15)에는 연결대(20)하부에 형성된 연결캡(21)을 외삽시킨 후 연결캡(21)과 분수전봉(15)에 고정핀(22)을 박아 고정시키며 연결관(24)을 고정환(23)에 외삽시킨 후 연결관(24)외부에서 고정환(23)에 볼트(25)를 박아 고정환(23)에 고정시키고
연결관(24)상부는 덮개(26)를 씌워 이물질의 삽입을 방지하되 연결대(20)가 덮개(26)상측으로 돌출되게 하며 연결대(20)상부에는 핸들(27)을 끼워 고정시킨다.
핸들(27)의 직상부에는 철캡(30)을 묻어주되 철덮개(31)가 지면(33)과 수평되게 하고 내부에 속덮개(32)를 형성시킨다.
이때 핸들(27)의 묻힘정도는 지면(33)에 수평된 철덮개(31)를 열고 속덮개(32)를 개방시킨 후 지면(33)에 앉아 핸들(27)을 조작할 수 있는 정도로 묻어준다.
이와 같이 구성의 본 고안에서 새들 분수전(1)의 구성과 그에 대한 동작은 종래 기술설명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새들 분수전(1)의 분수전봉(15)에 연결대(20)를 연결하되 연결대(20)는 외부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는 연결관(24)으로 씌운 후 연결대(20)에 핸들(27)을 끼워 핸들(27)의 회전에 따라 분수전(9)이 좌, 우이동되며 지관(17)으로의 물흐름을 개폐시키게 된다.
여기서 핸들(27)은 지면(33)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철캡(30)을 씌워주고 철캡(30)에는 속덮개(32)와 철덮개(31)가 구비된다.
기존의 새들 분수전(1)을 수도본관(16)에서 지관(17)을 분기연결시킬 때 부단수 분기가 가능하도록 하는데만 이용되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지관(17)분기시 이용됨은 물론 지관(17)의 지수밸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지관(17)의 단수가 필요할 때 사용하도록 지수밸브를 설치하지 않아도 새들 분수전(1)으로 지관(17)의 단수를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수도본관에서 분기작업시 부단수 천공이 가능한 새들 분수전과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도 개폐조작이 가능한 지주밸브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지수밸브를 별도로 설치하는데 따른 예산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수도본관에 직접설치되는 관계로 수도본관의 위치 및 지관의 분기위치를 지상에서 정확히 알 수 있어 수도본관의 위치를 몰라 작업시 파손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수도본관(16)에 새들(2)과 밴드(3)로 결합된 본체(5)에 분기구(10)를 개폐시키는 분수전(9)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5)에 분수전(9)을 이동시키는 분수전봉(15)과 분기관(17)이 형성된 덮개(12)를 씌워 구성된 새들 분수전(1)에 있어서, 분수전봉(15)이 돌출 설치된 산형돌기(14)에 고정환(23)을 나사조임방식으로 끼우고, 분수전봉(15)에는 연결대(20)하부에 형성된 연결캡(21)을 외삽시킨 후 연결캡(21)과 분수전봉(15)에 고정핀(22)을 박아 고정시키며, 연결관(24)을 고정환(23)에 외삽시킨 후 연결관(24)외부에서 고정환(23)에 볼트(25)를 박아 고정환(23)에 고정시키고, 연결관(24)상부는 덮개(26)를 씌우되 연결대(20)가 덮개(26)상측으로 돌출되게 하며, 연결대(20)상부에는 핸들(27)을 끼워 고정시키고, 핸들(27)의 직상부에는 철덮개(31)가 지면(33)과 수평되게 철캡(30)을 묻어 구성되는 지수밸브 겸용 새들 분수전.
KR2019970034209U 1997-11-28 1997-11-28 지수밸브겸용 새들 분수전 KR200161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209U KR200161872Y1 (ko) 1997-11-28 1997-11-28 지수밸브겸용 새들 분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209U KR200161872Y1 (ko) 1997-11-28 1997-11-28 지수밸브겸용 새들 분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724U KR19990020724U (ko) 1999-06-25
KR200161872Y1 true KR200161872Y1 (ko) 1999-12-01

Family

ID=1951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209U KR200161872Y1 (ko) 1997-11-28 1997-11-28 지수밸브겸용 새들 분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8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85Y1 (ko) * 2008-01-02 2010-07-07 한국수자원공사 수도용 수직조작형 새들분수전
KR100986806B1 (ko) 2010-05-20 2010-10-08 한희철 지수전 기능을 구비하는 새들 분기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218Y1 (ko) * 2000-04-07 2000-09-15 김제현 부단수 천공용 제수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85Y1 (ko) * 2008-01-02 2010-07-07 한국수자원공사 수도용 수직조작형 새들분수전
KR100986806B1 (ko) 2010-05-20 2010-10-08 한희철 지수전 기능을 구비하는 새들 분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724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1872Y1 (ko) 지수밸브겸용 새들 분수전
KR100831821B1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101568737B1 (ko) 부단수 할정자관
KR20160121349A (ko) 부단수 할정자관
JP2681426B2 (ja) 分水用継ぎ輪
GB2121144A (en) Radiator valve
KR100685857B1 (ko) 분리형 수도전
KR820000353Y1 (ko) 수도꼭지의 동결방지 장치
JP3591018B2 (ja) 電気解氷可能な地上配管型水抜栓
JP2003254489A (ja) 分水栓交換工法と変換分水栓
KR102346091B1 (ko) 지중배전용 파형관 삽입형 튜브 방수구
KR100270843B1 (ko) 동파방지가 부설된 밭기반 전용 수도미터기 보호통
KR960004545Y1 (ko) 자동드레인 장치가 장착된 소화전 메인 볼 밸브
JP4435960B2 (ja) サドル分水栓の止水方法および止水装置
KR102169919B1 (ko) 동파방지를 위한 멀티 용수배출구용 부동급수전
JP3764571B2 (ja) 散水栓用箱
KR102288578B1 (ko) 자연 배수 기능을 갖는 볼 밸브
KR101276226B1 (ko) 새들 분수전
KR200210178Y1 (ko) 소화전용 제수밸브
KR200169823Y1 (ko) 상수도용 부동전
US4830044A (en) Piping connector
KR19990034302U (ko) 밸브 일체형 지관 연결 장치
KR200154937Y1 (ko) 세탁기의 배수유로방향 전환장치
JP3068564B2 (ja) 水抜栓
FR2744194A1 (fr) Dispositif, du type couramment denomme "robinet de prise en char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