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867Y1 -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867Y1
KR960003867Y1 KR2019930013262U KR930013262U KR960003867Y1 KR 960003867 Y1 KR960003867 Y1 KR 960003867Y1 KR 2019930013262 U KR2019930013262 U KR 2019930013262U KR 930013262 U KR930013262 U KR 930013262U KR 960003867 Y1 KR960003867 Y1 KR 960003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ter
pipe
locking
connecting pipe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3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880U (ko
Inventor
오진영
Original Assignee
안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선규 filed Critical 안선규
Priority to KR2019930013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867Y1/ko
Publication of KR950003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8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8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결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부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부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도미터기 보호통 2 : 연결관
5 : 관삽입홀 6 : 돌기
7 : 삽입부 8 : 걸림턱
9 : 좌판 10 : 돌출부
11 : 걸림대 13 : 마개
14 : 방수패킹 A 14' : 방수패킹 B
15 : 걸림패킹 16 : 삽입대
17 : 고정턱 18 : 나사형상
20 : 지지대
본 고안은 수도전에 연결되는 수도 미터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땅속에 묻는 수도 미터기 보호통과 수도전이 내장되는 연결관을 결합시키기 위한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도전에는 수도물의 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한 수도 미터기가 연결되어지고 수도전은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지방별로 일정깊이 이상 땅속에 묻게 된다.
따라서 수도 미터기도 땅속에 묻혀야 하나 외부에서 쉽게 검침하기 위하여 수도 미터기 보호통을 땅에 묻은 후 상기 수도 미터기 보호통 내에 수도 미터기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수도 미터기는 검침의 편리함을 위하여 땅속에 묻힌 수도전의 깊이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수도 미터기와 수도전을 연결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이 필요하고 상기 입수관 및 출수관을 감싸는 연결관을 구비하여 수도 미터기 보호통 하부에 결합시켜 주게 된다,
이같이 수도 미터기 보호통과 연결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기술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출원93-6727호에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높이 조절장치로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수도 계량기 보호통의 높이 조절장치는 연결관을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어 나사로 조여 주게 되므로 결합의 번거러움이 발생되고 또한 연결관의 하부를 좌판의 걸림돌기에 결합시키게 되나 걸림돌기에 의해 연결관의 좌우회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수도 미터기 보호통에 결합되는 연결관을 쉽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연결관을 좌판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좌, 우 회전이 쉽게 될수 있도록 한 것으로,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하부에 끼워지는 연결관을 걸림패킹으로 수도 미터기 보호통과 결합시켜 주어 쉽게 수도 미터기 보호통과 연결관을 결합시키는 한편 수도 미터기 보호통이 연결관을 타고 상, 하 이동될 수 있도록함으로써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상부를 지면과 일치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은 연결관(2)(2')에 의해 좌판(9)과 연결되어 지지된다.
수도 미터기 보호통(1) 내부에는 수도 미터기(19)가 설치되고 얼결관(2)(2')의 내부 공간에는 입수관(4)과 출수관(12)이 내장되어 수도전과 수도 미터기(19)를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관(2)의 하측에는 걸림턱(8)과 삽입부(7) 및 돌기(6)를 형성시키는 한편 절개된 관삽입홀(5)을 형성시킨다.
상기 삽입부(7)는 좌판(9)의 돌출부(10)로 삽입되게 되며 이때 돌출부(10) 내부 걸림대(11)에 의해 걸림턱(8)이 걸리게 되고 돌기(6)에 의해 돌출부(10) 상부가 걸리게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관(2)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에는 방수패킹A(14)와 방수패킹B(14')를 고정시키는 마개(13)가 결합되게 되고 수도 미터기 보호통(1) 하부에는 상기 연결관(2)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을 뚫고 구멍주변에는 지지대(20)를 형성시켜 연결관(2) 몸체가 삽입되게 구성한다.
이때 방수패킹A(14)는 방패킹B(14')의 돌턱(14a)에 끼워지게 되며 방수패킹A(14)와 방수패킹B(14')에 형성된 절개부는 상호 대향된 위치에 놓이게 한다.
그리고 연결관(2) 몸체에는 걸림패킹(15)을 끼우고 걸림패킹(15)의 삽입대(16)가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의 지지대(20)에 삽입되게 한다.
이때 걸림패킹(15)의 내부에는 나사형상(18)을 형성시키거나 돌기를 형성시킨다.
즉 본 고안은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의 하부에 형성시킨 지지대(20)에 걸림패킹(15)을 끼워 지지대(20)가 삽입대(16)에 닿고 고정턱(17)에 의해 걸림패킹(15)이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관(2)에 입수관(4)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연결관(2)을 걸림패킹(15) 내부로 삽입시켜 연결관(2)이 걸림패킹(15)의 나사형상(18)에 의해 고정되게 한다.
이상태에서 방수패킹B(14')과 방수패킹A(14)를 밸브(3)에 씌운후 마개(13)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연결관(2)을 좌판(9)의 돌출부(10)에 밀어 넣으면 관삽입홀(5)이 좁아지면서 걸림턱(8)이 걸림대(11)에 걸리게 되어 좌판(9)에 연결관(2)이 고정되게 된다.
이때 연결관(2)의 입수관(4)을 잡고 좌우로 돌리면 연결관(2)은 걸림턱(8)이 걸림대(11)에 걸린 상태에서 좌, 우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대(20)에 걸림패킹(15)을 삽입시켜 걸림패킹(15)의 삽입대(16)가 지지대(20)에 결합되는 한편 고정턱(17)에 의해 걸림패킹(15)이 지지대(20)와 이탈되지 않게 한다.
이때 걸림패킹(15)은 고무재질로 되어 있어 지지대(20)에 삽입시 압착시킨후 놓아주면 원래 형태로 환원되면서 제4도의 단면 표시와 같이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관(2)의 관삽입홀(5)에 입수관(4)을 삽입시키되 밸브(3)를 상부로 하여 입수관(4)이 연결관(2)내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게 한다.
이같이 입수관(4)을 연결관(2)에 끼운후에는 밸브(3)쪽으로 방수패킹 B(14')를 끼운다.
여기서 방수패킹B(14')는 절개부에 의해 밸브(3)쪽으로 끼울 수 있으며 상기 방수패킹B(14')의 상부로 돌턱(14a)에 끼워지는 방수패킹A(14)를 끼운다.
이때 방수패킹A(14)와 방수패킹B(14')의 절개부는 상호 대향된 위치에 놓이게 하여 물이 연결관(2)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패킹A(14)와 방수패킹B(14')를 감싸는 마개(13)를 씌워 연결관(2)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다.
이상태에서 연결관(2)을 지지대(20)에 끼워진 걸림패킹(15)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면 연결관(2)은 걸림패킹(15)의 나사형상(18)에 의해 일정위치로 고정되며 연결관(2)의 결합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는 힘을 가하여 연결관(2)을 걸림패킹(15) 내부에서 위치이동시키면 된다.
즉 걸림패킹(15)에 지지된 연결관(2)은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위치이동되지 않고 나사형상(18)이 연결관(2)을 지지하는 힘 이상의 힘을 가하면 원하는 높이도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출수관(12)이 내장된 연결관(2')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하여 수도 미터기 보호통(1)과 결합시킨다.
이같이 연결관(2)(2')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관(2)(2')의 하부를 좌판(9)의 돌출부(10)(10')에 삽입 시키게 된다.
이때 연결관(2)의 하부는 관삽입홀(5)에 의해 절개되어 있게 되므로 연결관(2)의 하부를 돌출부(10)에 밀어 넣게 되면 연결관(2)의 하부는 안으로 오무라 들면서 돌출부(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진다.
이때 연결관(2)의 하부에는 걸림턱(8)이 구성되고 돌출부(10)의 내부에는 걸림대(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관(2)의 삽입부(7) 위치까지 밀게 되면 삽입부(7)는 걸림부(10a)와 결합되며 연결관(2) 하부는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걸림턱(8)이 걸림대(11)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연결관(2)을 좌판(9)의 돌출부(10)에 밀어 넣게 되면 걸림턱(8)이 걸림대(11)에 걸려 연결관(2)이 좌판(9)에서 빠지지 않게 되므로써 좌판(9)이 연결관(2)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연결관(2)에는 돌기(6)가 형성되어 돌출부(10)의 상부에 걸리게 되므로 연결관(2)이 그 이상 좌판(9)에 삽입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이같이 결합시킨 상태에서 수도전의 위치나 주변상황에 따라 입수관(4) 및 출수관(12)의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다.
즉 입수관(4)을 잡고 좌우로 회전시키면 연결관(2)의 상부는 걸림패킹(15)에 결합된 상태로 좌우 회전되고 또한 연결관(2)의 하부는 좌판(9)에 결합되어 걸림턱(8)이 걸림대(11)를 따라 좌, 우 이동되게 되므로 결국 입수관(4) 및 출수관(12)의 위치를 쉽게 변동시킬 수 있다.
이같이 연결관(2)으로 좌판(9)과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입수관(4)과 출수관(12)의 일측을 수도전과 연결시키고 타측은 수도 미터기 보호통(1) 내부에서 수도 미터기(19)와 연결시키면 작업이 끝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연결관(2)의 몸체를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의 하부에 형성시킨 지지대(20)에 끼워진 걸림패킹(15)에 삽입시킴으로써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을 힘주어 밀게 되면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이 연결관(2)의 몸체를 타고 밑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을 힘주어 위로 올리면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이 연결관(2)의 몸체를 타고 위로 밀리게 된다.
이때 걸림패킹(15)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쉽게 상기된 바와 같이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을 이동시킬 수는 없으나 어느 정도 이상의 힘을 가하면 이동시킬 수 있다.
이같이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을 상,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이유는 지역에 따라 연결관(2)의 길이는 결정되어 있으나 암반등에 의해 땅을 더이상 파지 못할 경우 그대로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을 설치하면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의 상부가 지면에서 올라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암반이 나타나거나 어떤 이유에 의해 정해진 깊이만큼 땅을 파지 못하였을 경우 전기된 바와 같이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을 힘주어 밀게 되면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의 하부에 끼워진 걸림패킹(15)이 연결관(2)의 몸체를 타고 하부로 이동하게 되므로써 땅을 적정깊이 만큼 파지 못하였더라도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의 상부를 지면과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같이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의 위치가 정해지게 되고 수도 미터기(19)와의 수도전 연결이 끝난후에는 연결관(2) 주위와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의 주위를 흙으로 채우게 되므로 작업이 끝난후에는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의 유동이 없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관과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결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작업시 손쉽게 연결관과 수도 미터기 보호통을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을 좌판(9)에 지지시키고 입수관(4)과 출수관(12)이 내장되는 연결관(2)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의 상부에 방수패킹A(14)가 돌턱(14a)에 끼워진 방수패킹B(14')를 씌워 마개(13)로 고정시키고, 수도 미터기 보호통(1)의 하부에 지지대(20)를 형성시킨후 상기 지지대(20)에 걸림패킹(15)을 끼워 고정시키며, 상기 걸림패킹(15)에 삽입고정된 연결관(2)의 하부에 형성시킨 걸림턱(8)을 좌판(9)의 돌출부(10)내부에 형성시킨 걸림대(11)에 결합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걸림패킹(15)은 상하부에 고정턱(17)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17)사이로 지지대(20)와 결합되는 삽입대(16)를 형성시키며 연결관(2)과 결합되는 내부에 나사형상(18)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결합장치.
KR2019930013262U 1993-07-15 1993-07-15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결합장치 KR960003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262U KR960003867Y1 (ko) 1993-07-15 1993-07-15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262U KR960003867Y1 (ko) 1993-07-15 1993-07-15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880U KR950003880U (ko) 1995-02-17
KR960003867Y1 true KR960003867Y1 (ko) 1996-05-14

Family

ID=1935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3262U KR960003867Y1 (ko) 1993-07-15 1993-07-15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8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880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883B1 (en) Valve key alignment assembly for curb stop box
US6206030B1 (en) Insulating cover for water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US4308886A (en) Curb box
KR20210000431U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급수전
KR960003867Y1 (ko)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결합장치
KR101601200B1 (ko) 손잡이와 간편 탈착구조를 갖는 지하수 상부 보호공장치
KR960003864Y1 (ko) 수도 계량기 보호통의 높이 조절장치
KR101742440B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US2511209A (en) Keyless cutoff box
KR960003868Y1 (ko)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높이 조절장치
KR200385736Y1 (ko) 지수전 보호관
JP3764571B2 (ja) 散水栓用箱
KR960003869Y1 (ko)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높이 조절장치
KR101861841B1 (ko) 다양한 규격에 적용가능한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기 보호통 및 그 이용방법
KR960003870Y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고정다리 결합장치
KR960003872Y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높이 조절장치
JP3497842B2 (ja) 燃料油タンクの送油口等の閉止具
KR102280536B1 (ko) 부동급수전 교체대
KR0131965Y1 (ko) 측면 압강을 견디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177496Y1 (ko) 제수변밸브 개폐장치
JP2545753Y2 (ja) 不凍給水栓の向き自在装置
KR200245085Y1 (ko) 가스배관용 폴리 밸브장치
KR960005843Y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고정다리 결합장치
JP3497843B2 (ja) 燃料油タンクの送油口等の閉止具
KR960003859Y1 (ko) 상수도용 옥내 지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