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536B1 - 부동급수전 교체대 - Google Patents
부동급수전 교체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0536B1 KR102280536B1 KR1020200040165A KR20200040165A KR102280536B1 KR 102280536 B1 KR102280536 B1 KR 102280536B1 KR 1020200040165 A KR1020200040165 A KR 1020200040165A KR 20200040165 A KR20200040165 A KR 20200040165A KR 102280536 B1 KR102280536 B1 KR 1022805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floating
- faucet
- moving
- replacement t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조절과 부동급수전의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교체대에 관한 것으로, 급수관(50)과 체결되고, 내부에 설치된 부동급수전(100)의 교체가 용이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동급수전 교체대(10)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교체대(210); 및 상기 교체대(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동급수전(100)과 체결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교체대(210)는,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부를 수용하는 고정관(212);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중간 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고정관(212)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관(214); 상기 고정관(212)과 상기 이동관(214)을 접속 연결시키는 제1 접속캡(220); 및 상기 이동관(214)과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접속 연결시키는 제2 접속캡(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동급수전 교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과 부동급수전의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교체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 상수원으로부터 수용가로 공급되는 수도관은 지중에 매립 시공되고, 지중에 설치된 수도관에는 수용가의 가정에서 수도미터기에 연결되고, 수도미터기를 거친 수도관은 수용가의 사용지점으로 연결되어 실외에 설치되는 부동급수전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노출되는 통상의 수도관은 결빙되지 않도록 수도관 외곽에 보온재 또는 단열재를 구비하고, 개폐하는 밸브를 지중에 설치하여 지상의 부동급수전의 조절레버를 잠그면 지중에 설치된 밸브가 잠겨지면서 밸브 상측부 관로에 구비된 퇴수공이 열려서 지상으로 노출되는 관로의 물은 퇴수공을 통하여 지중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결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동급수전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부동급수전들은 퇴수공이 외부로 노출되어 흙속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기에 사용과정에서 퇴수가 반복되다 보면 퇴수공 주위의 모래나 흙이 붕괴 유입되어 퇴수공이 막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부동 급수전 내부에 잔류된 물이 퇴수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동절기 동파로 이어지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부동전이 동파되거나 밸브 마모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거나, 또는 노후화되면 부동급수전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이 경우 사용 중이던 부동급수전은 주위를 굴토하여 분해한 뒤 새로운 부동급수전으로 교체 시공해야 하며, 이때 앞에서 설명했던 시공순서대로 재시공해야 함으로서 매우 번거롭고 불편했음은 물론 인력과 시간의 과다소요로 교체비용이 상당히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길이 조절과 부동급수전의 교체가 용이한 부동급수전 교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급수관의 매설 깊이에 따라 지중 매립 깊이를 설정하도록 신장을 조절할 수 있는 부동급수전 교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의 체결부를 이용하여 별도의 지식이 없이도 누구나 부동급수전을 위에서 돌려서 교체할 수 있는 부동급수전 교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급수관(50)과 체결되고, 내부에 설치된 부동급수전(100)의 교체가 용이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동급수전 교체대(10)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교체대(210); 및 상기 교체대(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동급수전(100)과 체결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교체대(210)는,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부를 수용하는 고정관(212);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중간 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고정관(212)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관(214); 상기 고정관(212)과 상기 이동관(214)을 접속 연결시키는 제1 접속캡(220); 및 상기 이동관(214)과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접속 연결시키는 제2 접속캡(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급수관(50)과 체결되고, 내부에 설치된 부동급수전(100)의 교체가 용이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동급수전 교체대(10)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교체대(210); 및 상기 교체대(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동급수전(100)과 체결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교체대(210)는,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부를 수용하는 고정관(212); 및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중간 부분을 수용하는 이동관(214);을 포함하고, 나사결합방식으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관(212) 및 상기 이동관(214) 중 어느 하나는 나사결합을 위하여 체결되는 일측단이 내부에 결속나사산이 구비된 암나사관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암나사관에 삽입 체결되는 수나사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급수관(50)과 체결되고, 내부에 설치된 부동급수전(100)의 교체가 용이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동급수전 교체대(10)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교체대(210); 및 상기 교체대(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동급수전(100)과 체결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교체대(210)는,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부를 수용하는 고정관(212); 및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중간 부분을 수용하는 이동관(214);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관(212)은 일측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00)와, 상기 연장부(400)에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요홈(410)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관(214)은 일측단의 내측에 상기 요홈(410)에 삽입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단 수나사부(250)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310); 및 상기 제1 체결부재(310)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관(50)과 체결되는 제2 체결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310)는, 상기 하단 수나사부(250)의 제1 수나사관(254)과 나사 결합하는 제1 암나사관(312), 상기 제1 암나사관(312)의 일측으로부터 다단으로 연장되는 제2 수나사관(314) 및 상기 제1 암나사관(31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단 수나사부(250)의 제1 지지대(252)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 지지대(3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310)는, 상기 제1 암나사관(312)과 상기 제2 수나사관(314)의 연결 부위 단턱에 설치되어 원활한 분해 조립과, 우수한 밀폐로 누수를 예방하는 결속패킹(3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재(320)는, 상기 제1 체결부재(310)의 제2 수나사관(314)과 나사 결합하는 제2 암나사관(322), 상기 제2 암나사관(322)의 일측으로부터 다단으로 연장되는 제3 수나사관(328) 및 상기 제2 암나사관(322)의 타측으로부터 다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암나사관(312)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지지대(316)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3 지지대(3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212)은 제1 길이 및 제1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부와 상기 이동관(214)을 수용하고, 상기 이동관(214)은 제2 길이 및 제2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고정관(212)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1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직경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캡(220)은 상기 고정관(212)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관(212)과 상기 이동관(214)을 접속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관(212)의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이동관(214)을 수용하고 상기 이동관(214)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스토퍼(222) 및 상기 제1 스토퍼(222)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고정관(212)의 일측단 결속나사산에 체결되는 제1 접속커버(2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캡(230)은 상기 이동관(214)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관(214)과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접속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관(214)의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수용하고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 스토퍼(232) 및 상기 제2 스토퍼(232)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이동관(214)의 일측단 결속나사산에 체결되는 제2 접속커버(2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홈(410)은 상기 연장부(400)의 외측면에서 외측면 둘레를 따라 요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관(214)은 상기 체결돌기가 배치된 일측단이 상기 연장부(4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이동관(21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요홈(4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는 급수관의 매설 깊이에 따라 지중 매립 깊이를 설정하도록 신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는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의 체결부를 이용하여 별도의 지식이 없이도 누구나 부동급수전을 위에서 돌려서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의 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신장 조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신장 조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의 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신장 조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신장 조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서 (a)는 신장을 늘린 상태이고, (b)는 신장을 줄인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의 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10)는 급수관(50)과 체결되고, 내부에 설치된 부동급수전(100)의 교체가 용이하며, 지중에 매설된 상기 급수관(50)의 다양한 깊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부동급수전 교체대(10)는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교체대(210), 및 상기 교체대(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동급수전(100)과 체결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체대(210)는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수용하며, 지중에 매설된 상기 급수관(50)의 깊이에 대응하여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신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 도 4a 및 도 4b를 더 참조하면 상기 교체대(210)는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부를 수용하는 고정관(212),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중간 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고정관(212)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관(214), 상기 고정관(212)과 상기 이동관(214)을 접속 연결시키는 제1 접속캡(220), 상기 이동관(214)과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접속 연결시키는 제2 접속캡(230) 및 상기 고정관(212)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관(212)을 지지하고 상기 급수관(50)과 체결되는 고정관 지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관(212)은 제1 길이 및 제1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부와 상기 이동관(214)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관(212)은 상기 이동관(214)과 접속되는 일측단에 수나사 형태의 결속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접속캡(220)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관(214)은 제2 길이 및 제2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고정관(2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1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직경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관(214)은 상기 고정관(212) 보다 길고,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관(21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관(214)은 상기 부동급수전(100)과 접속되는 일측단에 수나사 형태의 결속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제2 접속캡(230)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부분 확대 a를 참조하면, 상기 교체대(210)는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이동관(214)이 상기 고정관(212)과 나사결합하기 위하여 외측면에 결속나사산(217)을 구비하여 수나사관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관(212)은 상기 이동관(214) 과 나사결합하기 위하여 내부에 결속나사산을 구비하여 암나사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교체대(210)는 상기 고정관(212)과 상기 이동관(214)이 나사결합을 위한 회전량에 따라 상기 급수관(50)의 지중 매립 깊이에 맞춰 간편하게 신장(길이)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부분 확대 b를 참조하면, 상기 교체대(210)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이동관(214)이 외측면에 단계식으로 배치된 복수의 요홈(216)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관(212)이 상기 요홈(216)에 삽입되는 체결돌기(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관(214)의 복수의 요홈(216)에 상기 고정관(212)의 체결돌기를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급수관(50)의 지중 매립 깊이에 맞춰 간편하게 신장(길이)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관(214)의 복수의 요홈(216)은 상기 이동관(214)의 외측면에서 외측면 둘레를 따라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캡(220)은 상기 고정관(212)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관(212)과 상기 이동관(214)을 접속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접속캡(220)은 상기 고정관(212)의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이동관(214)을 수용하고 상기 이동관(214)의 길이 방향으로 가변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관(214)을 압박하여 상기 이동관(214)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스토퍼(222) 및 상기 제1 스토퍼(222)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이동관(2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관(212)의 일측단 결속나사산에 회전 체결되면서 상기 제 1스토퍼(222)의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는 제1 접속커버(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토퍼(222)는 상기 이동관(214)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이동관(2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가변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속커버(224)의 회전 체결에 의해 상기 이동관(214)을 압박하여 상기 이동관(214)의 이동을 제어(정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접속캡(220)은 사용자가 상기 이동관(214)을 잡아당겨 상기 이동관(214)을 이동시킨 경우 상기 이동관(214)을 압박하여 상기 이동관(214)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속커버(224)는 상기 이동관(214)의 이동 제어를 위하여 상기 고정관(212)의 일측단 결속나사산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 스토퍼(222)를 압박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캡(230)은 상기 이동관(214)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관(214)과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접속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접속캡(230)은 상기 이동관(214)의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수용하고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길이 방향으로 가변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관(214) 및 상기 부동급수전(10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 스토퍼(232) 및 상기 제2 스토퍼(232)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관(214)의 일측단 결속나사산에 회전 체결되면서 상기 제2 스토퍼(232)의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는 제2 접속커버(2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스토퍼(232)는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가변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접속커버(234)의 회전 체결에 의해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압박하여 상기 이동관(214)의 이동을 제어(정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커버(234)는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이동 제어를 위하여 상기 이동관(214)의 일측단 결속나사산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2 스토퍼(232)를 압박할 수 있다.
상기 고정관 지지부(240)는 상기 고정관(212)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관(212)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관 지지부(240)는 상기 급수관(50)과 체결되는 상기 체결부(300)가 관통하도록 하부 중앙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교체대(2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관(50)과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체결 및/또는 교체를 쉽고 빠르게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단 수나사부(250)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310), 및 상기 제1 체결부재(310)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재(310)는 상기 하단 수나사부(250)의 제1 수나사관(254)과 나사 결합하는 제1 암나사관(312), 상기 제1 암나사관(312)의 일측으로부터 다단으로 연장되는 제2 수나사관(314) 및 상기 제1 암나사관(31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단 수나사부(250)의 제1 지지대(252)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 지지대(3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재(310)는 상기 제1 암나사관(312)과 상기 제2 수나사관(314)의 연결 부위 단턱(317)에 설치되어 원활한 분해 조립과, 우수한 밀폐로 누수를 예방할 수 있는 결속패킹(3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재(320)는 상기 제1 체결부재(310)의 제2 수나사관(314)과 나사 결합하는 제2 암나사관(322), 상기 제2 암나사관(322)의 일측으로부터 다단으로 연장되는 제3 수나사관(328) 및 상기 제2 암나사관(322)의 타측으로부터 다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암나사관(312)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지지대(316)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3 지지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체결부재(320)는 상기 제2 암나사관(322)과 상기 제3 지지대(324)의 연결 부위 단턱(326)에서 상기 결속패킹(318)과 밀착되어 밀폐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체결부재(320)는 상기 제3 수나사관(328)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관(50)과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나사관(254)의 길이(A)와 상기 제1 암나사관(322)의 내부 길이(A)는 동일하고, 상기 제2 수나사관(314)의 길이(B)와 상기 제2 암나사관(322)의 내부 길이(B)는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수나사관(328)의 길이(C)는 상기 급수관(50)에 체결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제1 체결부재(310) 및/또는 상기 제2 체결부재(320)의 체결 및/또는 분리(교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10)의 체결 및/또는 교체를 쉽고 빠르게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교체대(210)의 고정관 지지부(240) 내부에 배치되어 지중에 매립된 상태에서도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체결 및/또는 분리(교체)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만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신장 조절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신장 조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교체대(210)는 나사결합방식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고정관(212) 및 이동관(2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관(212) 및 상기 이동관(214) 중 어느 하나는 나사결합을 위하여 체결되는 일측단이 내부에 결속나사산이 구비된 암나사관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암나사관에 삽입 체결되는 수나사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관(212) 및 상기 이동관(214) 각각은 나사결합을 위한 회전량에 따라 지중 매립 깊이에 맞춰 간편하게 신장(길이)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교체대(210)는 간단한 방식으로 신장 조절이 가능하여 고정관(212)이나 이동관(214)을 고정시키기 위한 부수적인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편의성, 비용, 시간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신장 조절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신장 조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의 교체대(210)는 연장부(400)에 계단식(단계식)으로 배치된 복수의 요홈(410)을 구비하는 고정관(212) 및 상기 요홈(410)에 삽입되는 체결돌기(미도시)를 구비하는 이동관(2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관(212)은 일측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연장부(400)와, 상기 연장부(400)에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요홈(4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홈(410)은 상기 연장부(400)의 외측면에서 외측면 둘레를 따라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관(214)은 일측단의 내측에 상기 요홈(410)에 삽입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관(214)은 상기 체결돌기가 배치된 일측단이 상기 연장부(4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이동관(21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요홈(4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교체대(210)는 상기 고정관(212)의 복수의 요홈(410)에 상기 이동관(214)의 체결돌기를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지중 매립 깊이에 맞춰 간편하게 신장(길이)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교체대(210)는 설정된 간격에 맞춰 신장 조절이 가능하여 이동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부수적인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편의성, 비용, 시간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는 급수관의 매설 깊이에 따라 지중 매립 깊이를 설정하도록 신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급수전 교체대는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의 체결부를 이용하여 별도의 지식이 없이도 누구나 부동급수전을 위에서 돌려서 교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부동급수전 교체대
50: 급수관
100: 부동급수전
110: 핸들
210: 교체대
212: 고정관
214: 이동관
220: 제1 접속캡
222: 제1 스토퍼
224: 제1 접속커버
230: 제2 접속캡
232: 제2 스토퍼
234: 제2 접속커버
240: 고정관 지지부
250: 하단 수나사부
252: 제1 지지대
254: 제1 수나사관
300: 체결부
310: 제1 체결부재
312: 제1 암나사관
314: 제2 수나사관
316: 제2 지지대
317: 단턱
318: 결속패킹
320: 제2 체결부재
322: 제2 암나사관
324: 제3 지지대
326: 단턱
328: 제3 수나사관
400: 연장부
410: 요홈
50: 급수관
100: 부동급수전
110: 핸들
210: 교체대
212: 고정관
214: 이동관
220: 제1 접속캡
222: 제1 스토퍼
224: 제1 접속커버
230: 제2 접속캡
232: 제2 스토퍼
234: 제2 접속커버
240: 고정관 지지부
250: 하단 수나사부
252: 제1 지지대
254: 제1 수나사관
300: 체결부
310: 제1 체결부재
312: 제1 암나사관
314: 제2 수나사관
316: 제2 지지대
317: 단턱
318: 결속패킹
320: 제2 체결부재
322: 제2 암나사관
324: 제3 지지대
326: 단턱
328: 제3 수나사관
400: 연장부
410: 요홈
Claims (11)
- 급수관(50)과 체결되고, 내부에 설치된 부동급수전(100)의 교체가 용이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동급수전 교체대(10)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교체대(210); 및
상기 교체대(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동급수전(100)과 체결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교체대(210)는,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부를 수용하는 고정관(212);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중간 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고정관(212)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관(214);
상기 고정관(212)과 상기 이동관(214)을 접속 연결시키는 제1 접속캡(220); 및
상기 이동관(214)과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접속 연결시키는 제2 접속캡(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
- 급수관(50)과 체결되고, 내부에 설치된 부동급수전(100)의 교체가 용이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동급수전 교체대(10)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교체대(210); 및
상기 교체대(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동급수전(100)과 체결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교체대(210)는,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부를 수용하는 고정관(212); 및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중간 부분을 수용하는 이동관(214);을 포함하고,
나사결합방식으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관(212) 및 상기 이동관(214) 중 어느 하나는 나사결합을 위하여 체결되는 일측단이 내부에 결속나사산이 구비된 암나사관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암나사관에 삽입 체결되는 수나사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
- 급수관(50)과 체결되고, 내부에 설치된 부동급수전(100)의 교체가 용이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동급수전 교체대(10)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교체대(210); 및
상기 교체대(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동급수전(100)과 체결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교체대(210)는,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부를 수용하는 고정관(212); 및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중간 부분을 수용하는 이동관(214);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관(212)은 일측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00)와, 상기 연장부(400)에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요홈(410)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관(214)은 일측단의 내측에 상기 요홈(410)에 삽입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단 수나사부(250)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310); 및
상기 제1 체결부재(310)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관(50)과 체결되는 제2 체결부재(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310)는,
상기 하단 수나사부(250)의 제1 수나사관(254)과 나사 결합하는 제1 암나사관(312), 상기 제1 암나사관(312)의 일측으로부터 다단으로 연장되는 제2 수나사관(314) 및 상기 제1 암나사관(31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단 수나사부(250)의 제1 지지대(252)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2 지지대(3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310)는,
상기 제1 암나사관(312)과 상기 제2 수나사관(314)의 연결 부위 단턱(317)에 설치되어 원활한 분해 조립과, 우수한 밀폐로 누수를 예방하는 결속패킹(31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재(320)는,
상기 제1 체결부재(310)의 제2 수나사관(314)과 나사 결합하는 제2 암나사관(322), 상기 제2 암나사관(322)의 일측으로부터 다단으로 연장되는 제3 수나사관(328) 및 상기 제2 암나사관(322)의 타측으로부터 다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암나사관(312)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지지대(316)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제3 지지대(3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212)은 제1 길이 및 제1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하부와 상기 이동관(214)을 수용하고,
상기 이동관(214)은 제2 길이 및 제2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고정관(212)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1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직경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캡(220)은 상기 고정관(212)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관(212)과 상기 이동관(214)을 접속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관(212)의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이동관(214)을 수용하고 상기 이동관(214)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 스토퍼(222) 및 상기 제1 스토퍼(222)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고정관(212)의 일측단 결속나사산에 체결되는 제1 접속커버(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캡(230)은 상기 이동관(214)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관(214)과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접속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관(214)의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부동급수전(100)을 수용하고 상기 부동급수전(1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 스토퍼(232) 및 상기 제2 스토퍼(232)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이동관(214)의 일측단 결속나사산에 체결되는 제2 접속커버(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410)은 상기 연장부(400)의 외측면에서 외측면 둘레를 따라 요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관(214)은 상기 체결돌기가 배치된 일측단이 상기 연장부(4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이동관(21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요홈(4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전 교체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0165A KR102280536B1 (ko) | 2020-04-02 | 2020-04-02 | 부동급수전 교체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0165A KR102280536B1 (ko) | 2020-04-02 | 2020-04-02 | 부동급수전 교체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0536B1 true KR102280536B1 (ko) | 2021-07-22 |
Family
ID=7715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0165A KR102280536B1 (ko) | 2020-04-02 | 2020-04-02 | 부동급수전 교체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0536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97393A (en) * | 1995-04-21 | 1997-12-16 | Mirlisena, Sr.; John Raymond | Adjustable anti-freeze faucet assembly |
JPH10266279A (ja) * | 1997-03-26 | 1998-10-06 | Hibi Plast Kogyo:Kk | 止水栓ボックス |
KR20080081811A (ko) * | 2008-01-10 | 2008-09-10 | 김하용 |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
KR20100007351A (ko) * | 2008-07-14 | 2010-01-22 | 김하용 |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
KR20100023510A (ko) | 2008-08-22 | 2010-03-04 | 전자부품연구원 | 디지털 중간주파수 무선송신기, 고주파 변조 장치 및 방법 |
KR20100028250A (ko) | 2008-09-04 | 2010-03-12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기공명장비용 모터 및 그 제어방법 |
KR101504638B1 (ko) * | 2013-09-12 | 2015-03-20 | (주)태흥앤피아이피 | 이중관 중간돌출 밀폐 커넥터 |
JP2018062835A (ja) * | 2016-10-15 | 2018-04-19 | 株式会社福原鋳物製作所 | 水道用ねじ式弁筐 |
-
2020
- 2020-04-02 KR KR1020200040165A patent/KR1022805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97393A (en) * | 1995-04-21 | 1997-12-16 | Mirlisena, Sr.; John Raymond | Adjustable anti-freeze faucet assembly |
JPH10266279A (ja) * | 1997-03-26 | 1998-10-06 | Hibi Plast Kogyo:Kk | 止水栓ボックス |
KR20080081811A (ko) * | 2008-01-10 | 2008-09-10 | 김하용 |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
KR20100007351A (ko) * | 2008-07-14 | 2010-01-22 | 김하용 |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
KR20100023510A (ko) | 2008-08-22 | 2010-03-04 | 전자부품연구원 | 디지털 중간주파수 무선송신기, 고주파 변조 장치 및 방법 |
KR20100028250A (ko) | 2008-09-04 | 2010-03-12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기공명장비용 모터 및 그 제어방법 |
KR101504638B1 (ko) * | 2013-09-12 | 2015-03-20 | (주)태흥앤피아이피 | 이중관 중간돌출 밀폐 커넥터 |
JP2018062835A (ja) * | 2016-10-15 | 2018-04-19 | 株式会社福原鋳物製作所 | 水道用ねじ式弁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93261B2 (en) | Sink drain pipe with and without overflow ports | |
KR20210000431U (ko) | 유지보수가 용이한 급수전 | |
US8413675B2 (en) | Yard hydrant made easy | |
KR100831821B1 (ko) |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 |
KR102280536B1 (ko) | 부동급수전 교체대 | |
KR200462284Y1 (ko) | 부동전용 지상 통수관 | |
KR101255036B1 (ko) | 개량 부동급수전 | |
JP2017519926A (ja) | 取り付け簡単な蛇口構造 | |
KR200482592Y1 (ko) | 수도꼭지의 pb 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 |
CN204112422U (zh) | 水栓龙头及水栓的壁安装结构 | |
KR20080081811A (ko) |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 |
US7650900B1 (en) | System to support and service yard hydrants | |
KR20150084477A (ko) | 상수도용 부동전 | |
EP2719840A2 (en) | Water faucet with function of noise reduction and pressure adjustment | |
KR102260392B1 (ko) | 부동급수전의 냉기지연차단구조 | |
KR101195895B1 (ko) | 벽면설치용 수전 | |
KR200462905Y1 (ko) |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 |
KR101019819B1 (ko) |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 |
KR100836672B1 (ko) | 수도관의 수압차단밸브 | |
KR100619591B1 (ko) | 새들 분수전 | |
KR200482593Y1 (ko) | 수도꼭지의 스틸관 연결 소켓장치 | |
KR20090005580U (ko) | 퇴수밸브 | |
JP3135172U (ja) | 水道器具のハンドルの取付構造 | |
RU2273783C1 (ru) | Смеситель и кран-дозатор | |
KR200465020Y1 (ko) | 동파방지용 수도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