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320Y1 - 장식용 기와 - Google Patents

장식용 기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320Y1
KR200161320Y1 KR2019970023111U KR19970023111U KR200161320Y1 KR 200161320 Y1 KR200161320 Y1 KR 200161320Y1 KR 2019970023111 U KR2019970023111 U KR 2019970023111U KR 19970023111 U KR19970023111 U KR 19970023111U KR 200161320 Y1 KR200161320 Y1 KR 200161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ion line
attached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881U (ko
Inventor
전종현
Original Assignee
전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현 filed Critical 전종현
Priority to KR2019970023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32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8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8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3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8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urfing tiles, step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장식용 기와
나.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기와에 직접 조명기능을 갖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임.
다. 그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기와체홈(2a)에 모양체(3)가 끼워져 부착되고 모양체홈(3a)내부에 조명수단(4)이 내장되어 전기연결선(5)과 연결되고 기와체구멍(2b)을 통하여 전기연결선(5)이 타측에 돌출되고 결합되는 부위를 접착제(6)로 접착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기와.
라. 그 고안의 중요한 용도
장식용 기와

Description

장식용 기와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조명 회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기와 각 부분 적용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식용기와 2 : 기와체
2a : 기와체홈 2b : 기와체구멍
3 : 모양체 3a : 모양체홈
4 : 조명수단 4a : 부착판
4b : 전원연결부 5 : 전기연결선
5a : 전기연결선클립 6 : 접착제
7 : 전기선 7a : 구리선
본 고안은 기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의 모양체에서 전원공급에 의해 빛을 발산하도록한 장식용 기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와는 모양이나 색상에 의한 장식효과 외에 빛광수단에 의한 장식효과는 제공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전면에 부착한 모양체 내부에 조명수단을 내장하고 전기연결선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하게 한 장식용 기와를 제공하는데 있다.
첨부 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양체(3)는 기와 전면에 부착되고 다양한 모양과 색상을 사용하여 그 자체로서도 장식효과를 갖고 있으며, 조명수단(4)을 내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재질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유리나 프라스틱을 사용하며, 밑면 가장자리에는 조명수단(4)이 들어가는 모양체홈(3a)을 형성한다.
조명수단(4)은 통상적으로 전구와 전구 부착수단으로 구성된다.
필라멘트 발광의 소형전구는 소형전구 부착 소켓과 전기연결선(5)이 일체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를 다수 부착하고 적정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경우나 전구를 전자회로를 사용하여 제어하기 위하여는 밑면에 전기배선을 부착한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고안에 예시한 조명수단(4)의 부착판(4a)은 합성수지판으로 모양체 홈(3a)에 꼭맞는 외형으로 절단되고 부착되는 기와체홈(2a) 밑면과 일치되게 평면이나 곡면을 형성하게 제조되며, 밑면에는 조명회로에 적합하게 전기배선이 부착되어 있고, 전면에는 흰색이나 은색의 반사칠이 도포되어 있다.
본 고안의 조명회로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와 저항 콘덴서 트랜지스터를 부착판(4a) 전면에 끼워 부착하고 밑면의 전기배선과 연결되게 납땜하여 본 고안의 예시한 조명수단(4)이 완성된다.
제 4 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통상의 조명회로를 예시한 것이며, 한개의 발광 다이오드는 전류제한 저항이 연결되어 있고, 항상 발광하며, 두개의 발광 다이오드는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에 순차적으로 반복 점등한다.
전기연결선(5)의 끝에는 전기선(7)의 구리선(7a)을 연결하기 쉽게 클립구조(5a)로 되어 있으며, 플러스, 마이너스가 구분되게 색깔이나 압인 표시되어 있다.
부착판(4a)의 전원연결부(4b)와 전기연결선(5)의 부착은 통상적으로는 납땜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통상의 소켓구조와 플러그 구조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기와체(2)의 재질은 시멘트기와 이거나 흙을 구워서 만든 기와이다.
기와체(2)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기와제조용 성형틀에 시멘트몰타르나 반죽한 흙을 주입하고 장식이 필요한 위치에 모양체(3)의 부착되는 면과 외형이 꼭 맞고 적정한 깊이가 되게 기와체홈(2a)을성형하고 기와체홈 내부에 기와체 밑면과 통하게 기와체구멍(2b)을 형성하게 하여 제조한다.
시멘트 몰타르제품인 경우에는 양생과정을 거쳐 완성되며, 흙을 반죽한 것은 건조과정을 거쳐 가마에서 구워서 완성된다. 이것을 기존의 기와와 구분하기 위하여 기와체(2)라 지칭한다.
기와체구멍(2b)은 뒷면이나 측면등으로 뚫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여러개의 구멍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전구와 전자부품이 부착되고 밑면 전원연결부(4b)에 전기연결선(5)이 결합된 부착판(4a)을 모양체홈(3a) 내부에 끼우고 합성수지로 부착한 것을 기와체홈(2a)에 끼우고 전기연결선(5)이 기와체 밑면에 돌출하게 하고 결합되는 부위를 합성수지 접착제(6)로 접착한다.
또 다른 방법은 기와체(2) 제조시에 기와체홈(2a) 내부에 전기연결선 플러그가 돌출되게 하고 적당한 부위에 전기연결선 클립(5a)이 돌출되게 전기연결선(5)을 내장한 기와체(2)의 기와체홈(2a)에 조명수단(4)이 내장된 모양체(3)를 끼우고 부착판(4a)의 전원연결부(4b)의 소켓과 전기연결선(5)의 플러그가 끼워져 전기 연결되게 하고 결합되는 부위를 합성수지 접착제(6)로 접착하여 장식용 기와(1)를 완성한다.
제 2 도의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에는 전원연결부(4b)와 전기연결선(5)의 연결부가 부착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제 5 도는 지붕전체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6 도는 기와 각 부분에 적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붕에 부착한 장식용기와(1)의 전기연결선 클립(5a)에 전기선(7)의 구리선 (7a)을 끼워 압착 연결하고 전기선(7)에 전기를 공급하면 전기는 전기연결선(5)을 통하여 부착판(4a)의 전원연결부(4b)에 공급되고, 조명회로의 작용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고 전면의 모양체(3)를 통하여 빛을 발산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기와 전면의 모양체에서 빛을 발산하여 야간에는 조명에 의한 장식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와체홈(2a)에 모양체(3)가 끼워져 부착되고 모양체홈(3a) 내부에 조명수단(4)이 내장되어 전기연결선(5)과 연결되고 기와체구멍(2b)을 통하여 전기연결선(5)이 타측으로 돌출되고 결합되는 부위를 접착제(6)로 접착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기와.
KR2019970023111U 1997-08-26 1997-08-26 장식용 기와 KR200161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111U KR200161320Y1 (ko) 1997-08-26 1997-08-26 장식용 기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111U KR200161320Y1 (ko) 1997-08-26 1997-08-26 장식용 기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881U KR19990009881U (ko) 1999-03-15
KR200161320Y1 true KR200161320Y1 (ko) 1999-11-15

Family

ID=1950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111U KR200161320Y1 (ko) 1997-08-26 1997-08-26 장식용 기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3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636B1 (ko) 2009-01-22 2009-07-21 주식회사 디브이씨 기와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636B1 (ko) 2009-01-22 2009-07-21 주식회사 디브이씨 기와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881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6006B1 (en) Lighting strip system
US9752733B2 (en) Interface and fabrication method for lighting and other electrical devices
CN204853032U (zh) 照明装置
KR100913832B1 (ko) 엘이디 램프의 구조
US20110037411A1 (en) Moulding with embedded lighting
JP2002208301A (ja) 固体形光源装置
CN203784711U (zh) 采用折弯cob封装led灯丝的灯泡
CN201021764Y (zh) 一种组合式发光光源
US20040085758A1 (en) Electric decorative flower
CN101529150A (zh) 挠性发光体
KR200161320Y1 (ko) 장식용 기와
JP3116268U (ja) ランプユニット
KR200166665Y1 (ko) 장식용 인도블록
KR200421286Y1 (ko) 엘이디 램프의 구조
KR200166664Y1 (ko) 장식용 인도블록
CN213872315U (zh) 灯具
KR100771671B1 (ko) 조명 구조물용 램프장치
KR100778788B1 (ko) 조명 구조물용 램프장치 제조방법
KR0130642Y1 (ko) 발광 다이오드가 내장된 합성수지 타일
CN201130664Y (zh) 全向式发光二极管
US10948174B1 (en) Waterproof lamp decoration
CN2725698Y (zh) 串灯组装置
CN217153903U (zh) 一种新型串灯结构
KR200154387Y1 (ko) 조립식 장식재와 조립식 전기배선
CA2592671A1 (en) Light-bulb conducti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