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154Y1 - 대중탕용 오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대중탕용 오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154Y1
KR200161154Y1 KR2019970006342U KR19970006342U KR200161154Y1 KR 200161154 Y1 KR200161154 Y1 KR 200161154Y1 KR 2019970006342 U KR2019970006342 U KR 2019970006342U KR 19970006342 U KR19970006342 U KR 19970006342U KR 200161154 Y1 KR200161154 Y1 KR 200161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sewage
sand lay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041U (ko
Inventor
염동섭
Original Assignee
염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동섭 filed Critical 염동섭
Priority to KR2019970006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154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0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0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1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중탕의 수조에서 사용한 오수를 집수하여 오수중에 함유된 이물질과 세제성분 등을 순차적으로 여과한 후 재공급하여 사용하고 여과조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대중탕용 오수(汚水)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조의 배출구측으로 부터 연결되는 여과기 본체의 일측에 망사재를 구비한 제1여과기를 설치하여 오수중에 함유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고, 1차 여과된 물은 모터 펌프에 의해 모래층이 형성된 제2여과기로 강제 공급하여 그 상부로 부터 하부로 침출되게 통과시켜 세제성분을 여과한 상태에서 가열 및 재공급 하며, 제1여과기는 여과망을 분리한 상태에서 세척하되 제2여과기는 물의 여과방향과 역으로 새로운 물을 공급하여 모래층의 상부에 이물질을 부유되게 한 상태에서 제거함에 따라, 물의 배출 및 가열로 인한 경제적으로 손실을 방지함은 물론 항상 청결한 물을 공급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대중탕용 오수(汚水) 여과장치
본 고안은 대중탕용 오수(汚水) 여과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대중탕의 수조에서 사용한 오수를 집수하여 오수중에 함유된 이물질과 세제성분 등을 순차적으로 여과한 후 재공급하여 사용하고 여과조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대중탕용 오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이 이용하는 목욕탕의 온수조에는 적정온도를 유지되게 함과 아울러 온수의 보충 및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시로 새로운 온수를 공급하였다.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교체하기 위해 배출할 경우에는 물의 낭비가 심하게 되어 막대한 비용 손실이 발생됨은 물론, 비교적 뜨거운 상태에 있는 물을 버리게 됨으로써 급탕에 소요된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결과가 초래 되었다.
특히 강수량의 부족과 용수사용량의 증가로 인하여 수자원이 점차로 고갈되고 있는 시점에서 물의 낭비는 여러 분야에서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온수의 손실을 덜기 위해 이미 사용된 물에 새로운 물을 보충할 경우에는 온수중에 잔류된 이물질에 의해 청결도가 떨어지게 되므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주게 됨과 아울러 각종 질환의 전염 우려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목욕탕의 수조에 공급된 온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대중탕용 오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청결한 상태로 오수를 여과하여 공급할 수 있는 대중탕용 오수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조의 배출구측으로 부터 연결되는 여과기 본체의 일측에 망사재를 구비한 제1여과기를 설치하여 오수중에 함유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고, 1차여과된 물은 모터 펌프에 의해 모래층이 형성된 제2여과기로 강제 공급하여 그 상부로 부터 하부로 침출되게 통과시켜 세제성분을 여과한 상태에서 가열 및 재공급 하며, 제1여과기는 여과망을 분리한 상태에서 세척하되 제2여과기는 물의 여과방향과 역으로 새로운 물을 공급하여 모래층의 상부에 이물질을 부유되게 한 상태에서 제거함에 따라, 물의 배출 및 가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함은 물론 항상 청결한 물을 공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여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여과장치의 제1여과기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여과장치의 제2여과기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제2여과기의 세정상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여과기 본체 20 : 제1여과기
21 : 입수구 22 : 여과망
23, 41 : 덮개 24 : 관
30 : 모터펌프 31 : 토출관
40 : 제2여과기 43 : 바닥판
44 : 스트레이너 44' : 투수공
45 : 집류실 46 : 배출관
50 : 모래층 60 : 분배관
61, 61' : 밸브
이하, 본 고안의 대중탕용 오수 여과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여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여과장치의 제1여과기와 제2여과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여과기 본체(10)의 일측에 수조로 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유입되는 입수구(21)를 구비한 제1여과기(20)가 설치되고, 이 제1여과기(20)의 내부에 머리카락이나 오물 등 입자가 큰 이물질(S)을 걸러주는 여과망(22)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 제1여과기(20)의 상부에는 내부의 청소시 개방하게 덮개(23)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모터펌프(30)에 연결되는 관(24)이 배관되어 있다.
모터펌프(30)의 토출관(31)은 1차로 여과된 물을 제2여과기(40)의 내측상부로 공급하게 배관되고, 이 제2여과기(40)의 내부에는 상부로 부터 공급되는 오수를 점진적으로 침출시켜 오수중에 함유된 세제성분 등의 미세오염물을 여과시키는 모래층(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여과기(40)의 상부에는 다수의 클램프(41')를 구비한 덮개(41)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여과기(40)의 외주면에는 내부의 상황을 관찰할 수 있는 투시창(4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래층의 소정 위치에 활성탄층 및 자갈층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모래층(50)이 형성된 제2여과기(40)의 바닥면(43)에는 여과된 물을 선별적으로 통과시키게 외주면에 투수공(44')이 형성된 다수의 스트레이너(44)가 설치되고, 이 스트레이너(44)의 하부측에는 여과된 물을 집류하여 배출하게 배출관(46)을 구비한 집류실(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46)에는 양측으로 분기되는 분기관(60)이 형성되고, 이 분기관(60)의 양단부에는 각각 밸브(61), (6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일측 밸브(61)는 여과된 물을 수조(도시하지 않음)에 재공급할 때에 한하여 개방시키고, 타측 밸브(61')는 새로운 물을 집류실(45)을 통해 제2여과기(40)의 모래층(50)을 역류되게 공급할 경우에 한하여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여과장치는 수조에서 사용된 물을 교환하기 위해 배출시킬 때 여과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제1여과기(20)에 유입되게 하여 그 내부에 부설된 여과망(22)을 통과시킴에 따라, 수조로 부터 배출되는 오수중에 포함된 큰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 제1여과기(20)를 통과하여 1차로 여과된 오수는 관(24)으로 연결된 모터펌프(30)에 의해 높은 압력으로 토출관(31)을 통해 제2여과기(40)의 상부로 급수되어 모래층(50)의 상측으로 부터 낙수된다.
연속적으로 공급된 물이 모래층(50)으로 스며들면서 자연배수되는 과정에서 이에 함유된 세제성분 등의 미세한 이물질이 모래층 또는 활성탄층에 흡착됨에 따라, 청결한 상태의 물이 바닥면(43)의 스트레이너(44)에 형성된 투수공(44')을 통해 집류실(45)로 침출된다.
그러므로 집류실(45)에 집수된 청결한 상태의 물이 배출관(46)을 통해 분기관(60)으로 공급된 후 개방상태의 일측 밸브(61)를 통해 급탕보일러(도시하지 않음)에서 가열된 후 욕조로 재공급된다.
상기 각 여과기(20), (40)를 통과하여 여과된 물은 비교적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따라, 가열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연속적으로 여과를 하는 과정에서 각 여과기(20), (40)에 이물질이 누적될 경우, 제1여과기(20)는 그 상부의 덮개(23)를 개방하여 여과망(22)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며, 제2여과기(40)는 그 하단의 배출관(46)에 형성된 분기관(60)의 일측 밸브(61)를 폐쇄시켜 여과를 중단되게 한 상태에서 새로운 물이 공급되는 타측 밸브(61')를 개방하여 제4도에서와 같이 집류실(45)로 부터 그 상향으로 형성된 모래층(50)을 향해 역류되게 한다.
위의 역류작용에 의해 모래층(50)에 잔류된 각종 미세물질이 모래층(50)의 상면으로 부유되면, 덮개(41)를 개방하여 부유물과 함께 상층의 모래를 제거하여 청결한 상태로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대량의 물을 간단하고 청결한 상태로 재사용 하게됨에 따라 물의 낭비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생활용수를 절약하여 수자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된 물이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재가열에 따른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함은 물론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

  1. 여과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입수구(21)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중의 큰 이물질(S)을 여과하도록 여과망(22)이 부설되고, 상부에는 덮개(23)가 개방 가능하게 결합된 제1여과기(20)와, 상기 제1여과기(20)에 관(24)으로 연결되고, 타측의 토출관(31)을 통해 1차 여과된 물을 고압으로 송출하는 모터펌프(30)와, 상기 토출관(31)에서 공급되는 오수를 상부로 부터 점진적으로 침출시켜 세제성분 등의 미세오염물을 여과하는 모래층(50)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의 클램프(41')를 구비한 덮개(41)를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되 모래층(50)의 바닥면(43)에는 여과된 물을 선별적으로 통과시키게 외주면에 투수공(44')이 형성된 다수의 스트레이너(44)가 설치되며, 이 스트레이너(44)의 하부측에는 여과된 물을 집류하는 집류실(45)이 형성된 제2여과기(40)와, 상기 집류실(45)에 배관된 배출관(46)에 분기 상태로 연결되고, 양단부에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각각의 밸브(61), (61')가 결합된 분기관(60)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탕용 오수 여과장치.
KR2019970006342U 1997-03-31 1997-03-31 대중탕용 오수 여과장치 KR200161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342U KR200161154Y1 (ko) 1997-03-31 1997-03-31 대중탕용 오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342U KR200161154Y1 (ko) 1997-03-31 1997-03-31 대중탕용 오수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041U KR19980062041U (ko) 1998-11-16
KR200161154Y1 true KR200161154Y1 (ko) 1999-11-15

Family

ID=1949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342U KR200161154Y1 (ko) 1997-03-31 1997-03-31 대중탕용 오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1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048B1 (ko) 2009-01-06 2009-08-12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악취 저감시설을 겸비한 침출수 펌프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740B1 (ko) * 2005-08-30 2007-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말의 수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048B1 (ko) 2009-01-06 2009-08-12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악취 저감시설을 겸비한 침출수 펌프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041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952B1 (ko) 폐수열 회수장치의 여과 및 자동역세 시스템
KR200161154Y1 (ko) 대중탕용 오수 여과장치
JPS5950367B2 (ja) 濾過装置
JP2000024385A (ja) 洗濯機
JP2902907B2 (ja) 排気ガスドレン水処理装置
KR101028714B1 (ko) 교체 가능한 필터를 갖는 수족관 정수장치
KR0138580B1 (ko) 여과부재 동시세척 연속 여과방법 및 여과장치
JP3837676B2 (ja) 熱回収装置の洗浄システム
KR200438994Y1 (ko) 대중 목욕탕용 이용수 여과 장치
JP2985726B2 (ja) 浴槽装置
JP3837211B2 (ja) 浴槽湯の清浄化装置
JP3217487B2 (ja) 浴槽湯の清浄化装置
KR101130918B1 (ko) 맥반석을 이용한 무방류 자중수압여과식 수처리시스템
CN207645929U (zh) 一种雨水过滤装置
CN207091035U (zh) 一种净水器
KR100249480B1 (ko) 수중안마장치로의 용수공급기능을 갖는 대중탕용 오수여과장치
JPH08299713A (ja) ろ過装置及び浴水循環装置
JP2004085067A (ja) 温水施設の熱回収システム
KR200221096Y1 (ko) 급수장치
KR0146832B1 (ko) 정수기의 배수장치(drainage of water purifier)
KR19990032359A (ko) 중력식 2중 여과기
JP2003071210A (ja) 陶芸廃水処理装置及び方法
JP2783996B2 (ja) 浴水循環装置の配管洗浄方法
KR890005741Y1 (ko) 폐열 회수기
KR870002072Y1 (ko) 상수도 정수기의 소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