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035Y1 - 튜브용기의 마개 - Google Patents

튜브용기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035Y1
KR200161035Y1 KR2019970025546U KR19970025546U KR200161035Y1 KR 200161035 Y1 KR200161035 Y1 KR 200161035Y1 KR 2019970025546 U KR2019970025546 U KR 2019970025546U KR 19970025546 U KR19970025546 U KR 19970025546U KR 200161035 Y1 KR200161035 Y1 KR 200161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upling
tube container
cap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446U (ko
Inventor
이제연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2019970025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035Y1/ko
Publication of KR19990012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4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0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5Upp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7Lower closure of the 47-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 용기(10)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튜브용기(10) 선단부와 스냅결합할 수 있게 된 하부마개(14)와 상기 하부마개(14)와 스냅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홀(36)을 관통하는 연결대(24)에 의해 완전히 이탈될 수 없게 된 것으로, 튜브 용기(10)를 밀폐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의 기본 기능에 마개 분리시 이탈염려를 없앤 기능을 부가시킨 것이다.

Description

튜브용기의 마개(A cap of a tube container)
본 고안은 튜브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튜브용기를 밀폐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의 기본 기능에 마개 분리시 이탈염려를 없앤 기능을 부가시킨 튜브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졸(sol)상의 세제나 화장용 유액 및 치약 등이 저장된 튜브 용기에는 튜브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마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튜브용기의 마개는 용기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함과 아울러 용기의 내밀성을 향상시켜 용기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각도로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튜브용기 마개의 예로서, 튜브용기의 마개는 보통 한 쪽이 밀폐된 원통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튜브용기의 선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
또다른 예로서 한 쪽이 밀폐된 원통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 상면 중앙부에서 튜브용기의 선단부 외경 크기의 내경을 갖게 원통형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의 선단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 선단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이러한 마개의 결합부와 튜브용기의 선단부가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나사 체결식으로 튜브용기와 결합하게 된 마개는 튜브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짜낼 경우 선단부에 남아있는 내용물에 의하여 마개를 닫더라도 그 내용물이 용기로 흘러 내려 미관을 해치고, 반복사용시 내용물이 마개의 나사부에 끼어 잘 닫히지 않게 되며, 내용물 사용할 때 마개를 분리한 후 용기를 짜서 사용하게 되므로 마개의 오염 및 마개 분실의 소지가 있었고, 또한 스냅식으로 결합하는 마개 역시 마개 오염 및 분실의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개의 오염과 분실의 염려를 없애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튜브용기의 마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튜브용기의 마개는, 상부가 밀폐된 원통 형태의 외곽부와, 상기 외곽부의 내부 상면의 중앙부에서 원기둥형상으로 연장형성되고, 선단에 절결부와 내주선단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부, 상기 외곽부의 내부 상면의 소정위치에서 막대형상으로 연장형성되고 하단에 돌기가 형성된 연결대로 이루어진 상부마개와, 외주면 소정위치에 상기 상부마개의 결합부와 스냅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으로 된 하부마개선단부와 상기 선단부 하부에서 연장형성된 플렌지, 플렌지 끝에서 아래로 원기둥형상으로 연장형성된 하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렌지 아래면 소정위치에서 원기둥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선단에 절결부와 내주선단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하부마개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플렌지와 하단부의 접하는 지점에 상기 상부마개의 연결대가 관통할 수 있게 된 결합홀이 구비된 하부마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마개의 결합홀은 상기 플렌지에서 하부마개하단부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마개의 결합대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동시에 결합대 하단의 돌기가 걸려 빠져나갈 수 없으며, 이때 결합대가 옆으로 기울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부마개를 하부마개로 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나 상기 결합대의 돌기 때문에 완전히 이탈될 수 없으며 소정각도로 기울일 수 있게 된 것이다.
상기 상부마개와 하부마개는 상부마개의 결합부와 하부마개의 선단부가 스냅결합되면 하나의 스냅마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튜브용기 마개로 튜브용기에 결합하였을 때 상하부마개를 동시에 열어 사용할 수 있으며, 상부용기만 열어 사용할 수도 있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용기의 마개와 튜브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용기의 마개가 상부마개와 하부마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브용기 12 : 상부마개
14 : 하부마개 16 : 외곽부
18 : 결합돌기 20 : 결합부
22 : 돌기 24 : 연결대
26 : 결합홈 28 : 하부마개선단부
30 : 플랜지 32 : 하단부
34 : 하부마개결합부 36 : 결합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튜브용기(10)와 본 고안의 튜브용기 마개로서 상부마개(12) 및 하부마개(14)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부분단면도이다.
상기 상부마개(12)는 상부가 밀폐된 원통 형태의 외곽부(16)와, 상기 외곽부(16)의 내부 상면의 중앙부에서 원기둥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선단에 절결부(도시되지 않음)와 내주선단에 결합돌기(18)가 형성된 결합부(20), 상기 외곽부(16)의 내부 상면의 소정위치에서 막대형상으로 연장형성되고 하단에 돌기(22)가 형성된 연결대(24)로 이루어져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마개(14)는 외주면 소정위치에 상기 상부마개(12)의 결합부(20)와 스냅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26)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으로 된 하부마개선단부(28)와 상기 하부마개선단부(28) 하부에서 연장형성된 플렌지(30), 상기 플렌지(30) 끝에서 아래로 원기둥형상으로 연장형성된 하단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렌지(30) 아래면 소정위치에서 원기둥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선단에 절결부(도시되지 않음)와 내주선단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하부마개결합부(3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플렌지(30)와 하단부(32)의 접하는 소정지점에 상기 상부마개(12)의 연결대(24)가 관통할 수 있게 된 결합홀(36)이 구비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상부마개(12)의 결합대(24)는 상기 하부마개(14)의 결합홀(36)에 관통되어 있으며, 상부마개(12)의 하단이 하부마개(14)의 하단부(32)에 밀착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마개(12)와 하부마개(14)는 스냅결합을 통하여 외관상 일체의 마개 보이게 된다.
도 2는 튜브용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마개(12)를 하부마개(14)에서 분리시키는 과정과 분리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튜브용기(10)를 실제로 사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튜브용기(10)를 쥐고 상부마개(12)의 외곽부(16)를 엄지 등으로 밀면 상기 상부마개(12)가 하부마개(14)로 부터 분리되며, 상기 상부마개(12)의 연결대(24)가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마개(14)의 결합홀(36)을 통해 옆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연결대(24)의 돌기(22)가 상기 결합홀(36)의 가장자리에 걸려 빠질 수 없게 되어 있으므로, 상부마개(12)는 하부마개(14)로 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게 되는 바, 그 기울어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마개(12)를 하부마개(14)에서 분리시킨 후, 튜브용기를 눌러 짜면 튜브용기(10)의 선단부와 하부마개선단부(28)를 통해 내용물이 밀려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할 경우 내용물에 의한 튜브용기의 오염 염려가 줄어들게 되며, 분실의 염려도 없게 된다.
또한, 필요할 경우 외부로 노출된 하부마개의 하단부를 잡고 빼면 마개와 튜브용기(10)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이때는 종래의 스냅식 마개와 같은 형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튜브용기의 마개는 분리되기는 하나 완전히 이탈되지 않게 된 상부마개(12)와 하부마개(14)로 이루어져 튜브용기의 오염 염려를 줄일 수 있게 되었으며, 마개 분실의 염려가 없게 된 것이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마개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므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

  1. 상부가 밀폐된 원통 형태의 외곽부(16)와, 상기 외곽부(16)의 내부 상면의 중앙부에서 원기둥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선단에 절결부와 내주선단에 결합돌기(18)가 형성된 결합부(20), 상기 외곽부(16)의 내부 상면의 소정위치에서 막대형상으로 연장형성되고 하단에 돌기(22)가 형성된 연결대(24)로 이루어져 있는 상부마개(12)와, 외주면 소정위치에 상기 상부마개(12)의 결합부(20)와 스냅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26)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으로 된 하부마개선단부(28)와 상기 하부마개선단부(28) 하부에서 연장형성된 플렌지(30), 상기 플렌지(30) 끝에서 아래로 원기둥형상으로 연장형성된 하단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렌지(30) 아래면 소정위치에서 원기둥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선단에 절결부와 내주선단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하부마개결합부(3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플렌지(30)와 하단부(32)의 접하는 소정지점에 상기 상부마개(12)의 연결대(24)가 관통할 수 있게 된 결합홀(36)이 구비된 하부마개(14)로 구성된 튜브용기의 마개.
KR2019970025546U 1997-09-09 1997-09-09 튜브용기의 마개 KR200161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546U KR200161035Y1 (ko) 1997-09-09 1997-09-09 튜브용기의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546U KR200161035Y1 (ko) 1997-09-09 1997-09-09 튜브용기의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446U KR19990012446U (ko) 1999-04-06
KR200161035Y1 true KR200161035Y1 (ko) 1999-12-01

Family

ID=1951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546U KR200161035Y1 (ko) 1997-09-09 1997-09-09 튜브용기의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0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753Y1 (ko) * 2001-12-21 2002-04-03 용 배 최 튜브형 용기의 마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446U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126A (en) Threaded dosing cap
EP0031980A1 (en) Container closure
US5901866A (en) Break away overcap
US5492253A (en) Cap attachment for small neck plastic bottle of liquid
US20110297698A1 (en) Vented bottle
US5799829A (en) Membrane-sealed tube with a needle closure
CA2220330A1 (en) A container for a fluid product
MXPA97008519A (es) Un envase para un producto fluido
US2792975A (en) Closures for liquid containers
US6029836A (en) Wine cap
KR200161035Y1 (ko) 튜브용기의 마개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JP2018076091A (ja) 密封口栓
JPS624503Y2 (ko)
JP4062465B2 (ja) 注出容器の中栓とキャップ
KR200145285Y1 (ko) 개봉방향표시를 가지는 액체용기 뚜껑
KR200191086Y1 (ko) 생수통 마개
JP3907901B2 (ja) 液注出容器
JPS5942355Y2 (ja) 壜口の密封装置
JPH0891414A (ja) 点滴用バイアルキャップ
KR20020075761A (ko) 배출대
JPH0624368Y2 (ja) 入れものの口部の開閉装置
KR200264766Y1 (ko) 액체보관용기의 출입부 밀폐막 제거구조
KR200155219Y1 (ko) 원터치방식 합성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KR19990080260A (ko) 개봉 방법이 특이한 안전 병마개와 그 병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