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219Y1 - 원터치방식 합성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방식 합성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219Y1
KR200155219Y1 KR2019920002235U KR920002235U KR200155219Y1 KR 200155219 Y1 KR200155219 Y1 KR 200155219Y1 KR 2019920002235 U KR2019920002235 U KR 2019920002235U KR 920002235 U KR920002235 U KR 920002235U KR 200155219 Y1 KR200155219 Y1 KR 200155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ottle cap
bottleneck
elastic piece
cutt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02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719U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김순홍
문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홍, 문병인 filed Critical 김순홍
Priority to KR2019920002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219Y1/ko
Priority to JP24230992A priority patent/JP3432533B2/ja
Publication of KR930019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7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2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4Cup-shaped plugs or like hollow flang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16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with handles or other special means facilitating manu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combined with an open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Abstract

본 고안은 병마개를 병목에 조립함과 동시, 조립된 병마개의 손잡이가 병목에 달라 붙은 후 손잡이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접철부를 중심으로 하여 탄력편을 형성한 특징의 원터치방식 합성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병마개(1)는 상면부(2)와 측면부(3)로 구성되어 있고, 측면부(3)의 임의 하단에는 구멍(5)이 있는 손잡이(4)가 연결부(6)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6)의 중심부에는 하방으로 트인 공간부(7)를 형성하되. 당 공간부(7)와 마주보고 있는 측면부(3)의 일정 높이와 손잡이(4)의 사이는 일정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탄력편(8)을 형성함에 있어, 그 탄력편(8)의 양측인 연결부(6)에는 탄력편(8)에 의해 하방으로 꺽여 고정될 수 있는 접철부(9)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6)의 양측에서 부터 시작된 측면절취선(10)은 양측으로 구획되어 상면부의 절취선(11) 까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3)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2)과 내마개(14)의 사이에는 병목(100)의 상단외돌환부(101)가 삽입될 삽입홈(13)을 두고, 상기 내마개(14)는 절취선(10)의 내측이자 상면부(2)의 저면인 부위에 형성하되. 그 내마개(14)는 밀폐를 위해 외환으로는 내벽이 공간으로 된 적어도 1개 이상의 환돌기(15)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내부로 강한 재질의 보강링(16)을 삽입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방식 합성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본 고안은 병마개를 병목에 조립함과 동시, 조립된 병마개의 손잡이가 병목에 달라 붙은 후 손잡이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접철부를 중심으로 하여 탄력편을 형성한 특징의 원터치방식 합성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행 기술로서는 본 고안인의 실출91-23373호, 일본 실개소화63-180551호 등이 있으나, 이중 일본 실개소화63-180551호는 손잡이를 구성하고 있는 인장편의 중심부에 절개되어 돌출된 돌기편을 형성하였으나, 이는 그 재질이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일 경우에만 목적에 관계없이 그 손잡이가 병목에 달라 붙을 수 있는 것이며, 혹 그 재질이 합성수지일 경우에는 상기 돌기편은 그 어펀 작용과 효과성을 이룰 수 없는 단점이 제기 되었던 것이다.
종래 일본 실개소화63-180551호의 기술에 있어서, 그 특징은 청구의 범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마개를 개봉하기 위한 최초 절취선의 시작 부분은 손잡이를 구성하고 있는 인장편의 양측에 움푹파인 홈을 형성한 바, 병마개가 개봉됨으로서 생긴 상기 인장편의 양측인 스커트 부분이 움푹파인 그 홈으로 말미암아 그 부위가 날카롭지 않기 때문에 그 사용시 손가락 등을 벨 염려가 없는 부류의 기술에 속한 것이다.
상기 일본 실개소화63-180551호의 선행 기술은 동종 재질의 것으로서, 미국 특허3,974,931호가 있으며, 그 재질을 달리한 후속 기술로서는 일본 실개평성1-66349호와, 일본 실개평성2-144553호가 있으나, 그 기술을 달리하여 출원하게 된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일본 실개소화63-180551호의 경우, 그 인장편의 중심부에 절개되어 돌출된 돌기편을 형성하였으나, 이는 그 인장편이 손잡이를 병목에 달라 붙게 하는 데에는 그 어떤 역활도 하지 못하는 것이, 현재 일본을 비롯하며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품, 또는 동종 업계(금형 또는 사출업체)의 종사자들에 의해 증명되고 있는 것이다.
이 고안은 선행의 기술을 개량하여 상술한 문제점 재질에 따른 손잡이의 고정 용이를 목적으로 한다.
도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1b는 본 고안의 손잡이가 사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c는 본 고안인 병마개의 분리 종단면도.
도1d는 본 고안의 병마개를 병목에 조립한 제1차적인 상태도.
도1e는 본 고안의 병마개를 병목에 조립한후, 손잡이를 병목에 달라 붙게한 것.
도1f는 본 고안의 병마개를 개봉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1g는 본 고안의 병마개를 개봉한후, 재밀봉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2a∼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2a는 분리사시도, 도2b는 병마개가 병목에 조립되어지는 상태의 제1차적인 것이고, 도2c는 병마개가 병목에 조립된 제2차적인 것이며, 도2d는 병목에 조립된 병마개를 개봉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3∼4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병마개 2 : 상면부
3 : 측면부 4,4' : 손잡이
5,5' : 구멍 6 : 연결부
7 : 공간부 8 : 탄력편
g : 접철부 10,10',10'' : 측면절취선
11 : 절취선 12 : 걸림턱
14 : 내마개 a : 본체
b : 보강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병목에 병마개를 조립한 후 손잡이를 일련의 기계장치로서 내리치게 되면 손잡이는 접철부를 중심으로 하여 탄력편이 하방으로 윈을 그리면서 이동 그 손잡이는 접철부를 중심으로 일정 원에서 튕기 듯 하향된 후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고 고정지지 될 수 있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병마개(1)는 상면부(2)와 측면부(3)로 구성되어 있고, 측면부(3)의 임의 하단에는 구멍(5)이 있는 손잡이(4)가 연결부(6)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6)의 중심부에는 하방으로 트인 공간부(7)를 형성하되, 단 공간부(7)와 마주보고 있는 측면부(3)의 일정 높이와 손잡이(4)의 사이는 일정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탄력편(8)을 형성함에 있어, 그 탄력편(8)의 양측인 연결부(6)에는 탄력편(8)에 의해 하방으로 꺽여 고정될 수 있는 접철부(9)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6)의 양측에서 부터 시작된 측면절취선(10)은 양측으로 구획되어 상면부의 절취선(11) 까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3)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2)과 내마개(14)의 사이에는 병목(100)의 상단외돌환부(101)가 삽입될 삽입홈(13)을 두고, 상기 내마개(14)는 절취선(10)의 내측이자 상면부(2)의 저면인 부위에 형성하되, 그 내마개(14)는 밀폐를 위해 외환으로는 내벽이 공간으로 된 적어도 1개 이상의 환돌기(15)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내부로 강한 재질의 보강링(16)을 삽입시킨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 부호(17)은 미절취부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병마개(1)는 도1a와 같은 상태에서 병목(100)에 씌워지는데, 씌울때는 병마개(1)를 병목(100)의 상부에 위치 시킨후 일련의 기계장치로서 병마개(1)의 상면을 압압하게 되면 삽입홈(13)이 병목(100)의 상단외 돌환부(101)에 삽입되어 지는데, 이런 상태가 도1d와 같다.
이때 걸림턱(12)은 병목(100)의 상단외 돌환부(101)를 탄력적으로 타고 넘어 외환턱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며, 내마개(14)는 병목(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내벽면(102)에 탄력적으로 밀착 밀폐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연속적인 것으로서, 그리고 도1d와 같은 상태에서, 일련의 기계장치로서 손잡이(4)를 하향시키게 되면, 상기 손잡이(4)는 표시된 (A)부위의 크기로 된 연결부(6)의 구획선인 비교적 잘 접혀질 수 있는 접철부(9)가 접힘으로 인해 표시된 (A' )부위의 크기내에서 손잡이(4)가 병목(100)에 달라 붙게 되는데, 이때 손잡이(4)가 병목(100)에 달라 붙을 수 있고, 동시 그와 같은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은 도면에 표시된 (B)크기의 탄력편(8)이 표시된 (B' ) 크기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말미암아 상기 손잡이(4)는 (A' ) 크기 만큼의 원을 그으면서 이동하되, 상기 탄력편(8)의 외단면이 상기 접철부(9)의 구획선내에 이르게 되면 상기 탄력편(8)은 탄력적으로 손잡이(4)를 병목(100)에 달라 붙게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병마개(1)를 벗기고자 할때는 먼저 손잡이(4)를 살짝들어 올리면 접철부(9)를 기점으로 탄력편(8)이 손잡이(4)를 들어 올리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가 도1d와 같다.
이런 상태에서 구멍(5)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4)를 잡아 당기게 되면 도1f와 같이 측면절취선(10)과 동 연장 선상의 절취선(11)이 절취되면서 손잡이(4)가 일정 각도로 상향되어지며, 계속하여 손잡이(4)를 좀더 힘껏 잡아 당기게 되면 측면부(3)가 미절취부(17)에 의해 병목(100)의 상단외돌환부(101)를 벗어 나면서 병마개(1)는 최종 열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용기의 남은 내용물을 재보관 하고자 할때는, 일예로 도1g에서 보인 바와 같이 측면부(3)가 미절취부(17)를 끊음으로 인해 제거된 병마개(1)를 병목(100)의 상부에 위치 시킨후 상면부(2)를 누르게 되면 내마개(14)가 병목(100)의 내벽면(102)에 삽입되어 밀폐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하여, 도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부가 없게 되면 탄력편(8)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과 같이 병마개(1)의 재질이 합성수지일 경우, 상기와 같이 접철부가 없게 되면 손잡이(4)는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 하기 때문에, 상기 탄력편(8)은 무용지물이 되고 말것이다.
참고적으로, 일정 크기로 구획된 접철부(9)가 없게 되면 상기 탄력편(8)은 그 존재의 가치가 없게 되는 것이나, 일본 실개소화63-180551호와 같이 병마개의 재질이 금속재라면 탄력편이 있더라도 손잡이는 병목에 달라 붙을 수 있으나, 문제는 탄력편이 없더라도 손잡이는 병목에 달라 붙을 수 있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손잡이(4) 구조는 별도의 기계장치(캐핑퍼신)가 없는 소규모 사업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병마개(1)를 도1a와 같은 상태에서 병목(100)의 상부에 위치시킨후 손바닥등으로 눌러 도1d와 같이 되게 한후 손가락으로 손잡이(4)를 내리치게 되면 도1e와 같이 손잡이(4)는 병목(100)에 고정되게 되는데, 이리한 손잡이(4)는 몇 번이고도 되풀이하여 병목(100)에 그 손잡이(4)를 달라 붙게 할 수 있는 것이나, 상기 일본 실개소화63-180551호의 손잡이는 기계장치(캐핑머신)가 없으면 손잡이를 병목에 달라 붙게 할 수 없음은 물론 일단 병목에 손잡이가 고정되게 되면 개봉을 위한 목적외에는 그 변형이 불가한 것으로서 이는 그 재질이 금속재이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측면절취선(10' )의 내측 선상에는 구멍(5' )이 있는 손잡이(4' )를 구성하고 있는 본체(a)를 두되, 그 상부로는 손잡이(4' ) 고정용 보강체(b)를 조립시킴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b)는 측면절취선(10' )의 크기 만큼의 측면절취선(10')을 측면부에 형성한 것이다.
조립시에는, 도2b와 같은 상태에서 보강체(b)의 상면부를 압압하게 되면 도2c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보강체(b)의 하단부가 손잡이(4' )의 연결부면을 내리치면서 상기 손잡이(4' )를 병목(100)에 달라 붙게 하는데, 이때 보강체(b)의 내벽면은 걸림턱 등이 형성되어 있는 바,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고 손잡이(4' )를 병목(100)에 고정 지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병마개(1)를 개봉하고자 할 때는, 도2c와 같은 상태에서, 구멍(5' )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4' )를 잡아 당기게 되면 도2d와 같이 각각의 측면절취선(10' ,10'')이 절취되면서 (d)부위가 상향되어지는 것이며, 이어 좀더 힘을 주어 손잡이(4' )를 잡아 당기게 되면 본체(a)와 함께 보강체(b)가 발달되어지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도2b의 상황을 다른 각도에서 예시한 것이 도3과 같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크기로 구획된 접철부를 기점으로 손잡이를 일정 크기의 탄력편이 상기 손잡이를 병목에 잡아 당겨 고정시키는 특징이 있는 바, 자동화 설비를 하지 않고도 상기의 병마개를 병목에 조립시키는 방법이 가능하여, 소규모 사업장에서도 본 고안의 병마개를 수동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합리적인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병마개(1)는 상면부(2)와 측면부(3)로 구성되어 있고, 측면부(3)의 임의 하단에 구멍(5)이 있는 손잡이(4)가 연결부(6)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연결부(6)의 양측에서 부터 시작된 측면절취선(10)은 양측으로 구획되어 상면부의 절취선(11) 까지 연결되어 있음과, 그리고 상기 측면부(3)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2)과 내마개(14)의 사이에는 병목의 상단외 돌환부가 삽입될 삽입홈(13)을 두는 등의 종래 선행의 기술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는, 그 연결부(6)의 중심 하방으로 트인 공간부(7)를 형성하되, 당 공간부(7)와 마주보고 있는 측면부(3)의 일정 높이와 손잡이(4)의 사이는 일정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탄력편(8)을 형성함에 있어, 그 탄력편(8)의 양측인 연결부(6)에는 탄력편(8)에 의해 하방으로 꺽여 고정될 수 있는 접철부(9)를 형성한 특징의 원터치방식 합성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측면절취선(10' )의 내측 선상에는 구멍(5')이 있는 손잡이(4')를 구성하고 있는 본체(a)를 두되, 그 상부로는 손잡이(4') 고정용 보강체(b)를 조립시킴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b)는 측면절취선(10' )의 크기 만큼의 측면절취선(10'')을 측면부에 형성한 특징의 원터치방식 합성 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KR2019920002235U 1991-12-05 1992-02-17 원터치방식 합성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KR200155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02235U KR200155219Y1 (ko) 1992-02-17 1992-02-17 원터치방식 합성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JP24230992A JP3432533B2 (ja) 1991-12-05 1992-09-10 合成樹脂製瓶栓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02235U KR200155219Y1 (ko) 1992-02-17 1992-02-17 원터치방식 합성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719U KR930019719U (ko) 1993-09-23
KR200155219Y1 true KR200155219Y1 (ko) 1999-08-16

Family

ID=1932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02235U KR200155219Y1 (ko) 1991-12-05 1992-02-17 원터치방식 합성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2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719U (ko) 199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748A (en) Break away overcap
US6283318B1 (en) Bottle cap made of synthetic resin
US3474844A (en) Latching device for collapsible container
US3109547A (en) Bottle closures
JPH09315450A (ja) コルク栓キャップ
JP3398940B2 (ja) 液体吐出装置
KR100616705B1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KR200155219Y1 (ko) 원터치방식 합성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KR0124519Y1 (ko) 원터치형 합성수지재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KR960034024A (ko) 플라스틱 마개
JP6086722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S59209544A (ja) 容器用いじり防止用具
KR200167592Y1 (ko) 당김고리가 있는 원터치방식 합성수지재 병마개의 보강구형 밀폐구조
JPS6013801Y2 (ja) 軟質合成樹脂製の瓶栓
JP2003212261A (ja) 液体吐出装置
KR20020075761A (ko) 배출대
KR200161035Y1 (ko) 튜브용기의 마개
JPH0732444Y2 (ja) ラムネ瓶栓抜蓋
KR0135314Y1 (ko) 합성수지 병뚜껑
KR0124518Y1 (ko) 당김고리가 있는 고밀폐용 병마개
KR0136563Y1 (ko) 당김손잡이에 형상부가 있는 원터치방식의 병마개
KR0135313Y1 (ko) 합성수지 병뚜껑
US1278244A (en) Shiftable stopper.
KR20000064059A (ko) 액체주출용 뚜껑의 밀폐구조
KR19990074309A (ko)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7201002915;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